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

 1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1
 2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2
 3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3
 4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4
 5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5
 6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6
 7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7
 8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8
 9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9
 10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10
 11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11
 12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단형 부정문에 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부정문의 분류
2.1 부정과 부정문
2.2 ‘안’ 부정문과 ‘못’ 부정문
2.3 ‘안’, ‘못’ 부정문의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
3. 단형 부정문의 쓰임과 제약
3.1 ‘안’ 부정문 단형 부정문의 쓰임과 제약
3.2 ‘못’ 부정문 단형 부정문의 쓰임과 제약
3.3 ‘안’, ‘못’ 부정문의 관용적 표현
4.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서론
한국어 학습 중에 부정문에 대한 학습은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현대 한국어의 부정문에는 하나의 긍정문에 대응하는 두 가지의 부정문이 존재하여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나는 서술어의 앞에 부정사 ‘안/아니/못’을 두어 그 구를 부정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서술어가 된 용언의 어간에 ‘-지 않-/-지 아니하-/-지 못하-’란 방식을 결합시켜 부정을 이루는 방식이다. 전자를 짧은 부정문 또는 제1형 부정문, 후자를 긴 부정문 또는 제2형 부정문이라고 하나, 본고에서는 전자를 ‘단형 부정문’, 그리고 후자를 ‘장형 부정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하나의 긍정문에 두 가지 형식의 부정문이 존재한다면, 모든 긍정문에는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의 형식이 다 성립되어야 할 것인데 실제로 모든 긍정문에 두 가지 형식의 부정문이 다 성립하는 것은 아니며, 단형 부정문 형성하는 데 장형 부정문을 비해 제약을 더 많이 받는다.
(1) 가. 어린이가 잔디를 *안 짓밟았다. / 짓밟지 않았다.
나. 정난정은 *안 간사스럽다. / 간사스럽지 않다.
다. 선희는 *못 예쁘다. / 예쁘지 않다.
라. 운동장이 *못 넓다. / 넓지 못하다.
(1)에서는 모두 장형 부정문이 성립하는 반해, 단형 부정문 형성에 제약을 받는다는 예들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승동(1995), 『現代國語 否定文의 意味 解釋에 관한 硏究 : 안, -지않- 부정문을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김천미(1993), 『한국어의 부정문 연구 : 부정소 {안},{못}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향화(2006), 『한 중 부정표현의 대조 연구-한국어 ‘안’, ‘못’, ‘아니하 -’, ‘못하 -’와 중국어 “不”, “(有)”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정수(2002), 『短型 否定文의 쓰임과 限界에 대한 硏究 : 高等學生의 言語使用을
바탕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學位論文(碩士).
송창선(1991), 『부정문에 나타나는 -지의 통사특성 』,文學과 言語 硏究會.
이소영(1990), 『現代國語 否定文의 解釋에 대하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이창용(1990), 『국어 부정문 연구 : -지 않- -지 못하-의 쓰임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러한 용어는 부정문 논의와 관련하여 일반화된 용어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여기서도 이러한 용어를 그대로 따르기로 한다. 그런데 ‘단형 부정문’이니 ‘장형 부정문’이니 하는 용어가 단순히 음절 수의 차이에 기인한 ‘문장 길이’ 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를 일으키도 하는데, 기존의 논의에서 이들 용어는 단순한 음절수의 차이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단형 부정문은 ‘단문’으로 처리하고 장형 부정문은 ‘복문’으로 처리하는 구조적 관점을 최대한으로 반영한 용어라는 것이다. 이 외에 ‘짧은 형’과 ‘긴 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선행 부정문’과 ‘후행 부정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용어의 문제가 그다지 큰 문제를 일으킬 것 같지는 않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박향화,2006:17)
손정수(2002:5
이잠석(1991:28)
박향화(2006:55)
박향화(2006:41)
이소영(1990:12~13)
다음절은 음절의 수가 셋 이상인 음절을 말한다.
방서우(2012:12) 재인용
열거되는 예들 중에 사람들의 언어 습관이나 문맥들의 상황에 따라 ‘안’ 부정문의 단형이 성립하는 상황도 인정한다.
예: ?나는 한국어를 안 가르친다.
?주먹으로 등을 안 두드렸다.
‘-디-‘는 최현배(1973)에서 이음법의 힘줌꼴 어미로 처리되었다. 그에 따르면 ‘차디차다’ 등은 한 단어(복합어)가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김창섭(1981)에서는 이들을 내적 응집성이 깨어질 수 없는 복합 형용사라고 보았다. 본고에서도 복합 형용사로 보고 용어는 ‘합성 형용사’라 하기로 한다.
김종록(2005:236)
박재희, 박정규(2012:130)
박재희, 박정규(2012:132)
이와 같은 용언들은 다음과 같이 예사하고 있다. (박형우2003:254)
‘미안하다, 공부하다, 복사하다…
참되다, 어증되다, 속되다,…
걱정스럽다, 군색스럽다, 가긍스럽다, 거추장스럽다, 거북살스럽다…
덕성스럽다, 정성스럽다, 좀스럽다, 상스럽다, 끔찍스럽다,…
잭쩍다, 수상쩍다, 의심쩍다, 미안쩍다…
건방지다, 모지다, 멋지다, 값지다…
능글맞다, 방정맞다, 궁상맞다, 능청맞다, 청승맞다…
신사답다, 숙녀답다, 여자답다, 남자답다, 군인답다, 정답다…
이롭다, 해롭다, 공교롭다, 슬기롭다, 향기롭다, 가소롭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