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무용연구57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1930년대 유성기 음반에 담긴 취포무(醉袍舞)의 검토
김민지 ( Kim Min-ji ) , 박혜리나 ( Park Haerina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4호, 23~49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1930년대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음원을 통해 전대미문의 ‘취포무(醉袍舞)’를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악곡에 대한 기초자료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성기 음반은 최초의 음향기록 매체로 당시 전통사회의 예술흔적을 그려볼 수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고 선행연구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어 온 전대미문의 곡 탐구를 통해 현행 민속음악과의 관련성 또한 그려볼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35년 11월 14일 취입한 빅타 레코드사의 유성기 음반 속 ‘취포무’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고 채보하여 어원 탐색 및 악곡 분석을 실시하였고, 세부적인 영역으로 판단적 표집을 통한 전문가 인터뷰를 함께 참고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취포무의 음악적 갈래는 무용음악이었고, 지칭하는 무용은 승무의 영향을 받은 한...
TAG 취포무, 유성기 음반, 무용음악, 대풍류, 한량무, Chwipo-mu, gramophone record, dance music, Daepungryu, Hanryang-mu
구덕망깨소리에 나타난 춤의 특성
김해성 ( Kim Hea-s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4호, 51~75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부산의 전통 건축에서 터를 다지는 작업인 구덕망깨소리에 나타난 춤의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1호인 구덕망깨소리를 노동몸짓인 가래질과 망깨질 그리고 노동 후의 여흥춤인 쾌지나칭칭소리의 민요춤으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구덕망깨소리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춤은 경상도의 덧배기춤이다. 덧배기춤은 향토춤으로서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추는 일종의 허튼춤을 말한다. 망깨소리에서 춤이 추어지는 장면은 길놀이 형식의 입장 때와 가래질과 망깨질의 노동 장면 그리고 마지막 뒤풀이인 쾌지나칭칭소리 때 춤이 추어진다. 구덕망깨소리에 내포된 춤의 특성은 자연미와 토속성 그리고 즉흥성이 돋보인다. 노동요와 춤이 결합된 일소리춤으로서 특히 일을 하면서 소리를 하는 노동몸짓과 일을 마치고 여흥으로 춤을 추는 허튼춤이 함께 결합...
TAG 구덕망깨소리, 노동몸짓, 덧배기춤, 일소리춤, 민요춤, Gudok Mangkkae-sori, laboring motion, Deotbaegi-chum, Ilsori-chum, folk dance
일제강점기 화장문화를 통해 본 무대분장
박선욱 ( Park Seon-ouk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4호, 77~95페이지(총19페이지)
일제강점기 한국의 근대사가 펼쳐지던 시기에 신문화의 하나로 화장문화의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이 시기에 서구식 무대개념이 도입되고 무대기술의 획기적 변화가 생기면서 무대분장도 발달하게 되었다. 화장문화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과 태도의 변화와 더불어 무대분장의 발달은 서로 영향을 주며 신문화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이런 과정의 중심에 동양극장이 있었고, 서구적 개념의 무대와 공연예술이 펼쳐진 동양극장의 분장교육 및 훈련은 전문가 양성의 기틀을 마련한다는 측면이 강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제강점기 무대분장의 성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신여성, 신문화의 하나로 화장문화가 일반화되며 문화현상으로서 공연예술계에도 작용했다. 둘째, 한국 근대무대분장의 시발점은 서구식 무대의 유입과 관련되며, 분장 자체 내의 특성보다 작품의 표현력 확대를 위...
TAG 무대분장, 화장문화, 동양극장, 최승희, 배구자, Stage makeup, Cosmetic culture, Oriental theater, Choi Seung-hee, Bae Gu-ja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CMS 및 화면 레이아웃(layout) 구현
백현순 ( Baek Hyun-soon ) , 김양희 ( Kim Yang-hee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4호, 97~120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개발을 위하여 CMS와 웹사이트 화면 레이아웃을 구현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CMS와 웹사이트 각각의 페이지에서 한국무형문화재 춤 정보를 탐색하고, 메뉴의 위치 및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배치도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데이터 관리자용 웹페이지인 CMS에서는 크게 메인 페이지, 춤 콘텐츠 DB 등록 및 수정, 춤 콘텐츠 상세조회 및 삭제, 미디어 콘텐츠 등록 및 삭제 기능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검색창, 목록별 색인, 태그 등을 통해 춤 종목을 다양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데이터 사용자용 웹페이지인 웹사이트 화면에서는 크게 ‘지도 춤 검색’, ‘텍스트 춤 검색’, ‘미디어’, ‘연구 소개’의 메뉴로 구성되었다. 춤 종목 검색은 한국무형 문...
TAG 한국무형문화재 춤, 레이아웃, CMS, DB, 콘텐츠, Kore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layout, contents
비행청소년의 교정을 위한 춤 교육 경험 연구
신은주 ( Shin Eun-ju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4호, 121~14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부산지역 소년원의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춤 교육을 통한 힐링과 변화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년원학교의 비행청소년 60명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실시된 춤 교육프로그램 중 2015년부터 2016년인 1년간 수집된 연구대상자의 집단면담 자료와 교사들의 면담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 중에서 설명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들은 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춤이 자신의 신체와 영혼을 치료하는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스스로 평가했다. 둘째, 발표회를 통해 마음을 열었고 상호간의 신뢰성을 쌓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에 복귀하는데 도움이 됐다는 반성(reflection)을 내놓았다. 앞으로 춤 교육이 비행청소...
TAG 비행청소년, 교정, 춤 테라피, 반성, 춤 교육프로그램, juvenile delinquents, correction, dance therapy, reflection, dance education program
반구대 암각화 인간 형상 제시양상에 따른 우리춤 특성 연구
이남영 ( Lee Nam-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4호, 147~173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 예술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반구대 암각화의 인간 형상을 통해 선사시대 우리춤의 연행적 모습을 재현하고 우리춤 특성을 밝히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문헌에서 나타난 반구대 암각화의 특성인 방향성과 조형성을 중심으로 우리춤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인간 형상의 정면성은 권위와 힘을 상징하는 주술가, 샤먼, 무당의 형상으로 우주목과 탈을 사용하여 춤을 추었을 것으로 본다. 측면성은 인간의 행위를 강조하는 것으로 종교적 제의의 현장에서도 관객의 참여적 춤을 중요시 여기는 우리의 춤 전통과 연관하여 생각해볼 수 있다. 암면의 북향은 죽음과 재생의 의례, 하지 제사, 의례의 밤의 시간성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조형적 특성으로 기교보다는 자연스럽게 나오는 한국춤의 움직임과 끊이지 않는 곡선을 강조하는 자연주의적 심미관을 우리 춤사위에서 볼 수 있...
TAG 우리춤, 한국춤 특성, 반구대 암각화, 선사예술, 바위그림, Korean dance, Charateristic of Korean dance, Bangudae Petroglyphs, prehistoric arts
한국무용 안무가가 인식하는 ‘한국창작춤’의 유형과 특성
장지연 ( Jang Ji-yeon ) , 윤수미 ( Yoon Su-mi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4호, 175~202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무용 안무가가 인식하는 ‘한국창작춤’의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고자 인간의 주관적 영역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35개의 Q표본과 44명의 P표본을 선정하여 QUANL 분석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무용 안무가가 인식하는 ‘한국창작춤’의 유형은 5개로 분류되었다. 둘째, ‘한국창작춤’의 유형별 특성으로 제1유형은 한국춤의 본질인 춤 호흡과 정신을 기반으로 새롭고 다양한 움직임의 춤을 한국창작춤으로 인식하는 유형. 제2유형은 어느 형식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형식의 춤을 한국창작춤으로 인식하는 유형. 제3유형은 뚜렷한 메시지의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춤을 한국창작춤으로 인식하는 유형. 제4유형은 전통춤 어법과 동시대적 표현 양식이 결합된 춤을 한국창작춤으로...
TAG 한국무용, 한국창작춤, 안무가, Q방법론, 주관성 연구, Korean Dance, Korean Creative Dance, Choreographer, Q Methodology, Subjectivity Study
조선시대 진주검무와 현행 진주검무의 춤사위 비교연구
백봉선 ( Baek Bong-sun ) , 송미숙 ( Song Mi-sook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3호, 1(총1페이지)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진주검무와 현재 전승되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제 제12호 진주검무를 살펴봄으로써 춤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 기법 및 영상자료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론은 첫째, 조선시대 진주검무의 복식은 전립, 남색쾌자, 그리고 군복의 일종인 융복을 착용하였으며, 이는 현행 진주검무의 복식도 동일하나 술띠와 한삼은 조선시대 이후에 사용되었다. 둘째, 조선시대 진주검무는 삼현육각으로 연주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으며, 현행 진주검무는 대풍류 삼현육각으로 연주된다. 셋째, 조선시대 진주검무 대형은 2열 종대, 2열 종대 무진무태, 원형 대형으로 나타났으며, 현행 진주검무 대형은 2열 종대, 2열 종대 무진무태, 2열 종대 뒤보기 대형, 원형 대형, 1열 횡대로 연행되는데 1열 횡대는 조선시대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
TAG 진주검무, 춤사위, 조선시대, 변천과정, 궁중검무, Jinju sword dance, dance movement, Joseon era, transition process, court sword dance
홍애수건춤 춤사위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
송경숙 ( Song Kyung-suk ) , 송미숙 ( Song Mi-sock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3호, 23~39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 전통춤의 백미라 일컬을 수 있는 살풀이춤 종목 중 명주수건을 들고 추는 춤 중에서 경기도 안성의 백단(白丹)수건춤인 홍애수건춤의 춤사위에 내포되어 있는 여인의 고달픈 삶에 대한 표현에 대한 상징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문헌연구방법과 영상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홍애수건춤의 총 62개 춤사위를 분석하였으며, 춤사위 중 여인의 삶에 대한 표현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구분하면 첫째, 여인의 일상을 표현한 동작 둘째, 여인 삶의 고뇌를 표현한 동작 셋째, 역경을 극복하는 과정을 표현한 동작 넷째, 새 삶으로 도약하는 부활을 표현한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홍애수건춤 춤사위는 인위적이거나 양식화되지 않고 토속적이고 자연스러운 투박한 멋을 지녔으며, 여인들의 힘겨운 일상생활과 삶의 고뇌를 표현한 상념의 춤으로 표현된다. 또한...
TAG 홍애수건춤, 백단수건춤, 상징성, 안성향당무, 춤사위, Handkerchief Dance, Baekdan Handkerchief Dance, symbolism, Anseong Hyangdangmu, dance movement
전통춤 마루의 유형과 특징 - 승무와 목중춤을 중심으로 -
송성아 ( Song Sung-a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19] 제37권 제3호, 41~6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마루와 관련된 지난 연구를 종합하여, 마루의 2가지 유형을 예시하고 그 특징을 체계적으로 논구함으로써, 마루의 실상을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한영숙류 <승무>와 봉산탈춤 <목중춤>을 중심으로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루는 소마루의 존재유무에 따라, ‘소마루가 없는 마루’와 ‘소마루가 있는 마루’로 양분할 수 있고, 각각을 홀마루와 겹마루라고 명명한다. 둘째, 홀마루는 소마루가 없는 마루이다. 제자리, 앞, 뒤, 좌우, 원 따위로 이동한 다음 원래 자리로 되돌아오는 경로가 1개뿐이다. 어휘적 춤사위로 구성되며, 맺고 푸는 짜임새를 갖는다. 셋째, 겹마루는 소마루가 있는 마루이다. 그리고 원래 자리로 되돌아오는 경로가 2개 이상이다. 소마루는 앞서 살핀 홀마루와 동일한 경로, 요소, 원리를 갖지만, 홀마루처...
TAG 전통춤, 마루, 경로, 어휘적 춤사위, 맺고 풂, traditional dance, maru, path, lexical chumsawi, matgo-pum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