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글맞춤법」과 「조선말규범집」의 비교
2.1 한글맞춤법과 조선말규범집의 소개와 변천과정
2.1.1 한글맞춤법
1930년 12월 13일 조선어학회 총회에서 지명된 12명의 맞춤법 제정 위원은 2년 동안에 걸친 심의를 거듭하여 1931년 12월에 이르러 맞춤법의 원안 작성을 마쳤다. 두 차례의 검토 회의
조선어 철자법' 마련
1960년 '조선말 사전', '조선어 문법' 편찬
1964년 김일성 교시 ― 가로 풀어쓰기 비판
1966년 김일성 교시―문화어 제시,
'조선어 규범집' 공포 지시
1972년 교육용 한자 3,000자 지정
1973년 '조선 문화어 사전' 간행
1979년 '조선 문화어 문법' 제정
1982년 '현대 조선말 사전"
조선어 철자법』을 시작으로 하여, 1960년 『조선어 문법 1』, 1966년과 1987년에 『조선말규범집』을 잇따라 공표하였다. 박선우, 「남북한 맞춤범의 변천과정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서울: 국학자료원, 2002
이와 같이 북한은 여러 차례 규정 개정을 거쳐 독자적 규범 체계
1. 형태표기의 개념과 필요성
1.1. 형태표기의 개념
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것의 어려움은 언어와 문자 자체의 성격에서부터 비롯한다. 즉, 국어는 형태론적으로는 교착어에 속하지만 한글은 문자론적으로 음소문자에 속하기 때문이다. 교착어는 형태와 형태의 결합이 매우 발달된 언어이며, 음
2.4.3 모음 어미의 표기
⇒ 기본적으로 규정 자체는 일치.
그러나 ‘ㅣ’ 모음 뒤에서 모음 어미 ‘-어’를 ‘-여’로 적는 북한의 규정은 발음만 인정하고 표기는 형태를 밝혀 적는 남한의 규정을 따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남한
‘-ㄹ'형 어미는 원칙적으로 된소리로 표기하지 않는 것이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