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학교 교육론 신앙과 지성의 장으로서 의학교와 교육

 1  기독교학교 교육론 신앙과 지성의 장으로서 의학교와 교육-1
 2  기독교학교 교육론 신앙과 지성의 장으로서 의학교와 교육-2
 3  기독교학교 교육론 신앙과 지성의 장으로서 의학교와 교육-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독교학교 교육론 신앙과 지성의 장으로서 의학교와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라인홀드 니버는 그의 논문 “서구문화의 기원”에서 서구 문화를 구성해 온 이중적 기원을 “헤브라이적”인 것과 “헬라적”인 것이었다고 해석한다. 사물의 합리성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철학적인 마음(헬라적인 것)은 현대철학과 과학의 근거를 마련하였는가 하면, 궁극적인 계시를 증언하는 시적이고도 역사적인 상징들 속에서 신앙의 근거를 찾은 헤브라이적인 것은 이 역사 속에 하나님의 사랑을 심어놓은 것이었다는 것이다.
대학교 이전의 교육적 분위기는 희랍의 계보(아카데미-리키움-로마의 퀴드리비움과 웅변 학교를 거쳐 중세에 이르렀었고)와 히브리적 계보(교리 문답학교 -수도원학교- 교구 학교 >-그리고 본당학교를 통하여 무루 익어 있었다. 대학은 중세에 우뚝 솟은 지성의 도성이었다.
기독교 대학을 창단해낸 대학은 18세기 중엽의 미국의 하버드대학과 예일대학이었다.
서구문화와 그 무대에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는 새로운 사상들이 등장하여 문화운동으로 확장되어 갔다. 그 하나의 사상과 문화운동은 독일에서 일어났던 인본주의 운동이었다. 두 번째의 신문화운동은 개신교의 학풍운동이었다. 세 번째의 사상운동은 실재주의였다.
기독교학교와 공교육 사이의 분리현상이 1787년으로부터 1847년 사이의 “세속화” 시대를 거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고 한다. 미국은 기독교대학의 교육을 제외한 모든 공교육은 종교교육의 장(場)임을 포기하게 되고, 모든 기독교교육은 기독교 대학과 교회의 주일학교가 담당하는 형식으로 양분화되고 말았다.
한국 조선시대의 교육은 지배계급을 위한 관료지향의 교육이었다. 기독교학교의 시작은 민족 구원과 민족 구국교육까지도 자극한 역사적 원점이고 사건이었다. 기독교학교의 이름으로 창설된 배재, 이화, 경신, 정신 학당들이 신앙 교육과 만인 평등교육을 통합한 교육 형태로 나타났던 데 의미가 있다.
오늘의 학교는 “성공으로 가는 승강기”로 전락했고 공교육은 반종교적 명의를 내세워 “세속주의를 그 대안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두 번째 비판은 학교의 비대화에서 찾는다. 인간과 역사의 문화화를 목적으로 해야 하는 학교가 비대화와 함께 사회의 계층화와 소비문화 촉진의 시종으로 전락했다는 데 그 위기가 있다.
공교육으로서의 학교의 위기는 인격적이며 문화 창조적인 차원이 점차 소멸되어가는 데 있다면, 기독교학교의 위기는 공교육과는 정반대의 것이다. “자원의 결핍”이 바로 그것이다. 재정적 빈곤 때문에 교수 대우의 질적 저하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기독교학교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는 기독교 학교의 정체성과 관련되는 교육이념의 문제였다. 재정적인 빈곤이 가져오는 교육적 위기는 세 번째 문제라고 범주화할 수 있다.
한국의 기독교대학과 기독교학교들은, 신앙과 지성사이의 변증법적 통합을 이루지 못하는 이념의 실패 때문에 위기를 겪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기독교학교가 사는 길은 기독교학교만이 가져야 할 특성과 특색을 다시 그 몸 안에 부활시켜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학교의 현장화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접근은 보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독교학교를 보다 본래적인 교육 기능에로 회복할 수 있는가를 물어야 한다. 무엇이 기독교학교를 기독교학교답게 만드는 것인가? 기독교학교는 학문적, 인간적, 영적, 도덕적, 차원들을 함께 수용하는 공동체라고 그 본질을 이해한 바 있었다. 바로 이 차원들의 종합을 그 몸 안에 실현할 때 비로소 기독교학교는 역사 변화의 능력을 소유할 수 있으며, 세속대학이나 공립학교가 감히 이루지 못하는 문화와 영적 변화를 담당할 수 있는 것이다.
3장 교회 교육론 신앙-선교공동체로서의 교회와 교육 Ⅰ
교회교육이란 “주일 학교”(Sunday School)나, “교회학교”(Church School)를 포함하지만, 근원적인 개념에서 보면 교회라는 신앙 공동체가 전체적으로 수행하는 모든 교육적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인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기독교교육학계에서는 혼돈된 채 사용해 온 “이름”들을 그 영역에 따라 한계를 갈라놓는 학문적인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기독교교육”이란 반드시 기독교적 신앙을 그 내용과 전제로 하여 실시하는 모든 영역의 교육적 행위를 포괄하는 폭 넓은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종교교육”이란 모든 종교적 현상과 그 신앙적 내용들을 편견 없이 전달하는 다양성(多樣性)의 교육으로 정의한다.
“교회교육”이란 교회 전체가 교육하는 모든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기독교교육이란 반드시 교회교육이라는 차원에서 이해되어야한다는 것과, “교회”라는 신앙 공동체가 곧 교육의 주체이며 동시에 교육의 “장”이어야 한다는 데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