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

 1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1
 2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2
 3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3
 4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4
 5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5
 6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6
 7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7
 8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8
 9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9
 10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10
 11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11
 12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12
 13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13
 14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14
 15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15
 16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20년대 시론-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0. 들어가는 말
1. 프로시론의 전개양상
1.1 신경학파의 대두
1.2 신경학파에서 카프로의 전환

2. 프로시론의 논쟁
2.1 내용과 형식론
2.2 예술 대중화론

3. 프로시론의 의의와 한계
3.1 이론과 작품의 차이

4. 결론
본문내용
0. 들어가는 말
국가의 상실에 따른 사회, 문화적 혼란 속에 1920년대 초 문학에서는 삶에 대한 실적인 묘사보다 현실을 도피하는 낭만적인 성향을 띠거나, 퇴폐적인 성격을 지니는 문학이 주를 이루게 된다. 새로운 근대국가의 수립이라는 관념적인 이행은 일제의 강점이 시작되면서 계몽주의 시대의 마지막 몽상으로 끝을 맺게 되었고, 결국 식민지 근대성을 감당하는 일은 온전히 개인들의 몫으로 남겨졌다. 그러나 근대국가 형성을 향한 현실적 경로가 막혀버린 상황에서 개인들은 집단적인 계몽이데올로기에 더 이상 동조하기 어려웠으며, 갑자기 맞이한 식민지 현실의 무게감은 인간의 이성으로 처리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그것을 감당할 집단적 주체가 없을 때 개인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생명, 혹은 삶, 인생 자체를 걸고 세계와 맞서는 일일 것이다. 이것이 20년대 초 우리나라에 나타난 낭만주의 예술의 근본적인 정신이다.
20년대 초반 우리나라에 등장한 낭만주의 문학은 생명, 혹은 인생을 중시하는 예술관을 띠었다. 사회적 상황에 따른 인간의 인식은 문학사에서 이후에 다양한 방향으로 분화하게 되지만, 김기진과 박영희를 필두로 한 이들에게는 프롤레타리아 운동의 영향을 받은 신경향파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
생명, 혹은 생에 대한 낭만주의 사조의 관심은 점차 생활 혹은 현실로 발전해 나가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이론적으로 구체화한 것이 바로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발발했던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이다. 당시 사회주의 혁명을 성공으로 이끈 러시아에서 발원한 이 계급적 성격의 문학운동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었으며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로 들어오게 된다. 당시 일제 강점기 상황의 피폐한 민중의 생활을 생각해볼 때 현실에 대한 관심은 필연적이었다.

그렇다 우리는 살아야 한다. 지금보다 더 잘 살아야한다. ‘참말로’ 잘 살아야한다. 우리 살림 속에서 거짓을 내 쫓아야 한다. 거짓은 ‘도깨비’다 ‘亡靈(망령)’이다. ‘幽靈(유령)’이다. 우리의 생활에서 ‘幽靈(유령)’을 없애버려라.
그러면 생활을 引導(인도)할 사람은 누구냐. 藝術家(예술가)다. 예술가의 할 일이다. 예술가는 모든 意味(의미)의 漲潮(창조)者(자)이다. 生活(생활)에 대한 先覺者(선각자)이다. 生活(생활)은 藝術(예술)이요, 藝術(예술)은 生活(생활)이어야만 할 것이다. 生活(생활)의 藝術家(예술가)가 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世界的(세계적) 人類(인류)生活(생활)의 極限(극한)까지 이러한 理想(이상)을 發見(발견)하여야 할 것이다. 冊床(책상) 앞에서 만들어내는 藝術(예술)은 우리에게는 無用(무용)한 것이다. 世界(세계)의 百姓(백성)들의 生活(생활)과 生活(생활)이 一致(일치)되고 世界(세계)의 저들의 영혼과 영혼이 융합되는 때에 일어나는 偉大(위대)한 音響樂(음향악)은 藝術(예술), 그것이어야만 될 것이다.
김기진(1923), 떨어지는 조각조각-붓은 마음을 따라, 백조3호. 140면
참고문헌
김윤식(1989), 「『백조』의 유미주의」, 『박영희 연구』, 열음사.
문혜원(2007),〈경향파 시론의 전개와 발전〉, 《한국근현대시론사》, 역락.
박상준(1998), 「의 형성과정 논고」, 『韓國學報』, Vol.24 No.4.
박성모(2006), 〈탈식민의 역학〉, 소명출판.
심재원(1992), 「카프시 연구 : 이론과 실제 사이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이기인(2003), 「카프 초기 논쟁에 대한 재검토 – 소위 형식논쟁의 성격」,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19집(7권2호).
이철호(2008), 「신경향파 비평의 낭만주의적 기원 - 김기진과 박영희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Vol.38.
임규찬, 한기형(1999), 「카프시대에 대한 회고와 문학사」, 『카프비평자료총서2』, 태학사.
현철종(2006), 「신경향파 시론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영주어문, Vol.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