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다문화교육연구27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중도입국 학생의 학습 부적응 원인 분석 - 한·중 초등 수학 교육과정 비교 중심으로
남미연 ( Mi-yeon Nam ) , 오현주 ( Hyeon-ju Oh ) , 최광선 ( Gwang-seon Choi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20] 제13권 제2호, 21~55페이지(총35페이지)
중도입국 학생의 교과학습 부적응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이주배경 출신 국가와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중도입국 학생의 비율이 높은 중국의 초등 수학을 대상으로 한국의 초등 수학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도입국 학생의 수학 교과학습 부적응의 원인은 한국어 학습 어휘에 대한 소통능력이 부족한 점과 교과과정의 단원 구성 차이와 학년별 영역별 내용 체계의 차이로 인한 교수 학습의 방법 차이가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등 수학 교과의 학습 부적응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의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 분석을 바탕으로 각 학년별 단원에 제시된 학습 어휘 이해를 통해 학습 문제에 대한 적응을 도울 수 있도록 어휘 학습지를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각...
TAG immigrant student, maladjustment to studying, elementary school math, textbook, educational curriculum, 중도입국 학생, 학습 부적응, 초등 수학, 교과서, 교육과정
교육감 선거와 ‘인정의 정치’: 어떤 후보자가 ‘다문화’ 공약을 제시하는가?
함승환 ( Seung-hwan Ham ) , 이승현 ( Seunghyun Lee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20] 제13권 제2호, 57~79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인정의 정치’의 일면을 교육감 선거의 공약 측면에서 관찰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2014년과 2018년 전국동시지방선거로 치러진 교육감 선거에서 어떤 후보자가 다문화 관련 공약을 제시했는지 검토했다. 후보자 130명의 공약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 공약은 후보자의 정치적 진영이나 출마 지역의 특수성을 떠나, 높은 당선 경쟁력을 갖춘 후보자들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제시되어 온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거 후보자와 유권자를 ‘정치 시장’의 ‘합리적’ 참여자로 간주하는 ‘행위자 중심적’시각으로는 제대로 설명되지 않는 것이다. 대신, 후보자의 공약 제시가 상당한 정도로 ‘적절성의 논리’에 따라 이루어질 가능성을 강조하는 ‘제도주의’ 가설과 부합한다. 교육감 선거에서 다문화 공약은 높은 제도적 ‘정당성’을 갖춘 ‘...
TAG politics of recognition,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local elections, election promises, cultural diversity agendas, 인정의 정치, 교육감, 지방선거, 선거공약, 다문화 어젠다
내가 경험한 문화감응교육: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
조현희 ( Hyunhee Cho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20] 제13권 제2호, 81~109페이지(총29페이지)
문화감응교육(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은 1970년대부터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이론적 태동과 성장을 거쳐, 이후 30년간 세계 각국의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수업의 다양화를 추동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1여 년 간 문화감응교육을 배우고, 가르치며, 탐구한 나의 경험을 통해 문화감응교육의 본질과 지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는 개인의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이끄는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내가 경험한 문화감응교육은 급진적(radical)이고도, 현실적(realistic)이었으며, 변혁적(transformative)이었다. 교육 이론과 실천을 지배해온 주류중심의 담론을 다문화적 담론으로 전환하고자 한다는 데에서 급진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급진성이 교육 이론과 실천을 둘...
TAG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teacher education, narrative inquiry, 문화감응교육, 다문화교육, 교육과정과 수업, 교사교육, 내러티브탐구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2010-2020) 분석연구: Jenks, Lee, & Kanpol의 다문화주의 유형에 근거하여
박영진 ( Park Young Jin ) , 장인실 ( Chang In Sil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20] 제13권 제2호, 111~134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기본계획을 수집·분석하였으며, 관점 및 방향성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2010, 2014, 2018, 2020년도를 중심으로 정책을 내용 분석하였다. 그리고, Jenks, Lee, & Kanpol(2001)이 제시한 보수적, 개방적,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따라 이를 해석하여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2010년부터 지금까지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은 보수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다문화교육이 꾸준히 운영되고 있었다. 다문화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및 문화 적응 교육이 이 관점에 해당하는 다문화교육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좀 더 체계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010년부터 지...
TAG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conservative, liberal, critical multiculturalism, 다문화교육 정책, 경기도 교육청, 보수적, 개방적, 비판적 다문화주의
일본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정에서의 전환학습에 관한 연구
히로세준꼬 ( Junko Hirose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20] 제13권 제1호, 1~34페이지(총34페이지)
본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결혼이주여성들의 갈등과 문화적응과정을 전환학습적인 접근으로 파악하여 분석하며 삶의 특징을 찾아 논술하였다. 연구방법은 일본결혼이주여성 8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하였고 분석방법은 근거이론의 특징을 가지며 코딩기법의 분석부분을 명확하게 수정한「수정판 M-GTA」(Yasuhito.K. 2003)를 이용하였다.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결혼이주여성들은 문화적응과정에 있어서 경제적인 갈등, 남녀(부부) 간의 갈등, 세대 간의 갈등, 문화적인 갈등 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탕감’으로 수용하여 관점전환을 일으켜 전환학습을 이루어 나가는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전환학습의 1단계는 ‘어려움과 갈등’을 느끼는 경험이며 ‘어려움을 수용’(2단계) 하게 되면 자기성찰을 통한 비판적인 반성으로 관점...
TAG married immigrant Japanese women, transformative learning, perspective transformation, critical self-reflection, cultural adaptation process, conflict, indemnity, 일본결혼이주여성, 전환학습, 관점전환, 비판적 반성, 문화적응과정, 갈등, 탕감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대학생활경험 내러티브 탐구: 부산 A대학 아시아 유학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영주 ( Youngjoo Seo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20] 제13권 제1호, 35~58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고등교육 국제화를 위한 정부와 대학들의 노력의 결과, 국내 외국인 유학생수가 최근 16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한국에 유학 온 아시아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의 어려움과 그 과정 속에서의 스스로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산 소재 A대학교의 아시아 유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진행되었다. 모든 전사된 내러티브는 개인의 결정적인 경험(critical experiences)과 심리적 변화를 경험한 결정적 순간(critical moments)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 진학 동기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의 동경, 가족 및 주변인의 추천, 스스로 발전을 위한 준비 등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한국문화 적응 초기 경험하는 어려움은, 한국어로 인한 소통의 문제, 정서적 외로움, 새로운 환경에의 적응 문제 등으로 나타...
TAG foreign students, regional, university, Asian students, narrative inquiry, multicultural society, 외국인 유학생, 지방대학, 아시아 유학생, 내러티브 연구, 다문화 사회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이주배경여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현주 , 차윤경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20] 제13권 제1호, 59~90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주배경 여부에 따른 두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문화청소년 패널 자료와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자료 중학교 3학년 공통 문항과 척도를 추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학교적응이며 학교적응에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의 관심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관심은 자녀의 사회적 위축을 줄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집단 분석 결과, 두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경로는 사회적 위축이 학업성취에 이르는 경로였다. 이주배경가정 학생집단이 비이주배경가정 학생집단 보다 상대적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는 교육적 취약점...
TAG immigrant vs non-immigrant, Education gap, Comparative study,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이주배경가정 청소년 학업성취, 교육격차, 비교연구
KSL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한국어’의 개념 및 내용 체계 고찰
김호정 ( Hojung Kim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20] 제13권 제1호, 91~118페이지(총28페이지)
전지구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다양한 언어적·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이 한국 사회로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학교 현장에도 이처럼 다양한 언어적·문화적 배경을 가진 한국어 학습자 수요가 증대하면서 2012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이어 2017 한국어(KSL) 교육과정이 개발·적용되고 있다. 2017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에 비해, ‘학습 한국어’의 개념을 좀 더 구체화하고 구성 체계를 세분화하였으며, 언어 재료의 일부인 ‘어휘’, ‘문법’ 목록 개편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학습 도구 한국어’ 어휘를 ‘사고 도구 어휘’와 ‘범용 지식 어휘’로 세분화하고 각각의 어휘를 선정, 위계화하는 작업을 통해 목록을 강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 ‘학습 도구 한국어’와 ‘교과 ...
TAG KSL curriculum, Academic, Korean, Korean as a learning, tool, Korean for academics, language learning, subject, learning, KSL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 학습 도구 한국어, 교과 적응 한국어, 언어 학습, 교과 학습
청년기 호주 이주자의 문화적응 요소 및 변화양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박한울 ( Hanul Park ) , 김선아 ( Sunah Kim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20] 제13권 제1호, 119~143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호주에 거주하고 있는 청년기 해외 이주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청년기 해외 이주자의 심리적 특징 및 적응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는 해외 이주민 및 본국으로 들어오는 이주민의 적응과정에 대해 효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호주 이주민의 적응 요소의 중심에는 ‘생애 발달’이라는 키워드가 자리 잡고 있었다. 교육, 환경, 문화, 제도적인 측면에서 이주자들의 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적응과정에서 새로운 문화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었다. 미래를 스스로 결정하고 변화가능성이 높은 20-30대 연구참여자들의 적응 요인으로는 ‘문화 충돌’, ‘다름에 대한 대처’, ‘인식의 전환’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적응과정 단계로...
TAG cultural adaptation, Adolescence immigrants, adaptation process, cultural identity, case study, 문화적응, 청년기 이주자, 적응과정, 문화정체성, 사례연구
민족ㆍ문화 정체성 발달이론과 한국 다문화시민교육에의 함의
박선운 ( Sunun Park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2019] 제12권 제4호, 1~29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다문화시민교육의 측면에서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정체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발달되어 현재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인종 정체성, 민족 정체성, 문화 정체성의 개념 및 이들의 발달이론들을 소개하고, 이것이 한국의 다문화시민교육의 측면에서 학생들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줄 수 있는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Gay, Phinney, Banks가 제시하였던 세 가지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 모델들을 검토한 후, 이들이 1) 정체성을 역동적으로 바라보며, 2) 정체성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3) 소수 민족 및 문화집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민족·문화 정체성은 학생...
TAG racial identity, ethnic, identity, cultural identity, ethnicㆍ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theory,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민족정체성, 문화정체성, 인종정체성, 민족ㆍ문화 정체성 발달이론, 다문화시민, 교육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