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

 1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
 2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2
 3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3
 4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4
 5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5
 6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6
 7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7
 8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8
 9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9
 10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0
 11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1
 12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2
 13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3
 14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4
 15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5
 16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6
 17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7
 18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8
 19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법학개론] 인간본성에 관한 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동양에서의 본성론

1. 인간의 본성론이 발생하게 된 배경
2. 학자에 따른 본성론
A. 맹자(성선설)
B. 고자(성무선무악설)
C. 순자&묵가(성악설)
3. 세 본성론으로 바라본 무기징역

Ⅲ. 서양에서의 본성론

1. 고대
2. 중세
3. 근대
A. 경험론
B. 합리론
C. 이상주의
D. 공리주의
4. 현대
A. 생철학
B. 실존주의 철학
C. 생명존중 사상

Ⅳ. 결론


본문내용

C. 순자 & 묵가 (성악설)

순자와 묵가는 본성론에 있어서는 거의 유사한 측면을 보인다. 먼저 이들의 본성론은 성악설적 입장을 취할 수 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이 입장 역시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악하게 태어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순자와 묵가의 본성론은 각 개인의 초점을 맞춘다. 이들이 설명하는 본성론에서는 전제하는 것이 있다. 먼저 이들은 모든 사람의 동일성을 말한다. 순자는 욕구를 가지고 있는 한 모든 사람은 동일하다고 보고, 묵가는 평등주의를 내세우기 때문에 모든 인간이 동일하다고 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순자는 “목마르면 먹고 싶고 추우면 온기를 바라고 힘들면 쉬고 싶고 이익을 좋아하며 해로움을 싫어한다. 이러한 것들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갖고 있는 것으로, 무언가에 의해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성군인 우 임금이나 폭군인 걸 임금이 모두 똑같이 갖고 있다.”고 말한다. 이는 모든 인간은 누구나 욕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말하며 또한 이것을 충족시키려고 한다는 것이다. 묵가에서는 이와 비슷하게 모든 개인은 각자의 의로움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의로움은 각자 개인마다 다를 수 있음을 전제로 하고, 또한 묵가에서 말하는 의로움이란 자신에게 합당한 몫이다. 순자와 묵가가 말하는 욕망을 추구하려는 것이나 의로움을 요구하는 것이 본성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욕망을 추구하려하고 각자의 의로움을 요구하려는 본성들이 그 자체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성무선악설의 입장에서와 같이 그 자체로 가치 판단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그러나 순자와 묵가 모두 관계 속에서 본성이 표출되었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말한다. 즉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각자의 욕망과 의로움을 추구할 때에는 그것들이 악이 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욕망과 의로움을 추구하는 것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성의 표출이 아무런 제약 없이 이루어질 때를 말한다.

욕망의 표출함에 있어서의 다음의 예시가 있다. 잠을 자고 싶은 욕망이 있다고 하자, 만약 타인과 관계의 형성이 없다면 자고 싶을 때 자는 것은 얼마든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타인과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사회에서 특히 수업 시간에 잠의 욕구를 마음대로 표출한다면 그것은 악이 될 소지가 있다. 자는 사람을 통해 교수님이나 다른 학생들이 불쾌함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