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

 1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1
 2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2
 3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3
 4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4
 5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5
 6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6
 7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7
 8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8
 9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9
 10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10
 11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11
 12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12
 13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13
 14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14
 15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15
 16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16
 17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 -신의와 용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가. 詩話(시화)

1. 연원

2. 개념

3. 장르

4. 유형

5. 고려시대 시화 등장 배경

나. 이인로와 이규보

1. 시대적 배경

2. 신의와 용사의 대립

다. 이인로와 『파한집』

1 .이인로(李仁老) (1152;의종 6 ~ 1220;고종 7)

2. 『파한집(破閑集)』

3. 이인로의 문학론

4. 의의

라. 이규보와 『백운소설』

1. 이규보(李奎報) (1168;의종 22 ~ 1241;고종 28)

2. 『백운소설』

3. 이규보의 문학론

4. 의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의와 용사




Ⅰ. 서론

문학론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잘라 말할 수는 없다. 향가를 두고 논란을 벌이는 것은 신라 때 이미 일반화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 고려 전기까지의 한문학 작가들 글에 비평이라고 할 수 있는 발언이 여기저기 있었다. 문학이 성장하면서 문학을 하는 자세와 방법에 대한 검토를 하게 되는 것이 당연한 추세였다. 그러나 문학론다운 논의는 고려후기에 이르러 비로소 나타났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면 시대변화에 대한 거시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고려전기까지 이어진 중세전기에는 중세보편주의를 중국과 대등하게 구현하는 것을 지표로 삼아, 이미 마련되어 있는 규범을 따르는 것이 한문학의 수준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여겼다. 『文心雕龍』을 지침서로 삼고 『文選』에 수록된 예문을 본뜨면 좋은 글을 쓸 수가 있다고 믿어, 별도의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지 않았다. 중세후기에 들어서서 중세보편주의를 독자적으로 구현하려고 하자, 문학의 근본문제를 재검토 하고 창작방법을 다시 정립하는 과제가 제기되었다. 앞 시대의 규범을 넘어서지 않고 이어가고자 하는 쪽이라도 문학은 왜 해야 하고 어떤 가치가 있는가하는 의문에 대답해야 했다.
고려조 중·후기는 한국한문학에 있어서 본격적인 비평작업이 나타난 시기이다. 이 시기 한문학의 발달로 많은 작가와 수준 높은 작품들을 생산해 냈고 이에 단편적인 비평이 있었다. 기존의 작가와 작품을 한 비평가가 일정한 준거를 갖고 집중적으로 비평한 일은 이 시기에 들어 비로소 시작된 것이다. 그 대표적인 성과가 『破閑集』, 『白雲小說』, 『補閑集』, 『櫟翁稗說』등의 詩話集이다.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이인로, 구인환 엮음, 「파한집」, 신원문화사, 200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2권, 지식산업사, 2005.
하강진, 「李奎報의 문학이론과 작품세계」, 世宗, 2001.
박수천, 「韓國漢詩批評의 硏究」, 태학사, 2003
장홍재, 「高麗時代詩話批評硏究」, 아세아문화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