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

 1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
 2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2
 3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3
 4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4
 5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5
 6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6
 7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7
 8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8
 9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9
 10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0
 11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1
 12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2
 13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3
 14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4
 15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5
 16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6
 17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7
 18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8
 19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19
 20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학] 강남과 강북의 학업 성취도 격차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울의 개발과 교육격차의 실태
1. 서울시의 개발과정
2. 개발과 교육
3. 서울시 지역 간 교육격차의 실태

Ⅱ. 격차의 원인: 이론적 고찰
1. 학업성취의 구성요소와 성취수준 결정요인
2. 학교교육의 효과
3. 학업성취격차와 원인
4. 학업성취 격차를 설명하는 이론들

Ⅲ. 격차의 원인: 실증적 고찰
1. 학생수준
(1) 가정의 배경
(2) 학생의 지능
(3) 사교육
2. 학교수준
(1) 인적자원
(2) 물리적 자원
(3) 지역 사회의 지원
(4) 교수-학습 과정

Ⅳ. 학업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1. 개인의 의식 개선
2. 사회 제도의 개선

Ⅴ. 결론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울의 개발과 교육격차의 실태

1. 서울시의 개발 과정
박정희 정부 아래 우리나라는 1961년 부터 1979년까지 장기간에 걸쳐 철저한 중앙집권식 경제 개발에 매진하였다. 이들은 국토, 지역, 도시개발에 관련된 정책들을 수립하면서 경제개발을 위한 청사진 마련에 착수하였다. 그 결과 , , 등 다양한 법령이 제정 되었고, 이것들은 서울의 도시 성장과 계획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서울시 인구는 50년대 이후 가속적인 팽창을 거듭했다. 인구센서스의 통계에 의하면 1960년대에 245만명이던 인구가 1980년에 837만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도시 계획법들이 전면 개정되며 도시 계획에 있어 재정비가 필요했다. 정부는 강남지역 개발을 통한 인구흡수를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부도심을 한강 이남의 천호, 영등포, 영동, 화곡지구에 조성했다. 아울러 여의도 지구에 신업무지구, 영동에 행정기능을 부여하는 계획을 세웠다.
70년부터 강남의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오던 서울은 후반에 들어서 강남북간의 균형개발을 강조하기도 하였지만, 탁월했던 구상에도 계획안에 그치고 말아 실질적인 균형개발로 연결되지는 못했다.
이 시기는 이처럼 계획과 개발의 연속이였다. 서울은 가속적인 성장을 거듭했고, 80년대에 이르러 한강의 기적을 불러 일으켰다. 서울은 이미 세계 최대 도시중 하나가 된 것이다. 총력 경제개발의 20년을 보낸 후 우리나라는 중진국에 오를 수 있었지만, 그 과정에서 거점개발 방식의 헛점으로 도시간, 지역간의 격차는 더욱 심화되었다.

참고문헌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9
이건만,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1999.
최정민,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2001.
이혜림, 「영재아들의 지능과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2001.
백지현,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 경희대 대학원, 2005.
이혜영 외 5명, 「교육 소외계층의 고육복지 실태와 대책」, 교육인적자원혁신박람회 정책세미나, 2005, p.71
강성만, 「학교 교육환경에 대한 수요자 만족도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 강남·강북 초·중학교 실증적 비교분석」,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2005.
김영철, 「서울시 지역간 교육격차의 실상」,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개발 통권 제139호 (2003) pp.36-41
김양분 외 6명, 「한국 교육 현황 분석 : 지역간 학교간 교육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최은영, 「서울의 거주지 분리 심화와 교육환경의 차별화」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4.
이혜영 외1,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학교와 타 지역 학교의 교육격차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