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

 1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1
 2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2
 3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3
 4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4
 5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5
 6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6
 7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7
 8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8
 9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9
 10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10
 11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11
 12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12
 13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13
 14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14
 15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안락사(安樂死)의 개념
1) 어원
2) 정의
3) 기원과 역사
4) 안락사 논의의 대상과 관점
5) 리빙 윌(Living Will)을 아십니까?

2. 안락사의 종류
1) 생명체에 따라
2) 시행자의 행위에 따라
3) 생존의 윤리성에 따라

3. 각국의 안락사 입법례
1) 네덜란드
2) 미국
3) 영국
4) 호주
5) 프랑스
6) 독일
7) 일본

4. 안락사의 찬반론
1) 안락사의 찬성측 견해
2) 안락사의 반대측 견해
3) 각국의 안락사에 대한 견해

Ⅲ. 결론

* 사견

*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2. 안락사의 종류
안락사의 분류는 그 생명체의 의사에 따라, 시행자의 행위 방법에 따라, 또 윤리적인 관점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생명체의 의사에 따라
(1) 자의적 안락사(Voluntary Euthanasia) :
생명 주체의 자발적 의사에 따르는 안락사를 말하는 것으로, 이를 다시 두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어떤 생명 주체의 명령, 의뢰 또는 신청 등의 적극적 요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의뢰적 안락사라고 하며, 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아니나 안락사를 승낙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즉 적극적인 의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소극적인 의사에 의한 경우를 승인적 안락사라고 한다.

(2) 임의적 안락사(Nonvoluntary Euthanasia):
생명 주체가 의사를 표시할 수 없거나 그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가능하다 할지라도 외부에서 이를 이해할 수 없을 때, 즉 표현되고 있으나 시행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지 않을 때 이러한 상황에서 시행되는 것을 말한다.

(3) 타의적 안락사(Involuntary Euthanasia):
생명 주체가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데도 불구하고 이에 반대하여 시행자가 실시하는 것으로 일명 강제적 안락사라고 한다.

2) 시행자의 행위에 따라
(1) 소극적 안락사(Passive Euthanasia):
생명체가 어떤 원인으로 죽음의 과정에 들어선 것이 확실할 때, 시행자가 그 진행을 일시적이나마 저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데도 불구하고 이를 방관하는 것으로 일명 부작위적 안락사라고도 한다(예를 들면, 중병의 기형 신생아를 수술하지 않고 방치하여 사망케 하는 경우).
소극적 안락사는 그냥 '죽게 내버려 두는 일'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어떤 경우에 윤리적으로 가능한 경우가 있다. 즉 ,과거에는 벌써 사망했을 식물인간이 비록 의식이 없는 가운데에서도 과학 기술 발달로 계속 생명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경우인데 이런 식물인간 상태에서 생명 연장이 일어 날 수 있는지 의문이 생겨나게 되어 소극적 안락사론이 대두되었다.
여기에는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그의 의식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잃게 하거나 변화시키는 약을 투여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인간의 존엄성 유지"를 위해 윤리적으로 가능한 경우가 있다.
또 다른 경우는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인데 여기에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어 소극적 안락사가 도덕적으로 정당화되려면 다음 세 가지 조건이 채워져야 한다.
첫째: 건강을 회복할 희망이 전혀 없어야 함
둘째: 그 치료가 환자와 가족에게 큰 고통을 줘서는 안 됨
셋째: 환자의 자유를 존중해 주어야 함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cma2916h?Redirect=Log&logNo
http://blog.naver.com/yoonkim19?Redirect=Log&logNo
http://sigma101.nazip.net/menu_7_data/eu.htm
http://blog.naver.com/vomi83?Redirect=Log&logNo



http://blog.naver.com/phyu/60024893849
http://blog.naver.com/inani1000?Redirect=Log&logNo=20023485895

http://blog.naver.com/qkqh6412/110005289082
http://cafe.naver.com/sonseung/524
http://www.hospitallaw.or.kr/medical%20ethics-our%20comfort.html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9&eid=d/iDTtu2512361FSsZwBbxnoiEONWV1+&qb=vsi29LvnwMcgwb63+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