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디자인융복합학회8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 로고디자인 툴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실험
연명흠(주저자) ( Yeoun Myeong-heum(주저자) ) , 정의태 ( Jung Eui Tay ) , 연명흠(교신저자) ( Yeoun Myeong-heum(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1] 제20권 제2호, 114~129페이지(총16페이지)
근래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AI 기반 디자인 툴이 사람 디자이너를 대체할 것인지, 디자인 업무가 새롭게 규정될 것인지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I 기반 로고디자인 툴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I디자인툴을 쓰는 비디자이너, AI디자인툴을 쓰는 디자이너, AI디자인툴을 쓰지 않는 디자이너를 모집하여 스타트업의 로고를 2개씩 디자인하게 하고, 설문조사로 이를 평가하였다. 102명의 설문참가자들은 6개 시안의 선호도와 전달력을 7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AI에 의해 만들어진 안을 추측하였다. 통계분석 후에는 로고를 만든 실험참가자들이 모여 FGI를 진행했다. 설문결과 선호도에서는 비디자이너가 AI로 만든 로고가 가장 선호되었으며, 전달력에서는 디자이너가 AI를 쓰지 않고 만든 로고가 가장 좋게 평...
TAG AI-Powered Design, AI-Powered Logo Design Tools, Deep Learning Image Processing, Generative Design
고령자용 보행보조기의 보행안정성과 제동방식에 관한 연구
권칠용(주저자) ( Kwon Chilyong(주저자) ) , 권칠용(교신저자) ( Kwon Chilyong(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1] 제20권 제2호, 129~143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보행안정성을 중심으로 보행보조기 제동방식에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1에서는 보행보조기 사용 시의 낙상사고의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3차원 보행분석 실험을 계획하였다. 실험2에서는 보행보조기 디자인 시 제동방식에서 고려해야할 요구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Ink foot print test법을 통해 일반적인 제동방식과 반전된 제동방식의 보행안정성 비교 실험을 계획하였다. 실험1을 통해 보행보조기는 단순히 자세유지를 위한 지지대 역할만을 수행하며, 보행 시 낙상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2를 통해 불안정적인 보행 행태를 보완적으로 보조해주기 위해서는 보행보조기에 부과하는 힘을 지속적으로 조절해 줄 수 있는 반전된 방식의 제동장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운동학적 차원의 보행안정...
TAG Elderly, Walking aids, Walking stability, Braking method
3D프린팅 웨어러블 로봇 디자인 개발 연구 - 물리적 휴먼 로봇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
권칠용(주저자) ( Kwon Chilyong(주저자) ) , 권칠용(교신저자) ( Kwon Chilyong(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1] 제20권 제2호, 146~165페이지(총20페이지)
웨어러블 로봇의 물리적 휴먼-로봇 인터페이스(p-HRI)는 인체와 일체화된 연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웨어러블 로봇의 p-HRI 적용 사례를 살펴보면 기성화 된 p-HRI를 적용하여 체형-맞춤이 부적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웨어러블 로봇의 일체화된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는 3D프린팅 기반의 물리적 휴먼-로봇 인터페이스(3D 프린팅 p-HRI)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행기능 장애를 가지는 고령자를 위한 웨어러블 로봇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3D프린팅 p-HRI 디자인에서는 3D 스캐닝, 3D 서피스 추출, 바디 서피스와 로봇 모델 커플링, p-HRI 형상 디자인의 절차로 허리, 대퇴, 하퇴, 발 고정부 p-HRI에 대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1차 평가에서는 고...
TAG Wearable robot, Physical interface, 3D printing, Body shape-fit, Elderly
수요자 중심의 길찾기(Wayfinding) 공공서비스디자인 개발 - 부산시 서구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을 중심으로 -
송기연 ( Song¸ Ki Yeon ) , 조정형 ( Cho¸ Jeong Hy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1~15페이지(총15페이지)
수요자 중심의 공공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적용사례가 많아지고 있음에 따라, 본 연구는 부산시 서구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을 대상으로 원도심 관광형 도시재생지역 웨이파인딩에 대한 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리서치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를 통해 웨이파인딩 요소를 도출하고, 기존 시설물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길(Path), 결절점(Node), 랜드마크(Land mark), 사인체계(Sign system)별로 현황을 파악했다. 또한 퍼소나로 대표되는 수요자의 동선을 따라 각 거점별 결절점을 규정하고, 콘텐츠를 정리하는 과정에서는 설문과 현장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가 이후 원도심을 발전시키기 위한 웨이파인딩을 진행할 때 미약하나마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AG Wayfinding, Path, Node, Land mark, Sign system
과도기적 간병인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연구 - 이해관계자 중심의 접근 -
김진형 ( Kim¸ Jin Hyoung ) , 조진실 ( Jo¸ Jinsil ) , 정다빈 ( Jeong¸ Dabin ) , 김현경 ( Kim¸ Hyoun K ) , 백준상 ( Baek¸ Joon S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17~31페이지(총15페이지)
한국 사회의 고령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간병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구가 늘고 있지만 현재의 간병 서비스는 환자와 간병인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환자-간병인 사이의 이해 관계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온라인 매칭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온라인 매칭 서비스는 환자와 간병인의 상호 선택권을 보장함으로써 간병인을 중심으로 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디자인 콘셉트 평가, 본 연구의 온라인 매칭 서비스는 환자와 보호자, 간병인 간의 상호 존중감 향상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추후 개선 과제로 간병인 정보에 대한 신뢰성 확보와 애플리케이션 사용 편리성 증대가 언급되었다. 본 연구는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사회문제를 다루는 디자인 문제 해결적 사례로써 고령 환자 간병을 둘러싼 ...
TAG Caregiver, Elderly patient, Improvement working conditions, Online matching applications
그룹 창의성 증대를 위한 디자인팀 구성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KAI 지수를 바탕으로 한 팀 구성방향을 중심으로 -
이진렬 ( Lee¸ Jin Ryeol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33~52페이지(총20페이지)
디자이너의 창의성 증대방법은 디자인 분야의 주요 관심 연구대상 중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KAI 지수가 디자이너의 창의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표인지와 KAI 지수에 따른 디자인팀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밝혀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창성, 효율성, 일치성의 3개 분야 21개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활용하여 KAI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물의 창의성 측정은 참신성, 실용성, 정교성 3대 분야 9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1에서 48명의 참가자가 진행한 디자인개발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자의 KAI 지수 디자인결과물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 4명으로 구성된 9개 팀이 디자인프로젝트에 대하여 팀 구성원의 KAI 지수의 범위와 디자인결과물 창의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실험 1의 분석결과, ...
TAG Design Team, KAI Index, Design Creativity, Evaluation of Design Results, Design Team Construction
Vlog 내 광고 제품 노출 방식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신뢰도 및 광고 인지
서혜린 ( Suh¸ He Rin ) , 윤재영 ( Yun¸ Jae Yo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53~71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매크로-마이크로 인플루언서의 대표적인 콘텐츠 카테고리이자, MZ 세대가 선호하는 YouTube 콘텐츠 카테고리 중 하나인 일상 Vlog에서 협찬 제품을 노출하는 방식에 따른 소비자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Vlog에서 협찬 제품의 노출 방식에 따라 소비자들이 콘텐츠에 가지는 태도, 신뢰도, 광고 인지 여부 등을 비교하였으며 나아가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제품의 노출 유형을 암시적 노출과 명시적 노출로 나누어 3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목적을 위해 통제된 실험자극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시청자 태도, 영상 신뢰도, 광고 인지 여부, 제품 태도의 모든 항목에서 소극적, 적극적 명시 노출 영상보다 암시적 노출 영상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자 태도...
TAG 유튜브, 브이로그, PPL, MZ 세대, 마케팅, 광고, 협찬, Youtube, Vlog, PPL, MZ generation, Marketing, Advertisement, Sponsorship
제품 표면에 사용되는 원형 홀 패턴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
김민경 ( Kim¸ Min Gyeong ) , 박태열 ( Park¸ Tae Yeol ) , 구경연 ( Koo¸ Gyung Yeon ) , 정성원 ( Jeong¸ Seong Won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73~88페이지(총16페이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기능적 가치에서 감성적 가치로 변화함에 따라 기업들은 디자인 차별화의 수단으로 CMF를 적극 활용한다. 최근에는 그 방법으로써 제품 표면에 패턴을 입혀 디자인 변화와 감성적 품질 향상을 시도한다. 그런데 패턴 생성 과정은 단순 반복적인 작업으로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파라메트릭디자인 방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제품 표면의 홀(Hole)로 사용될 수 있는 원형패턴의 디자인에 파라메트릭디자인 방법을 적용시킨 사례연구로서, 패턴의 속성을 기본단위와 반복단위로 구분하여 새롭게 정의한 후 이에 따라 원형패턴의 형성 규칙을 도출하고 이를 파라메트릭디자인 툴로 구현해 다양한 패턴을 디자인함으로써 구축된 알고리즘과 새로운 패턴디자인 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TAG Circular Pattern, Parametric design, Pattern, Pattern Design
제품 반응 카드를 활용한 미래 로보택시 사용자경험 키워드 도출
임덕신(주저자) ( Lim¸ Dokshin ) , 임덕신(교신저자) ( Lim¸ Dokshin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89~100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무인 로보택시의 UX 디자인 프로세스 초반에 제품반응 카드를 활용해 사용자경험의 방향성을 정의하는 것이다. 연구의 프로세스는 두 단계로 이뤄진다. 첫째, 전문가 11명이 설문을 통해 수요 응답형 이동 서비스에 적합한 제품 반응 키워드 29개를 선별한다. 둘째, 이 29개의 단어를 활용하여 미래 로보택시 잠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일반인 37명을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키워드를 도출한다. 이를 토대로 디자인 방향성을 정하기 위해 개별 인터뷰에서 선택된 카드의 빈도를 가지고 상관관계에 기반한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14개 단어를 37명이 138회 선택한 건에 대하여 발생한 115건의 코멘트를 요인 분석한 결과 6개 주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잠재 사용자의 우려와 기대는 기술의 역설, 변치 않는 핵심 가치, 신뢰성, 분위기, 편...
TAG Robo-Taxi, PRC, Product Reaction Cards, MS Desirability Toolkit, Autonomous Vehicles
장애인과 비장애인, 그리고 전문가 세부 유형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한 공공공간의 우선순위 인식패턴 분석
박청호 ( Park¸ Cheong Ho ) , 성기창 ( Seong¸ Ki Ch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2020] 제19권 제6호, 101~12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공공공간에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의 우선순위에 대한 공간소비자와 생산자 간 인식분석”의 후속편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그리고 전문가 세부집단 간 유니버설디자인의 우선적 공공공간에 대한 인식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조례분석을 통해 공공공간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한 앞선 연구의 결과물을 이용하며, FGI를 통해 장애인 6개 유형, 비장애인 8개 유형, 전문가 3개 유형으로 분류했다. 분산분석 결과, 선택적 활동보다 필수적 활동공간을 중심으로 한 공통적인 인식패턴을 보였다. 도로 부문은 충돌 위험성이 높은 차도영역과 장애물이 많은 상충부영역을 중심으로, 공원 부문은 거주 지역에서 가까운 공원영역과 광장영역을 중심으로, 건축물 부문은 공공업무시설·문화복지시설·여객 및 교통시설을 중심으로 한 인식패턴을 보였다. 차도영역의 인식패턴은 ...
TAG Universal Design, Priority Recognition, Public Space, The Disabled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