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

 1  [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1
 2  [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2
 3  [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3
 4  [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4
 5  [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5
 6  [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6
 7  [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7
 8  [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통사회교육론] 공통사회를 이수하는 어느 예비교사에 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향

3. 연구의 한계

4. 공통사회과 교육론 이수 이전의 인식

1) 연구 대상을 둘러싼 현실적 맥락의 소개

2) 통합에 대한 관점

3) 사회 3과간 경쟁과 갈등에 대한 관점

5. 공통사회과 교육론 이수 이후의 인식 변화

1) 진로와 주전공에 대한 고민의 변화

2) 통합에 대한 관점의 변화

3) 사회 3과간 경쟁과 갈등에 대한 관점의 변화

6. 보론을 겸한 제안 : 새로운 사회과를 꿈꾸며
본문내용
3. 연구의 한계
논의가 예비 교사의 인식의 변화를 살피는 차원에 머무르고 있기에 현실에서 사회과 내의 정치경제학적인 갈등 상황을 엄밀하게 고찰하지 못하고 있음은 한계로 남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과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또한 논의가 다소 이상론적인 수준에 그치며 이 연구를 토대로 공통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일반화화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한 개인을 통해 공통사회를 둘러싼 다양한 현실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4. 공통사회과 교육론 이수 이전의 인식
1) 연구 대상을 둘러싼 현실적 맥락의 소개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연구 대상이 되는 일반사회교육 전공 학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그가 처한 배경을 간단히 소개할 필요가 있다. 몇 가지 항목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1) 공통사회 연합전공을 이수하는 이유
2004학번인 그는 졸업을 위해 총 13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 그런데 교양에서 36학점 이상, 주전공인 일사과 전공에서 42학점 이상, 그리고 사범대 교직 과목에서 12학점 이상은 주어진 요건에 맞게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따라서 남는 40학점 가량은 부․복수전공이나, 기타 교양과목을 통해 채워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참고문헌
강환국(2004), 「공통사회교사의 양성 및 임용에 관한 논쟁점 분석」, 『사회과 교육』, 제43권 3호, pp. 6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