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AND 간행물명 : 예술과 미디어37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유희문화로서의 조형매체 -빌렘 플루서 매체미학을 중심으로-
이수홍 ( Lee Soohong ) , 장준호 ( Jang Jun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55~69페이지(총15페이지)
이 논문은 추상게임과 조합게임을 통한 빌렘 플루서의 매체미학을 중심으로 유희로서의 조형언어를 초점으로 연구하였다. 빌렘 플루서는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의 개념에 문제를 기하며, ‘피상성’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플루서의 피상성의 개념은 후설의 현상학에서 언급하는 현상과 본질을 이원화하여 현상보다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실체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현상과 본질을 동일시하며, 현상에서 실체를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현상과 본질이 일체화되어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컴퓨터화를 통한 예술의 행위에 있다고 말한다. 빌렘 플루서의 미디어론은 이러한 피상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추상 게임과 조합 게임을 통한 유희 놀이라고 할 수 있다. 추상게임이란 4차원의 코드가 0차원의 코드로 축소 분해되는 과정이고, 조합게임은 반대로 0차원의 코드가 4차원으...
TAG 아우라, 피상성, 추상게임, 조합게임, 유희, 코드 작동 구조, 기술적 그림과 기술적 상상, Aura, Superficiality, Game of abstraction, Game of combination, Play, Structure of code functioning, Technical painting and Technical imagination
한국 가톨릭 종교조각에서의 이미지의 수용과 창작 - 성육신과 이콘 담론을 중심으로 -
김성호 ( Kim Sung-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71~97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 가톨릭 종교조각에서의 성육신(Incarnation)과 이콘(Icon)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 가톨릭 종교조각에서의 이미지의 수용과 창작’에 관해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먼저 가톨릭 종교조각의 개념과 정의를 검토한다. 이어서 한국 가톨릭 종교조각사의 개요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가톨릭 종교조각의 통시적(diachronic)이고 공시적(synchronic)인 맥락을 전체적으로 조망한다. 이러한 연구를 거쳐, 이미지와 관련이 있는 이콘(Icon), 에이콘(Eikon), 첼렘(Zelem), 이마고(Imago)의 의미와 변천을 연구한다. 한편 서구 교회사에서 하느님의 형상과 관련한 성육신과 이콘 담론이 전개되었던 ‘성상 숭배파(iconolatry)’와 ‘성상 파괴파(iconoclasm)’들의 대립을 거쳐 ‘성상 옹호’라는 입장에 ...
TAG 한국 가톨릭 종교조각, 성육신, 이콘, 체현, 이마고, 이미지의 수용과 창작, Korean catholic religious sculpture, Incarnation, Icon, Embodiment, Imago, Acceptance and Creation of Image.
1970-80년대의 한국화 경향 연구 - 현대진경과 수묵화 운동을 중심으로 -
김미진 ( Kim Mijin ) , 강지은 ( Kang Jieu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99~120페이지(총22페이지)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나라 한국화 화단은 일본에 의해 전통이 은폐되었고, 해방 이후 뿌리를 되찾기도 전에 서양의 조형주의가 무방비하게 유입되었다. 해방이 되자 전통화단이라고 불리어왔던 한국화 화단은 전통을 바로 세워 일본 색을 제거해야 하는 의무를 지녔을 뿐 아니라 새로운 미술사조에 적응해야 했다. 전통에 대한 모색과 미적 모더니티 사이에서의 실험과 변혁에 관한 문제는 한국화 화단에서 늘 추구해 나가야 할 가치와도 직결된다. 60년대 들어서 나타난 추상 경향의 동양화는 기존 전통산수를 시대착오적이라 지적하며 입체주의와 추상표현주의를 참고하여 화면을 구성했다. 1970대에 들어서면서 한국화 화단은 전통을 진경 내지 수묵정신으로 삼고, 소재와 매체를 적극적으로 실험하기 시작한다. 한국화 분야에서 1970-80년대의 시기가 중요한 이유는 전통과 현대성 사이의 균...
TAG 산수화, 현대진경, 이종상, 수묵화 운동, 송수남, Real landscape painting, Modern real landscape painting, Lee Jong-sang, The Su-muk movement, Song Soo-nam
1990년대 중국 비디오 아트에 나타난 현실 인식 - 장페이리의 초기 비디오 작품을 중심으로 -
오진이 ( Oh Jinyee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119~141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의 주제는 중국 초기 비디오 아트에 나타난 현실 인식이다. 이를 통해서 연구자는 중국이 정치적으로는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되 경제적으로 시장 자본주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중에 대두된 사회 문제를 바라보는 예술가의 비판적 시각과 이를 표현하는 매체로서 비디오가 가지는 특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1990년대 들어 중국 미술계 내에서 하나의 흐름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비디오 아트는 비교적 짧은 시기 동안 작품의 다양성이나 작가 수에 있어서 상당한 성장을 이루었다. 비디오 아트의 후발 주자로서 중국 미술가들이 장비와 기술의 한계 속에서 이루어낸 성과나 비디오 아트의 세계적 추세에 조응하는 시각적, 미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주목해 온 바이지만, 비디오 아트의 성격을 중국 현대 미술의 흐름 속에서 종적으로 고찰하고 그 안에서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TAG 중국 현대미술, 비디오, <현상/영상> 전, 검열, 장페이리, Chinese contemporary art, video, Phenomenon/Image, censorship, Zhang Peili
사적 경험의 네러티브 표현에 관한 연구 - 그레이슨 페리의 드로잉을 중심으로 -
이수홍 ( Lee Soohong ) , 이연숙 ( Lee Yeonso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143~162페이지(총20페이지)
서구 미술의 경우, 종교 혹은 신화 등이 예술적 주제가 되었던 근대 이전의 시기에 예술은 일부 권력 및 지배 계급의 후원을 받아 발전되었기 때문에 창작자의 자율성은 극도로 제한되었다. 현대 미술에서 주제 및 재료의 활용은 다양해졌으며, 그레이슨 페리처럼 작가가 작품의 주제나 소재로 등장하는 것 역시 가능해졌다. 즉, 작가의 개인적이고 사소한 자전적 이야기가 작품의 주제가 되었다. 이는 작가의 성장 배경과 경험이 작가의 작품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배경지식이 되기도 하지만, 작가 스스로의 삶이 회화적 주제이자, 작가 스스로가 살아 있는 작품이 되기도 한다. 현대 예술 영역에서 작가가 자신의 자전적 내러티브를 대중에게 공개하는 것은 어떤 심리에서 비롯된 것일까? 자전적 내러티브를 작품화하는 작가들의 등장은 현대 사회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엿보...
TAG 트라우마, 사적 내러티브, 자전적 드로잉, 치유, 의식 향상, Trauma, Personal narrative, Autobiographical drawing, Healing, Consciousness raising
조감적(鳥瞰的) 이미지의 현대적 변용 -드론(Drone)시점의 몽타주적(的) 가상이미지를 중심으로-
양성원 ( Yang Seongw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163~179페이지(총17페이지)
21세기 미술은 가상의 아이템과 인공적인 오브제들을 현실적 상황으로 간주하며 새로운 이미지의 발견과 재창조를 요구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인공풍경’을 작품의 주제로 정하였고, 기존 미술가들의 조감적(鳥瞰的) 회화와 차별화하여 ‘하늘에서 수직으로 내려다본 -Top-View-’ 방식에서 비롯한 풍경의 조형화에 목적을 둔다. 드론영상(Dronography) 이미지는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듯 수직하향의 이미지로써 걷는 사람의 눈높이에서 관찰된 서정적 풍경과는 달리 다양한 시각 구성과 종합적인 풍경요소들의 특징을 색다르게 제공한다. 연구자는 조감적 드론영상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회화를 표현하기 위해 조형언어의 기본인 ‘점(點)’에 주목했고, 점묘를 구현하기 위해 종이판을 타공하는 방법으로 점(點) 요소를 얻어내었다. 이렇게 드론영상과 타공된 종이...
TAG 조감적 이미지, 드론영상, 점묘, 이미지 합성, 몽타주, 가상적 이미지, Bird's-eye images, Dronography, Pointillism, Image synthesis, Montage, Virtual images
현대 유리조형의 일루전 효과와 확장가능성
이강모 ( Lee Kangm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181~201페이지(총21페이지)
현대 유리조형은 기존의 유리공예 개념과는 달리 조형에 중점을 두면서 예술과 산업의 접목을 시도한다. 특히 유리조형에서 나타나는 일루전(Illusion)의 개념은 기존 미술에서 논의되던 일루전 개념과는 달리 유리라는 재료 자체에서 나오는 시각의 확장성을 통해 예술 공간의 개념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시지각의 대상을 단순히 대상으로만 한정하는 기존의 입체조형과는 달리 유리조형은 시·지각이 가지는 다양한 요소를 일상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예술공간이 일상공간에 공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유리조형은 이미 건축을 비롯한 산업과 접목을 하고 있는데, 특히 유리 재료 산업의 발전은 유리조형의 예술적 기능을 강화하고, 유리조형의 예술성은 기존의 유리산업이 가지는 형태적 한계성을 극복해주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따라서 유리조형은 미래의 새로운 예술교육과 산업에 접목...
TAG 유리조형, 일루전, 건축, 유리산업, 제작기법, Glass Art, Illusion, Architecture, Glass Industry, Manufacturing techniques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정경연 ( Chung Kyoung-yeon ) ,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203~227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의 디자인 활용가치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텍스타일 산업의 다양한 소재 개발 및 제품 적용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의 등장배경과 개념, 방염의 기술적 원리,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의 법적근거 등을 포함한 사회적 사용 확산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방염기능성을 갖춘 텍스타일 디자인을 실재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원단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을 소재로 제작한 실용적 상품에 대해 방염원단의 디자인적 활용 가치를 분석하였다. 원단 회사와 각 회사의 원단들 및 원단이 활용된 디자인 제품에 관한 정보는 각 온라인 사이트를 통하여 수집하였고, 연구자가 직접 관람한 2018 HEIMTEXTIL(하임텍스타일) 박람회의 2900여 개 업체 중 방염원단을 취급한 전리품...
TAG 텍스타일, 텍스타일 디자인, 방염기능성 원단, 방염원단, 방염소재, Textile, Textile design, Fabric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Flame-resistant fabric, Flame-resistant material
인도네시아 바틱 모티브의 상징적 의미와 현대적 활용 사례
조민정 ( Jo Min-jung ) , 김성연 ( Kim Seong-ye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229~249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바틱이라는 전통문화가 인도네시아의 국가 정체성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만든 요인들을 분석하고 인도네시아의 역사가 바틱 모티브에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였는지 고찰해본다. 그리고 그러한 고찰에 기반하여 바틱 문양에 내재되어있는 상징적인 의미와 현재 활발하게 전승되고 발전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에 바틱의 활용된 현황을 살펴본다. 인도네시아의 역사는 다문화 다민족의 나라로 다양한 종교들이 그들의 문화를 지배하였다. 이러한 문화는 바틱의 형성과정에 있어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각 지역별 바틱 모티브에는 다양성과 지역의 정체성이 나타난다. 또한 각 지역의 모티브는 그들만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중부자바는 궁중 문화로서 바틱의 의미가 가장 중요하게 부각된다. 모티브는 화면에 비어있는 공간이 없으며, 여백은 가느다란 선이나...
TAG 바틱, 인도네시아, 전통문양, 모티브, 패션, 상징, Batik, Indonesia, traditional pattern, motif, fashion, symbol
미의 객관적 기준을 너머 - 캔 윌버(Ken Wilber)의『아이 투 아이: 감각 이성 관조의 눈』
조관용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8] 제17권 제2호, 251~253페이지(총3페이지)
본 연구는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바틱이라는 전통문화가 인도네시아의 국가 정체성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만든 요인들을 분석하고 인도네시아의 역사가 바틱 모티브에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였는지 고찰해본다. 그리고 그러한 고찰에 기반하여 바틱 문양에 내재되어있는 상징적인 의미와 현재 활발하게 전승되고 발전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에 바틱의 활용된 현황을 살펴본다. 인도네시아의 역사는 다문화 다민족의 나라로 다양한 종교들이 그들의 문화를 지배하였다. 이러한 문화는 바틱의 형성과정에 있어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각 지역별 바틱 모티브에는 다양성과 지역의 정체성이 나타난다. 또한 각 지역의 모티브는 그들만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중부자바는 궁중 문화로서 바틱의 의미가 가장 중요하게 부각된다. 모티브는 화면에 비어있는 공간이 없으며, 여백은 가느다란 선이나...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