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디자인융복합학회8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디지털 협동적 서비스: 풀뿌리 사회혁신에서 정보통신기술이 협력적 네트워크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백준상(주저자) ( Baek¸ Joon Sang ) , 백준상(교신저자) ( Baek¸ Joon S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127~144페이지(총18페이지)
디지털사회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기술이 협동적 서비스의 생산과 협동적 관계형성을 지원하는 과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협동적 서비스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관찰하고 기록한 후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협동적 서비스를 지원하는 정보인프라의 구성은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다르며 서비스 사용자의 협동적 네트워크의 형성과 연관성이 있다. 협동적 네트워크는 관계의 세기와 경계성에 의해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디지털 솔루션 및 플랫폼과 결합된 협동적 커뮤니티는 양적으로는 성장하지만 협동적 관계의 세기는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디지털화는 협동적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강한 유대관계와 관계적 가치를 약화시키는 위험을 수반하며, 디지털 협동적 서비스를 디자인할...
TAG Digital social innovation, collaboration, sociotechnical system, service design
가구 유형에 따른 스마트홈 다중사용자 간의 갈등 및 인터랙션 이슈 발굴
박승태 ( Park¸ Seungtae ) , 연명흠 ( Yeoun¸ Myeong-heum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145~160페이지(총16페이지)
IoT 기술의 발전으로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단순하고 기본적인 활동들이 자동화되어 가정생활이 편리해지고 있다. 하지만 가정 내 다수의 거주자, 즉 다중사용자 간 과거에는 발생하지 않던 갈등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출시될 것이라 예측되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미래 스마트홈 환경에서 다중사용자 간 발생하는 갈등문제를 발굴하고 가구 유형에 따른 양상 확인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영상 시나리오 분석 및 아이디에이션, 레고를 활용한 롤플레잉 실험을 진행하고 109개의 갈등 사례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가구 유형별 발생한 갈등문제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직 현실에 드러나지 않은 스마트홈 다중사용자 간 갈등문제를 수집 및 분류하고, 이에 대한 가구 유형별 차이를 발견하는 것으로 다중...
TAG Smart-Home, Multi-User Interaction, Conflict, Internet of Things, Privacy Issue, Control Authority Issue
전망이론 관점에서 기술수용모델의 해석에 관한 연구 - 음성 AI 비서 서비스 수용자와 비수용자의 비교 중심으로 -
오의택 ( Oh¸ Euitaek ) , 권규현 ( Kwon¸ Gyu Hyun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161~173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이 높은 혁신 기술의 수용 과정에서의 주요 인지 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복잡성 간의 이득과 손실의 주관적 가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행동경제학의 핵심 이론인 전망이론을 사용자의 행동적 변화를 요구하는 음성 AI 비서 서비스를 수용하는 의사 결정과정에 적용하였다. 이에 62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음성 AI 비서 서비스 사용에 따라 이득 요인인 지각된 유용성의 향상과 손실 요인인 지각된 복잡성이 감소되었다. 비수용자 그룹에서는 수용자 그룹보다 지각된 복잡성이 수용성에 높은 영향력을, 수용자 그룹에서는 비수용자 그룹 대비 지각된 유용성이 상대적으로 수용성에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음성 AI 비서 서비스의 UI 설계 시 초기 수용성...
TAG Voice AI Assistant, Prospect Theory, Perceived Complexity, Perceived Usefulness, UI Design
광고 인지도와 수용도 분석에 기반한 사용자 중심 모바일 광고 UX 디자인 연구
정혜수 ( Jeong¸ Hye Soo ) , 유승헌 ( Yoo¸ Seung Hun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175~195페이지(총21페이지)
모바일 광고는 수익 극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사용자에게 부정적인 광고 경험을 형성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 UX의 인지적 분석 및 모바일 광고를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를 토대로 실증적인 사용자 연구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거부감 없이 최적화하여 수용 가능한 범위의 모바일 광고 경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으로는 첫째, 모바일 광고의 시각 요소를 인지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광고 유형에 따른 디자인 요소를 분류하였다. 둘째, 모바일 광고 인지 및 광고 유형에 해당하는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연구 모형을 토대로 다섯 가지 모바일 광고 경험 가설을 제시한 뒤 가설을 적용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광고 인지도와 수용도를 정량, 정성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된 연구 종합 결과를...
TAG Mobile ad type, Advertising cognition, Advertising Design, Advertising Acceptance
UI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브랜드 성격의 표현
김현석(주저자) ( Kim¸ Hyunsuk ) , 김현석(교신저자) ( Kim¸ Hyunsuk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197~208페이지(총12페이지)
최근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애플리케이션 UI에 애니메이션 적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UI에 적용된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구현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애니메이션의 기본 원칙으로 대표되는 ‘찌그러짐과 늘어남’, ‘사전기대’, ‘동작 후 반응’ 등은 캐릭터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의 성격(Personality)을 표현하는 중요한 원칙으로 적용되어져 왔지만, UI 애니메이션에서는 사용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많이 연구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UI 애니메이션에 적용된 성격 표현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와 어떤 관계성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성격을 표현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의 원칙을 고찰하고, 이를 적용한 UI 애니메이션과 그렇지 않은 UI 애니메이션을 ...
TAG Animation Principles, UI Animation, Brand Personality
시각문법에 기반한 모션그래픽디자인 학습체계 - 시간 구조와 모션 행위 요인을 중심으로 -
김현석(주저자) ( Kim¸ Hyunsuk ) , 김현석(교신저자) ( Kim¸ Hyunsuk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209~219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전공 2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영상1 교육과정에 적용된 모션그래픽디자인 학습체계에 대한 연구이다. 시간 구조(Temporal Structure)와 움직임 행위요인(Motion Activities)이 반영된 시각 문법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모션그래픽디자인 학습체계의 세부적 구성내용을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션그래픽디자인 학습체계는 시각문법 학습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체계 위에 요소와 요소, 요소와 공간의 관계성 요인, 요소와 시간과의 관계성 요인의 표현 효과를 경험하고 이해하는 것으로 확장하였으며 행위 과정에서 모션그래픽에 적합하게 깁슨(1954)의 움직임 유형으로 행위요인들을 배치하였다. 이 움직임 행위 요인들은 다시 라벤과 로렌스(1974)의 움직임 변인(Weight, Space, Flow...
TAG Motion Graphic Design, Education system, Temporal Structure, Motion Activities
시각장애인의 의류 색상 인지를 위한 색상의 명도 및 채도와 촉감 재질감의 연관성 탐구
김우찬 ( Kim¸ Woo Chan ) , 조준동 ( Cho¸ Jun Dong ) , 이상원 ( Lee¸ Sangwon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221~236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의 색과 촉감의 매칭 시스템 디자인은 재질의 질감으로 색 정보를 연상시키고자 한 것으로, 시각장애인들의 의류 구매 활동 시 색에 대한 정보를 촉감을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색과 촉감의 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고안된 시스템의 원리는 색의 3요소 중 채도와 명도를 질감의 거칠기와 부드러움으로 매칭하여 촉감을 통해 색을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채도는 거칠기에 비례하고 명도는 부드러움에 비례한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색상 레벨에 맞는 질감을 일대일 대응하여 총 3가지를 옷의 태그에 부착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질감을 선정하기 위해 3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파일럿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시각장애인 4명, 정안인 6명을 포함해, 총 10명을 대상으로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실험에서 효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TAG The visually impaired, Recognition of color, Texture of materials, Tactile mapping design, System usability scale
일본 노인주택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 방향
변나향 ( Byun¸ Na Hyang ) , 유정원 ( Ryu¸ Jeong Won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237~248페이지(총12페이지)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을 구축한 일본은 노인이 거주할 수 있는 다양한 주택 유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90년대부터 주거와 복지의 연계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면서 정책경험과 시행착오를 거쳤기 때문이다. 노인의 주택 ‘확보’에서 노인의 ‘생활’설계와 주택의 ‘운영관리’로 정책과 제도의 기조가 변경된 것은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안정적인 생활 유지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에이징인 플레이스 실천을 목표로 일본 노인주택 사례로 공간계획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을 위한 계획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의 노인주택이 어떻게 계획되고 정비되었는지,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물리적 계획은 어떻게 제안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안되는 대지 내 건물배치, 각 실의 배치, 공용공간의...
TAG Elderly Residence, Spatial Planning, Public Space, Local Community, Aging in Place
모션 인포그래픽의 미리보기 전략 활용이 기억력 및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한지훈 ( Han¸ Ji Hoon ) , 김지윤 ( Kim¸ Jee Youn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249~264페이지(총16페이지)
정보화시대의 도래로 기업 및 정부기관에서는 동영상플랫폼의 발달과 이용률 증가에 따라, 유튜브, 네이버TV 등에 정보를 영상매체로 전달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 모션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모션 인포그래픽 제공은 기존 이미지로 표현되었던 인포그래픽을 영상화함에 있어 정보전달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인지효과를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단순히 표현되는 요소들을 비교 및 분석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이에 모션 인포그래픽의 영상매체에 따른 인지효과를 분석하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방법으로 학습전략에서 주장되는 미리보기 전략을 모션 인포그래픽에 적용하여, 수용자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진행하였다. 먼저 작업기억 측정실험인 n-back 테스트를 실시한 점수를 기반으로 실험 및 비교집단으로 분...
TAG motion infographic,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survey strategy, learning effects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의 자동화 수준에 대한 사용자 인식 연구 - 시스템의 명칭과 사용자 기대 수준을 중심으로 -
조지용 ( Cho Ji Yong ) , 허정윤 ( Heo Jeong Yun ) , 허정윤 ( Heo Jeong Yun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5호, 13~33페이지(총21페이지)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은 빠르게 시장에 도입되고 있지만, 아직 사용자 중심보다는 기술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신기술 도입 시기에 주로 나타나는 마케팅 관점에서의 명칭은 잘못된 사용자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다. 운전자의 기대와 시스템의 역할 범위의 차이는 과도한 신뢰로 연결되며, 오용에 의한 사고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운전자를 대상으로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명칭에 따른 사용자 인식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마케팅 명칭들은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가중시키며 자동화에 대해 잘못된 기대를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동화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안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행동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도울 수 있는 명칭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
TAG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Naming, Perceived automation level, Mental model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