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중대의 불교

 1  신라중대의 불교-1
 2  신라중대의 불교-2
 3  신라중대의 불교-3
 4  신라중대의 불교-4
 5  신라중대의 불교-5
 6  신라중대의 불교-6
 7  신라중대의 불교-7
 8  신라중대의 불교-8
 9  신라중대의 불교-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라중대의 불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신라중대의 불교 수용과 전파 - 상대로부터의 불교 전파 과정

2. 신라 불교사상의 흐름
1) 귀족주의 불교 - 신라 상대의 불교 모습

2) 민중주의 불교

3) 화엄종

4) 선불교(선종)

3. 원효와 의상의 사상(화엄학의 전개)

1) 원효 : 대승교학의 집대성

(1)원효는 누구인가?

(2) 원효불기에 나타난 원효전기

(3) 대승기신론소에 나타난 원효사상의 근본

(ㄱ)종체(宗體)를 나타냄

(ㄴ) 일심이문(一心二門)

2) 의상 : 화엄학의 수용과 발전

(1) 의상은 누구인가?

(2) 화엄일승법계도리를 통해 본 의상의 사상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민중주의 불교
신라시대 당시에는 귀족주의 불교와 일반 서민불교 사이에 여전히 괴리가 있었다. 당시의 승려들은 민중의 무지가 석가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 없다고 민중을 외면했다. 그러나 태종 무열왕 당시 등용된 원효는 불교의 대중화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그는 학승으로서 높이 평가될 뿐만 아니라 민중교화승려로서 국가계열과 민중계열의 불교를 종합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그는 민중 속으로 파고들어 정토신앙을 널리 전파하고 또 어려운 불교 이론들을 민중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노래를 지어 전파하는 등 여러 가지로 노력하였다. 그에 의해서 신라의 불교는 민중이 수용할 수 있게 되었고, 그에 따라 불교가 널리 대중화될 기틀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3) 화엄종

우리들이 흔히 알고 있는 일화에서 많은 사람들은 해골바가지의 물을 마시고 큰 깨달음을 얻은 채 결연히 신라로 발길을 되돌리는 원효에게 박수갈채를 보낸다. 그러면서 쓸쓸한 뒷모습을 보인 채 중국으로 향하는 의상에게는 눈길조차 주지 않는다. 그러나 그 고독한 어깨위에는 결연한 의지가 있다. ‘그래 마음을 깨친 것은 그대이지 나는 아니다. 나는 초지일관, 학문의 완성을 도모하리라’ 그는 종남산 지상사로 발길을 옮긴다. 화엄학의 대가였던 지엄의 문하에서 화엄의 오묘한 진리를 터득하기 위해 노력한다.
의상은 귀국 직후 화엄십찰을 건립하여 화엄학의 전교 도량으로 삼았다. 그 10개의 사찰 가운데, 스님이 가장 오래 머물렀던 곳이 부석사이다. 부석사는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태백산 봉황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데, 신라 문무왕 16년에 고승 의상조사가 창건한 이래 우리나라 화엄종의 총 본산이며, 경내에는 천년 고적을 아직까지 고이 간직하고 있으니 목조의 무량수전과 조사당을 비롯해서 석등, 석탑, 본존불상과 조사당의 벽화 및 석조여래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는 국보 사찰이다.

참고문헌

5. 참고문헌

정병삼, 「불교교학의 발전, 유식과 화엄」, 『한국사상사입문』, 한국사상사학회 편, 서문문화사, 2006.
허남진 외,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1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서울대학교 한국학 자료총서 2,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설화 자료 http://osj1952.com.ne.kr/interpretation/samgugusa/kframe1.htm
설중환, 「한국의 이상적인 승려상 -「삼국유사」소재 불교설화를 중심으로 -」,『어문논 집』, 민족어문학회, 2000
이기백, 『신라 사상사 연구』, 일조각,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