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120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실내공기질 지표 이산화탄소 농도제어를 위한 흡착연구
( Jie Wang ) , 조영민 ( Young Min Jo ) , 오종민 ( Jongmin Oh ) , 허정숙 ( Jeong Sook Heo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3호, 198~209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의 평가지표인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활성탄소 나노섬유를 이용한 흡착·제어기술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PAN(Polyacrylonitrile) 전구체 용액을 사용한 전기방사(electrospinning)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를 고온에서 활성화하여 비표면적과 미세공 부피를 증가시켰다. 다음 단계로, 제조된 활성탄소 나노섬유 표면을 70% HNO3로 산화처리한 후, TEPA(tetraethylenepentamine)용액으로 함침시킴으로 섬유표면의 알칼리성을 증진시켰다. 일련의 조건으로 제조된 활성탄소 섬유들에 대한 이산화탄소(3000 ppm)의 흡착능을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활성화시간(30분, 60분, 90분)이 길어질수록 섬유 표면의 비표면적과 총 세공부피가 ...
TAG CO2 흡착, 전기방사, Electrospinning, HNO, 산화, TEPA, tetraethylenepentamine, 활성탄소섬유, CO2 Adsorption, Eelectrospun Nanofibers, Oxidation, Tetraethylenepentamine, TEPA, Activated Carbon Fibers, ANFs
미세먼지(PM10) 추세를 고려한 환경계획 적용 방향 제안
윤은주 ( Eun Joo Yoo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3호, 210~218페이지(총9페이지)
대기 중의 미세먼지(PM10) 농도가 꾸준히 저감되어 왔음에도, 미세먼지관리에 대한 대국민 인식은 악화되었다. 그 이유에는 첫째, 여전히 WHO기준을 상회하는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둘째, 환경기준(150mg/m3) 초과일수의 증가, 셋째, 체계적으로 지역 특성을 고려한 환경계획 수립 미비 등이 있으며, 이러한 현안을 보완하는 것이 시급하다. 특히, 국내 미세먼지의 관리는 배출원 저감에만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별 미세먼지의 발생원인과 현상을 분석하고 차별성, 시급성, 적용 가능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실효성 있는 환경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이후 10년간 전국 69개 도시의 미세먼지의 농도변화 추세와 현재 수준을 고려하여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
TAG 미세먼지, K-means 클러스터링, 공간자기상관성, 선형회귀, 그린인프라
중질유 오염토양의 세정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기저항가열의 최적 운전조건 도출
이환 ( Hwan Lee ) , 정재윤 ( Jaeyun Jung ) , 강두레 ( Doore Kang ) , 이철효 ( Cheolhyo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3호, 219~229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해안매립지역내 벙커C유로 오염된 토양을 대상으로 토양세정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기저항가열의 운전인자 별 최적 조건을 도출하여 융복합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회분식 실험결과 Tween-80 세정제 보다 VG-2020 세정제에서 약 1.5배 이상의 높은 세정효율 보였으며, 상온 시 대비 60℃에서 약 1.4배의 세정효율 증가를 가져왔다. 전기저항가열 박스 실험결과, 함수율 20∼40%의 토양에서 약 40~80분 내에 100℃까지 상승하였으며, 포화 토양층 내 STS 316재질의 파이프형 전극봉을 3각 배열 시 열전달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최적조건으로 토양온도를 60℃ 이상을 유지하기 위한 전극봉의 간격은 1.5 m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전기저항가열과 동반된 토양세정 박스실험에서는 5PV(Pore Volu...
TAG 전기저항가열, 토양세정, 벙커C유, 해안매립지역,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soil flushing, bunker-C oil, coastal landfill area
비침습 샘플 DNA 분석으로 유추한 영월 한반도습지 내 멧돼지(Sus scrofa)의 생태 연구
김민경 ( Minkyung Kim ) , 이상임 ( Sang-im Lee ) , 박효민 ( Hyomin Park ) , 이상돈 ( Sangdon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3호, 230~238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비침습 샘플인 털을 이용하여 영월 한반도습지 내 서식하는 멧돼지(Sus scrofa)의 유전분석을 통하여 그들의 서식 생태를 유추하였다. 털 시료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5월까지 한반도습지(2.772km2) 내에서 비빔목 및 헤어트랩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털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개체의 종과 성을 PCR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6개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를 이용하여 개체 구분과 개체 간 유전적 근연관계를 유추하였다. 수집된 털 시료 중 총 16개의 털이 멧돼지의 시료였으며, 이는 암컷 7마리, 수컷 3마리의 10개체로부터 수집된 것임이 판명되었다. 이 10개체의 유전적 관계를 추정해 본 결과, 이들이 만들어내는 45쌍 중에 9쌍의 개체가 친족관계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TAG 멧돼지, 한반도습지, 비침습적 샘플, , 근연관계, wild boar, hanbando wetland, non-invasive sample, hair, genetic relationship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실무 발전방향 연구 -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 시행계획 수립 및 이행을 중심으로 -
여인애 ( Inae Yeo ) , 홍승범 ( Seungbum Ho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2호, 79~92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 단계에서 정책 실무자에게 주어지는 정보 현황과 수요를 파악하고 향후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지식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 및 이하 기초지자체 생태계 분야 소관부서에서 적응 실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무에 활용되는 생태정보 활용현황을 분석하고 활용도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응답자 전체(231명)의 75%(광역 85%, 기초 72%)는 생태정보의 존재 및 활용이 적응사업 수행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적응업무를 포함한 생태계 소관부서 내 업무 전반을 위해 생태정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광역 82%, 기초 72%). 그러나 실제로 국가 및 지자체에서 생산하는 생태정보를 업...
TAG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생태계서비스, 적응정책, 실무, 공무원, 생태정보, Climate change, Biodiversity, Ecosystem Services, Adaptation strategy, Public practices, Civil servants, Ecosystem information
건강영향을 고려한 산업단지 개발의 계획 적정성 평가방법론 연구
신문식 ( Moonshik Shin ) , 이영수 ( Youngsoo Lee ) , 하종식 ( Jongsik Ha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2호, 93~111페이지(총19페이지)
현행 국내 건강영향평가는 환경영향평가제도 내 특정 개발사업에 한해서 수행된다. 하지만 건강영향평가가 개발사업의 시행 단계에서 수행됨에 따라 심각한 건강 악영향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경우에 운영으로 인한 건강 악영향 예상 및 개발단계에서의 건강영향평가로 인해 환경갈등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산업단지 개발에 있어 건강영향을 고려한 계획 적정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개발사업들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US EPA의 CalEnviroScreen 3.0 및 US ATSDR의 Public Health Assessment를 참조해서 건강영향을 고려한 계획 적정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지역사회 특성, 배경노출, 그리고 개발부담으로 구분한 지표 사용을 제안하였...
TAG 건강영향평가, 계획 적정성 평가, 지역사회 특성 지표, 배경노출 지표, 개발부담 지표, Health Impact Assessment, Plan Adequacy Evaluation, community characteristic indicators, background exposure indicators, development burden indicators
국내 연안개발에 따른 조하대 유기물 오염지표종 분포 연구
한형섬 ( Hyoung-sum Han ) , 이승현 ( Seung-hyun Lee ) , 김종춘 ( Jong-chun Kim ) , 손대선 ( Dae-sun Son ) , 마채우 ( Chae-woo Ma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2호, 112~121페이지(총10페이지)
연안개발에 따른 유기물 오염은 유기물 오염지표종의 분포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유기물 오염지표종이 대상해역에 장기간 우점하여 저서생태계를 교란시킨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전 해역을 대상으로 조하대 저서생태계 유기물 오염정도를 확인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안개발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의 조하대 저서동물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유기물 오염지표종의 분포를 확인하고, 우리나라 전 해역 조하대 유기물 오염정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유기물 오염지표종별 분포 현황을 이미지 프로그램을 통해 지도로 작성하고, 전체 출현분포 현황을 통해 전 연안의 저서건강도지수(BHI, Benthic Health Index)를 도식화하였다. 유기물 오염정도는 사업구분 및 유기물 오염지표종별 분포가 다양하였으며, 유기물 오염지표종 중 Lumbrineris sp.가 전 해역에...
TAG 연안개발, 유기물 오염지표종, 조하대, 저서생태계, 저서건강도지수, coast development, organic pollution indicators (OPI), subtidal, benthic ecosystems, benthic health index
해양공간계획 수립을 위한 방문밀집도 및 중점관리지역 규명: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김윤정 ( Yoonjung Kim ) , 김충기 ( Choongki Kim ) , 김강선 ( Gangsu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2호, 122~131페이지(총10페이지)
해양공간계획은 생태계서비스 개념에 기초하며 최근 연안 및 해양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책개발자는 해양공간계획 개념에 기반을 둔 의사결정을 위해 각 해역별 자원의 이용현황과 그 특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해변관광은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자원 이용활동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활동이며 다수의 문화서비스 수혜를 유도하여 중요하다. 그러나 해변관광의 규모와 방문현황의 공간적 특성을 광역단위로 평가할 수 있는 정보가 부재하며, 현장조사의 경우 높은 비용과 노동력이 요구되어 적용이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신규 대안으로 소셜 빅데이터의 해양공간계획 적용방안을 제안하고 트위터, 플리커 정보에 기초한 중점관리지역 도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남해 연안육역 일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소셜미디어에서 추출한 플리커, ...
TAG 문화서비스, 공간적 방문패턴, 해변관광, 공간계획, 소셜미디어, cultural service, spatial visitation pattern, coastal tourism, spatial planning, social media
지방자치단체의 환경영향평가 제도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 서울, 제주, 부산, 대전 등 8개 지자체를 중심으로 -
김진오 ( Jin-oh Kim ) , 민병욱 ( Byoungwook Mi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2호, 132~143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그동안 지자체에서 시행해오던 환경영향평가 제도 현황 및 운영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자체 환경영향평가 운영체계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과제 수행 방법으로는 행정분권화에 따른 지자체 환경영향평가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서울시, 제주도, 부산시, 대전시 등 주요 지자체들의 환경영향평가 조례 현황을 분석하고 해당 지자체 담당 공무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협의 및 운영실태, 그리고 제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자체 환경영향평가제도 시행의 주요 성과는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대상 및 항목의 선정과 지속적 평가관리가 가능하고, 자체적인 사후조사 관리 등을 통해 평가 협의 후 지자체의 모니터링 및 관리 감독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는...
TAG 환경영향평가, 지방자치제, 운영현황, 성과와 문제점,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local self-governing system, operation status, accomplishments and limits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에서 생태공학 도입과 활용
구경아 ( Kyung Ah Koo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0] 제29권 제2호, 144~155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태계의 보전 및 생물다양성 보전과 증진을 통한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하여 우리나라 생태계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평가기법과 이의 정책적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기법 활용 현황을 분석하였고, 둘째, 생태공학 기법을 기반으로 지역 규모의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를 위한 개념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분석 결과의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국외에서 보호지역 지정 시 다양한 분석 모형을 활용하고 있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 생태계 모니터링 및 생태연구 자료가 부족하여 보호지역 지정 분석기법의 개발 및 적용이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미소 규모나 지역 규모보다는 국가 규모의 분석에 기반한 보호지역 지정이 주를 이루고 있어 지역 규모의 다양한 생태계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보호지역의...
TAG 보호지역, 생태공학, 지역 생태계, 환경변화, 개념 모형, Protected area, Ecological engineering, Environmental change, Conceptual model, Localscal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