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

 1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1
 2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2
 3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3
 4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4
 5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5
 6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6
 7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7
 8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8
 9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9
 10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10
 11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원능력평가제도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문


Ⅱ-1. 교원능력개발평가 소개



Ⅱ-2.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배경과 필요성



Ⅱ-3.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과 구조



Ⅱ-4.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해외사례



Ⅱ-5.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긍정적 효과



Ⅱ-6.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문제점 및 대안



Ⅲ. 결 론



Ⅳ.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Ⅱ-3.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과 구조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장‧교감‧교사의 평가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교사의 경우에는 직무 중 핵심 분야인 수업지도와 학생지도를 그 평가 영역으로 하며, 교장‧교감의 경우에는 학교 운영을 평가 영역으로 한다. 평가 방법은 동료 교사들의 평소 관찰, 수업 참관 등을 통하여, 학생‧학부모의 경우에는 만족도 표기 및 의견 서술 방식으로 교사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 또한 타당하고 객관적인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운영해 나가기 위해 학교와 교육청에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평가의 절차, 지표, 조사지 등 보다 구체적인 사항들에 관해서는 개별 학교들이 각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구성할 수 있다. 동료 교사와 학생, 학부모로부터 받은 피드백 결과에 따라 교사는 자기능력개발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며, 이를 제출받은 학교, 지역 또는 국가는 그에 맞는 교원능력개발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계획을 수립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구조는 피드백을 통하여 개별 교사들의 능력 발전이 필요한 분야들을 객관적으로 발굴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Ⅱ-4. 교원평가의 해외 사례

- 교육의 품질 높이려 대부분 도입
교원능력개발평가제를 둘러싸고 우리 교육계가 논란을 거듭하는 가운데 세계 각국은 이미 제도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국가 발전을 위해 세계 각국의 학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교육 품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원평가가 관심을 끌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각국 정부에 현직 교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원평가를 권고하고 있다. 또 업무 수행 능력이 부족한 교사에 대한 적절한 대응 조치를 강구할 것도 함께 조언하고 있다.

• 일본의 교원평가

일본은 2000년부터 교원평가를 도입했으며, 평가 결과에 따라 저평가를 받은 부적격 교원을 교단으로부터 떠나게 하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일본 정부가 부적격 교원을 퇴출시키는 카드를 내민 데는, 일본 사회에 팽배해 있는 공립학교에 대한 불신으로 인한 위기감이 큰 역할을 했다.
가장 먼저 본격적인 교원평가를 도입한 곳은 ‘도쿄도’로, ‘도쿄도’에서 부적격 교원에 대한 신청은 교장이나 지역교육위원회가 한다. 도교육위원회에서 부적격 교원으로 판정받은 교사는 단기코스(10일), 중기코스(40일), 장기코스(1년) 등의 󰡐지도력 스텝 업(지도력 향상)󰡑 연수를 받게 된다. 장기연수를 받을 경우 근무지에는 대체 교사가 배치된다. 특히 연수에 따른 성과가 없는 경우 2~3년까지 연장되며 중도에 본인 스스로 퇴직하기도 한다.

• 중국의 교원평가

중국도 교원평가를 실시하고 있는데, 중국 역시 평가를 통해 자질이 없는 부적격 교사를 교단에서 퇴출시키는 등 체계적인 인사 관리의 수단으로 활용해왔다. 평가 내용은 수업 평가, 수업안 작성, 과제, 상담, 연구, 복무, 업무량 등 업무 능력과 강의 효과, 강의 성적, 연구 성과물 등 근무 실적이다.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교원능력개발평가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 2008.
김광호 외, 『교육개발 통권 160호』, 한국교육개발원, 2007.
김갑성, 「2008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운영 결과 분석 연구」, 한 국 교 육 개 발 원 , 2008.
교육과학기술부, 「교원능력평가 활용과 도입에 대한 여론조사 보고서」, 리서치 앤 리서치,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