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

 1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1
 2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2
 3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3
 4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4
 5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5
 6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6
 7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7
 8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8
 9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ㅡ차 례ㅡ

Ⅰ. 서론
Ⅱ. 본론
1. 1950년대 시대 개관
2. 1950년대 전반을 압도하는 전쟁현장의 시
3. ‘後半期’ 동인을 중심으로 한 모더니즘 시
4. 1950년대 주류적 흐름인 서정시의 갈래
5. 1960년대의 시조 중흥기를 기다리며
6. 부패한 독재 권력에 항거하는 시
7. 배타적 존재가 아닌 지속과 변화
1) 전통부정론자ㅡ이봉래와 ‘후반기’ 동인 김규동을 중심으로
2) 전통긍정론자ㅡ김양수, 백철, 조윤제를 중심으로
3) 1950년대 시에 있어서 지속과 변화의 공존 양상
Ⅲ. 결론
본문내용
Ⅱ. 본론

1. 1950년대 시대 개관

1950년대를 논하는데 있어 그 중심에 놓이는 것은 바로 한국전쟁이다. 역사적인 기록으로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휴전 조인을 맺기까지이다. 3년이 넘도록 지속된 이 전쟁은 과연 우리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광복 후 불과 5년의 세월 만에 일어난 한국전쟁은 세계대전 규모의 전쟁터로 확대되어 북한에서는 소련군과 중공군이 참전하였고 남한은 유엔 16개국이 참전하기에 이른다. 강우식, 『한국 분단시 연구』, 한국문화사, 2004, 20-23쪽 참조.
한반도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냉전체제에서 강대국들의 세력쟁탈전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한국전쟁의 인적, 물적 피해를 살펴보면 “그 戰費는 유엔군 측이 치른 것만으로도 세계1차 대전 전비에 맞먹는 150억 달러였다고 한다. 좁은 땅에서 벌어진 이 대규모 전쟁의 피해를 대한민국 정보부의 발표에 의거해 보면 한국군을 포함한 유엔군의 사상자 수만도 33만여 명(공산군 측은 이보다 몇 배의 사상자를 낸 것으로 발표되어 있다), 60만 채의 가옥 파괴, 20만 명의 전쟁미망인, 10만 명의 전쟁고아, 공공시설의 45%가 파괴된 것으로 나타난다.” 위의 책, 23쪽(구중서, 『분단시대의 문학』, 전예원, 1981, 62쪽에서 재인용).
고 한다.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대중들의 마음속에 있던 민족공동체적 이상은 완전히 해체되었다. 그 결과 안보의 논리는 그 어떤 통일론보다도 우선하는 절대불가침의 신성화를 초래하였고, 고착된 민족분단을 빌미로 서로 다른 정치체제는 권위주의적이며 독재적 권력의 아성을 확고히 구축할 수 있었다. 전쟁으로 인한 수백만 명의 인명피해 학살을 포함한 사망자가 민간인 37만 4천 명과 군인 2만 9천 명으로 도합 40만 3천여 명이고, 납치․실종․포로 등 남한에서 유출된 인구는 민간인 38만 8천 명에 군인 17만 1천 명으로 도합 55만 9천여 명에 이르고 있다. 이에 더하여 전쟁미망인은 20만 명, 그리고 전쟁고아도 1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전체 피난민도 약 24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정성호, 「한국전쟁과 인구사회학적 변화」,『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 백산서당, 1999, 14쪽.
와 천만의 이산가족 등의 문제는 당대로서는 언제,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지 전망할 수 없었고, 지금까지도 난제로 남아 있다. 또한 분단이 기정사실로 고착화되자 독재 권력을 정당화시켰던 권력담당층은 1950년대 1950년대 후반 권력의 타락과 함께 1960년 4․19에 의해 붕괴되는데, 이 전 과정을 조감해보면 1950년대는 민족적인 신성한 것을 찾기 위한 몸부림이었으며, 밖으로부터의 충격에 대응하여 안으로부터 폭발하는 역사적 추진력의 자기발견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 안, 「 동인의 현실 인식ㅡ박인환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제6권 제2호(통권 제12호), 2007. 12.
강우식, 『한국 분단시 연구』, 한국문화사, 2004.
김영철, 『현대시론』,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4.
김윤식·김우종 외 34인 지음, 개정증보판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7.
문선영, 『한국전쟁과 시』, 청동거울, 2003.
여지선, 『한국근대문학의 전통론사』, 이회문화사, 2007.
윤정노, 「1950년대 모더니즘 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전해수, 『1950년대 시와 전통주의』, 도서출판 역락, 2006.
최동호, 『한국현대시사의 감각』,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 백산서당, 199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