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

 1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1
 2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2
 3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3
 4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4
 5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5
 6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6
 7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7
 8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8
 9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9
 10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10
 11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11
 12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12
 13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소설론] 고소설의 표기형식과 인쇄방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序論

本論

1. 고소설의 표기 형식: 기사된 문자에 의한 분류

1.1. 고소설 표기 형식의 개괄

1.2. 국문 소설(한글본)
1.2.1. 국문소설의 개념
1.2.2. 국문본의 국문소설로서의 위치

1.3. 한문 소설(한문본)
1.3.1. 한문 소설의 개념과 범위
1.3.2. 한문 소설의 특징
1.3.3. 한문 소설의 의의

2. 고소설의 제작 방식: 인쇄 수단에 의한 분류

2.1. 옛 책 용어 분류

2.2. 사본: 필사본

2.3. 인본
2.3.1. 목판
2.3.2. 활자본
2.3.2.1. 금속활자
2.3.2.2. 목활자
2.3.2.3. 활자 소설

結論
본문내용
序論

소설을 창작하는 작가는 자신의 소설을 읽어 줄 독자를 기대하며 소설을 창작한다. 즉 소설은 직접 구연으로 들려주는 이야기가 아니라 어떤 매체와 경로를 통해 독자와 접하게 된다. 여기서 매체와 경로라는 것은 작가와 독자를 이어주는 구실을 하고 있으며 이는 곧 표기형식과 유통방식이라는 틀로 나타나게 된다. 우리가 고소설을 배우면서 이들을 짚어보아야 하는 것은 소설이 이야기와는 다른 기록된 것이라는 점에서 소설이 독자에게로 전해진다는 점 때문이다. 작가와 독자 사이의 매개물인 소설책을 통해 독자는 소설을 만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매개물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우리는 소설의 표기 형식과 유통방식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표기형식이 갖는 의의는 남다르다. 표기형식은 크게 한문 국문 국한문혼용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은 우리나라 독자층의 확대와 그들이 향유하고 있는 가치관을 엿볼 수도 있는 계기를 주기도 한다. 그리고 인쇄방식은 고전소설이 인쇄기술의 발달과 궤를 같이 하여 발전하였기 때문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는 필사본 판각본 활자본으로 변화해 왔던 것이 고소설의 상업적인 발달과 면모를 보이는 것과 연관된다. 그럼 표기형식과 유통방식 중 인쇄방식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本論

1. 고소설의 표기 형식: 기사된 문자에 의한 분류
1.1. 고소설 표기 형식의 개괄

◎ 소설의 표기 형식: 소설을 살피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기록형태, 즉 소설책의 표기형식을 살피는 일이다.
◎ 문자 체계(표기수단): 한문을 중심으로 한 문자생활과 국문을 중심으로 한 문자생활이 둘 다 가능하였으므로 한문 혹은 국문으로 기록하는 일이다.
◎ 표기형식에 따른 분류
1) 한글로 표기한 소설책 (한글본)
참고문헌
한국 고소설의 세계- 이상택 외, 돌베개.
고소설의 사적 전개와 문학적 지향- 반교어문학회, 도서출판 보고사.
우리 고소설 연구- 이복규, 도서출판 역락.
한국 · 중국 · 일본의 小說의 개념(趙東一, 省谷論叢 20, 1989).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고소설사 -김광순 국학자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