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과학교육학회33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교육 소외계층 청소년을 위한 과학 진로체험 활동이 학생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임성민 ( Sungmin Im ) , 김용성 ( Yongse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349~362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사다리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이 사업에서 수행된 과학진로체험 활동이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과학교육 실천활동의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도 사다리 프로젝트에 참여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진로체험 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를 조사하고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과학 진로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선호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활동 이후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이는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에게 더욱 잘 드러났다. 또한, 과학 진로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의 진로성숙도는 계획성,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 탐색 및 준비 행동 등에...
TAG Educational underprivileged youths, Preference for science, Career maturity, Science career experience activity, Ladder Project, 교육 소외계층, 과학선호도, 진로성숙도, 진로체험 활동, 사다리 프로젝트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 검증과 선호 과목에 따른 시스템 사고 비교
이효녕 ( Hyonyong Lee ) , 전재돈 ( Jaedon Jeon ) , 이현동 ( Hyundo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2호, 161~171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를 검증하고 초등학생의 선호 과목군에 따른 시스템 사고를 비교하여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전 검사에서는 Lee et al.(2013)이 개발한 STMI로 초등학생 732명의 데이터를 수집 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이 STMI를 어떤 요인 구조로 인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전 검사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생들이 STMI가 의도한 5요인 구조에 응답할 수 있도록 검사지를 수정하였다. 사후 검사에서는 수정된 STMI로 초등학생 503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검사에서 초등학생들은 STMI를 2개 요인(개인 내적 요인, 개인 외적 요인)으로 구성...
TAG Systems Thinking, Systems Thinking Factor Struc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Systems Thinking Measuring Instrument, 시스템 사고,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과학 탐구의 본성에 초점을 둔 실험의 설계와 시범 적용-드라이아이스 승화 실험에서 드러나는 인식론적 논제를 중심으로-
박정우 ( Jeongwoo Park ) , 이선경 ( Sun-kyung Lee ) , 이경건 ( Gyeong-geon Lee ) , 심한수 ( Han Su Shim ) , 신명경 ( Myeong-kyeong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2호, 173~186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는 과학 활동의 인식론적 논제에 초점을 둔 탐구 실험을 설계 및 시범 적용하고, 실험 활동과 반성적 논의를 분석하여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 소속된 대학원생 3명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실험 1에서 안정적 탐구의 특징을 보여주었지만, 실험 2의 작지만 지속적인 변화는 실험을 새로운 설명체계를 찾는 유동적 탐구의 국면으로 이끌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여러 가지 밑천을 동원해서 새로운 가설과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할 추가 실험을 요청하였다. 반성적 논의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인식론적 논제를 이끌어 냈다. 첫째, 실험 초기에 자신의 관찰이 이론 의존적이었다. 둘째, 관찰 사항이 더 이상 이론에 의존할 수 없는 위기 국면에 봉착하면 관찰과 이론의 조정이 진행된다. 셋째로 관찰...
TAG Epistemological Issues, Inquiry, Experiment, Stable Enquiry, Fluid Enquiry, 인식론적 논제, 탐구, 실험, 안정적 탐구, 유동적 탐구
통합과학 실행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김현정 ( Hyunjung Kim ) , 안유민 ( Yumin Ah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2호, 187~195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되어 2018학년도에 처음 적용된 고등학교 통합과학의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며, 이로부터 현장 안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 교원 연수에 참여한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고등학교 과학 교사 384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단위학교에서 통합과학은 6단위로 편성하고 2명 이상의 교사가 성취기준을 나누어 담당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 교사들은 통합과학 적용으로 인한 가장 큰 변화로 학생 활동 증가를 꼽았으며, 수행평가 비중 증가, 평가 방법 다양화, 교사 간 협의 증가, 자연 현상의 통합적 이해 제고 등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 변화 인식을 보였다. 특히 화학을 전공한 교사들은 자연 현상의 통...
TAG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tegrated science, operation status,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number of teachers responsible for integrated science,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운영 실태, 과학 교사의 인식, 담당 교사 수
교사연수 성과평가를 통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정착 방안 탐색
곽영순 ( Youngsun Kwa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2호, 197~205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의 현장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실시한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통합과학 교육과정 지원 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연수를 중심으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개발한 연수 산출물, 연수강사로 참여한 과학교사들과의 심층면담 등을 분석하여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서 드러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성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통합과학 교수·학습 및 평가 계획을 개발하였는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성취기준은 [10통과08-03]과 [10통과09-04]였다. 이들 성취기준에 대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 재해석, 교수학습 방법, 학습소재,...
TAG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support, leading teacher training, science competencies, 통합과학, 교육과정 지원, 선도교원 연수, 과학역량
과학 역량 모델의 제안과 과학 교육과정에의 적용
박종원 ( Jongwon Park ) , 윤혜경 ( Hye-gyoung Yoon ) , 권성기 ( Sunggi Kwo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2호, 207~220페이지(총14페이지)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과학과의 핵심역량이 제시되었으나 역량 개념에 명확하지 않아 일선 학교에서는 많은 혼란과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 역량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은 무엇이고 역량의 구성 요소들이 전체적으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역량에 대한 정의와 역량의 구성 요소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6개 요소(인지 외적 특성, 지식, 기능, 상황, 수행, 수준)로 이루어진 과학 역량 모델(A Model of Science Competency: MSC)를 제안하였고 이러한 과학 역량 모델을 활용하여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역량 중심의 학습 목표로 기술하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과학 역량 모델의 장단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AG science competency, science curriculum, science learning objectives, 과학 역량, 과학 교육과정, 과학 학습 목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
김유림 ( Yurim Kim ) , 최애란 ( Aeran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2호, 221~232페이지(총12페이지)
과학 교육에서는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육 현장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 그 의미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
TAG scientific inqui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과학 탐구, 초임과학교사, 교사학습공동체
칸톤학교 아라우와 아인슈타인 I
정병훈 ( Byung Hoon Chu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2호, 233~248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칸톤학교 아라우가 19세기 전체에 걸쳐 독일의 김나지움 교육 이념 논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이 논쟁 속에서 아인슈타인이 바이에른에서 정규 과학교육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했다는 점을 원전 자료 분석을 통해 입증했다. 아인슈타인은 정규교육의 결핍에도 불구하고 일찍부터 독학에 의해 자기 학습을 하는 습관을 가졌고, 이 방식은 평생 유지되었다. 그는 권위주의적이었던 뮌헨의 학교에서는 매우 힘들게 지냈지만, 자유정신과 자율성이 보장되었던 아라우의 민주적 학교에서는 정서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었다. 아라우는 오랫동안 외지와 자유로운 교류와 프랑스 계몽주의 영향으로 종교적, 지역적, 민족적 차별이 없이 적대적 사상들에 대해 관대한 다문화적 사상을 갖고 있었다. 이로 인해 소규모 공립학교인 칸톤학교는 스위스를 넘어 교사와 학생의 막강한 인적 자...
TAG Argovian Cantonal School Aarau, Einstein, science education in 19th century, cultural controversy between humanism and realism
과학자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탐색된 과학 공감
양희선 ( Heesun Yang ) , 강성주 ( Seong-joo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2호, 249~261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들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공감요소를 추출하고 그 공감요소가 과학자들의 문제 해결 상황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성 연구자들이 언급한 과학자들 중 공통인물 6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그들의 자서전 및 그들의 일대기에 관련한 논문을 통해 그들의 문제 해결 사례에서 공감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유목화 하였다. 총 12개의 서적과 50여개의 논문에서 제시한 사례를 Davis의 공감척도를 분석틀로 분석하였고 공통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총 182개의 사례에서 과학 공감요소가 추출되었고, 이 중 33개의 공통요소가 발견되었다. 과학교육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사를 통하여 본 사례의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I-CVI 평균은 .86, S-CVI 평균 .90 값이 확인되었다. 과학자들...
TAG Scientific empathy, Problem Solving Process, Case study of scientists’ problem-solving, Explore empathy elements, 과학 공감, 문제 해결 과정, 과학자의 문제 해결 사례 연구, 공감요소 탐색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및 개선 내용 분석
정수임 ( Sue-im Chung ) , 신동희 ( Dong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2호, 263~277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는 1989년 이후 3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현황과 이와 관련한 검사 도구의 수정 사례와 내용을 분석했다. 이로써 향후 검사 도구 개발과 개선 과정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제공하고, 타당한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과학 교육 연구 88편의 현황과 이들이 참고한 국내외 원도구 57건의 현황을 분석했다. 그 후 원도구가 개정되었던 사례 5건의 특징과 구체적 문항 수정 사례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국내 연구 현황에서는 지속적으로 나타난 주제와 최근에 출현하기 시작한 주제, 연구 목적과 평가 방법에 따른 연구 상황, 원도구 활용 현황 등이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 연구의 원도구 중 개정 과정이 공개된 5건의 검사 ...
TAG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test tool revision, item improvement, research trend, science education assessment,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특성, 검사 도구, 문항 개선, 검사 도구 개정, 연구 동향, 과학 평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