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

 1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1
 2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2
 3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3
 4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4
 5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5
 6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6
 7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7
 8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8
 9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9
 10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10
 11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미술] 조선 후기 회화의 서양 화법 유입 과정과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0. 서론

1. 조선후기의 시대적 배경

2. 조선후기 회화의 특징

3. 조선후기 회화에서 나타나는 서양화법의 양상

4. 한국 초기 서양화 화풍의 미술사적 평가와 의의



본문내용
1. 조선후기의 시대적 배경
조선 후기는 숙종 연간부터 영ㆍ정조를 거쳐 순조 연간(1820년경)에 이르는 약 120년간으로 사실주의 화풍이 유행하였다. 한국 사회에 있어 서양문물의 도입은 서세동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서양식 조형방법의 도입도 서세동점의 전체적인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졌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 ‘개항’ 내지는 ‘근대화’라는 것이 외부 상황의 변동에 의한 소극적 수용의 결과만은 아니다. 블레이크는 근대화가 한 사회의 변혁 의지와 신념이라고 역설한 바 있다. 단순한 충격과 수용이라는 측면만이 아닌 조선 사회가 가지고 있었던 변혁의 필요성과 의지가 어떻게 맞물렸는지는 살펴보는 것은 그러한 의미에서도 가치 있을 것이다.
1.1. 천주교와 서학의 도입
이미 천주학 관계서적이 1631년 정두원에 의해 이 땅에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다. 또 인조 때 청에 인질로 가 있던 소현세자가 1644년 환국했을 때 천주학에 관한 많은 서적을 들여왔다는 사실로 미루어, 17세기에 이 땅에 새로운 학문으로서 천주학이 소개되고 그로 인해 서양식 조형방법이 알려졌을 것임을 유추하기는 어렵지 않다.
또 조선에서 천주학을 신앙의 종교로서보다 1세기 이상 학문과 문헌으로서 이론적으로 연구하고 비판하였다는 사실에 비추어볼 때, 서양식 조형방법이 새로운 문화의 점진적인 도입과 변증법적인 토착화의 과정을 거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실학사상
두 차례의 난을 통해 일어난 사회상의 여러 가지 변모는 소박한 대로나마 서구의 근대화 개념에 상응하는 요소가 적지 않다. 실학의 대두로 생겨난 권위에 대한 반발과 비판, 그로 인한 인간 자각과 시민의식이 민중을 기반으로 하여 점고되기 시작했으며, 진경산수와 서민생활이 회화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점도 그러한 맥락에 있다.
참고문헌
1.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설화당. 1979
2. 김영주, 한국미술사, 나남, 1997
3.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설화당. 1998
4. 김성연, 근대 한국화단의 초기 서양화 수용과정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5. 정종구, 조선후기 사실주의 화론과 서양화법 수용의 관련성 연구, 경북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