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에 저항하라 - 한국의 장애인 운동 20년

 1  차별에 저항하라 - 한국의 장애인 운동 20년-1
 2  차별에 저항하라 - 한국의 장애인 운동 20년-2
 3  차별에 저항하라 - 한국의 장애인 운동 20년-3
 4  차별에 저항하라 - 한국의 장애인 운동 20년-4
 5  차별에 저항하라 - 한국의 장애인 운동 20년-5
 6  차별에 저항하라 - 한국의 장애인 운동 20년-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차별에 저항하라 - 한국의 장애인 운동 20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차별에 저항하라
한국의 장애인 운동 20년 김도현 지음
1장 장애 문제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시작(1987년 이전)
1. 실질적인 장애인 운동이 없었던 1960~1970년대
1960~1970년에는 장애인들이 장애인이라는 명칭이 아니라 ‘불구자’라고 불려졌고, 정신지체인의 불임수술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려고 까지 했었다.
70년대에 ‘재활의 날’행사를 개최하고, 80년대에 ‘장애자의 날’로 개정된 후 현재의 ‘장애인의 날’에 일렀다. 이때는 장애인의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기 보다는 보호를 목적으로 한 행정의 일환이었고, 장애인의 입학이 거부된 사건이 발생해 사회적 주목을 받았다. 70년대 말까지 장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사회운동이 아니라 캠페인만 일어났었다.
2. 대중적 장애인 운동의 맹아가 형성된 1980년대
80년대에도 장애인을 거부하는 학교가 계속 나타나고, 학교뿐만 아니라 장애인을 차별하는 곳이 많았다. 그리고 84년 장애인 김순석씨의 자살이 보도 되면서 세상에 장애인의 어려움이 알려지고 이를 계기로 사회적 저항을 조직하는 대학생들이 생겼다. 그러나 이들의 투쟁은 언론에서 아예 무시되었다.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는 국제적으로 장애인의 권리에 대한 관심이 부각된 시기고 이런 상황은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81년에 드디어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와 더불어 유형별 장애인 자조 조직의 주요한 축을 형성하게 되었다.
2장 청년 장애인들을 중심으로 한 진보적 장애인 운동의 태동 (1987~1993년)
1. 장애인의 고용과 생존권 보장을 위한 ‘양대 법안 투쟁’
열악한 장애인 노동의 현실과 장애인 고용을 위한 특별법 제정의 요구가 나오고, 1988년 서울올림픽과 장애자올림픽의 개최를 앞두고 국제 사회를 의식한 정부가 전시적 정책의 일환으로 장애인고용촉진법 제정을 고려했었다.
장애인고용촉진법 제정과 심신장애자복지법 개정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하게 되고 ‘양대 법안 투쟁’은 ‘장애자올림픽 거부 투쟁’과 맞물려 본격화 되었다. 이후 청년 단체들을 중심으로 한 직접적인 대중 투쟁 이외에도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던 장애인들과 명망가들이 주축이 되어 88년도에 한국장애인총연맹이 결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