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AND 간행물명 : 인도철학60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탄트라정수(Tantrasāra)』 제11장에 나타난 샥티파타(śaktipāta)의 고찰
심준보 ( Sim Junbo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6권 241~268페이지(총28페이지)
샥티파타(śaktipāta)는 ‘샥티(śakti)의 하강(pāta, decent; to fall)’의 뜻이다. 샥티란 쉬바교의 절대 원리이자 종교적으로는 신(īśvara), 철학적으로는 의식(cit)으로 이해되는 쉬바(śiva)의 작용적 측면인데, 샥티가 하강한다는 것은 쉬바의 상태가 현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신이 개아에 현전하여 개아는 신의 상태가 된다. 본고는 아비나바굽타의 저작인 『탄트라정수』 제 11장을 통해 샥티파타에 대한 내용을 고찰한다. 10세기 인도 카쉬미르의 불이론 쉬바파의 대학자 아비나바굽타는 자신의 대작인 『탄트라광명』의 요약서 『탄트라정수』(TS)를 쓰면서 제 11장에 샥티파타의 내용을 다룬다. 그는 먼저 쉬바파 이원론의 샥티파타론을 제시하고 이를 논파한다. 그는 샥티파타는 바른 지식...
TAG 탄트라정수, 샥티파타, 불이론 쉬바파, 쉬바파 이원론, 아비나바굽타, Tantrasāra, Śaktipāta(The decent of śakti), Advaita Śaiva(Śaiva non-dualists), Śaivasiddhānta(Śaiva dualists), Abhinavagupta
자이나교 요가 명상의 현대적 발전 __프레크샤(Prekṣā) 명상을 중심으로__
양영순 ( Yang Young Sun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6권 269~309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는 인도의 가장 오래된 종교인 자이나교가 세계화된 현대에 어떻게 대응하고 변모하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논문의 Ⅱ장에서는 자이나 역사상 최초로 서구에 자이나 명상을 전파한 치트라바누와 기타 지도자들의 활동을 소개하였다. 그중에서도 백의파 테라판타派에서는 동시대 불교의 위빠사나 명상과 힌두 요가뿐 아니라 현대 과학적 접근을 종합하여 지난 30년간 계발한 프레크샤 명상을 제시했다. 이는 종교의 가치가 변혁을 통해서 비로소 생생하게 계승된다는 역사적 과제의 성취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본 논문의 Ⅲ장 2절과 Ⅳ장에서는 프레크샤 명상의 실제 수행 체계를 전통적 수행 및 타 종교적 요소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프레크샤 명상이 변혁을 통해 계승하고자 한 자이나 수행의 목적과 가치를 주목하였다. 프레크샤 명상의 체계는 本명상(8지)과...
TAG 프레크샤 명상, prekṣā dhyāna, 자이나교 수행, 요가, 명상, 카욧사르가, 테라판타, Terapāntha, Prekṣā meditation, Jain practice, Jain yoga, Jain meditation, Terāpantha, Kayotsarga
바마하(Bhāmaha)의 ‘의미의 수사법’(arthālaṃkāra)에 대하여 (Ⅱ) __『카비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제3장을 중심으로__
류현정 ( Ryoo Hyunjung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6권 311~358페이지(총48페이지)
본고는 인도 시학 전통에서 초기 수사론자에 해당하는 바마하(Bhāmaha, 7세기경)의 『카비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하 KA) 제3장에 제시된 ‘의미의 수사법’(arthālaṃkāra)의 정의와 적용례를 원문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초기 수사론서에 나타난 수사법들의 의미와 분류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마하는 KA 제3장에서 (1)프레야스(preyas), (2)라사바트(rasavat), (3)우르자스빈(urjasvin)을 비롯하여 총 23가지에 이르는 ‘의미의 수사법’을 제시하고 있다. 각 수사법은 KA 제2장에 제시된 것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준이 다양할 뿐더러 유동적 해석이 가능한 정의와 적용례로 나타나는데, 수사법이 지니는 이러한 특징은 후대 수사론자들의 다양한 해석과 세밀한 분류기준을 낳는...
TAG 알람카라, 산스크리트 수사법, 의미의 수사법, 바마하, 카비야알람카라, alaṃkāra, sanskrit figure of speech, arthālaṃkāra, Bhāmaha, Kāvyālaṃkāra
지넨드라붓디의 ‘니야야 학파의 직접지각 정의’에 대한 검증
박기열 ( Park Ki Yeal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5권 5~45페이지(총41페이지)
니야야는 지각을 ①‘감관과 대상과의 접촉으로부터 일어나는 지식, ②언어표현 불가능한 것, ③잘못이 없는 것, ④확정을 본성으로 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이에 대해서 디그나가는 전면적으로 부정한다. 본고는 지넨드라붓디의 해당 복주 중에서 ①과 관련된 감관도달설 검증이전까지의 ①~④에 관한 내용을 번역 및 분석한다. 그에 따르면 우선 니야야가 ②와 ③를 각각 소유복합어와 격한정복합어로 해석하고, 전자는 대상과, 후자는 지식과 관련짓는 것은 모두 타당하지않다. ④의 ‘확정’과 ‘본성’에 있어 확정은 ③에 대한 중복 표현이고, 명칭등과의 결합에 의한 결정이기에 ②와 모순한다. 한편 ‘본성’은 자성과 결과라는 주장에 대해서 본성이 지식의 본성일 경우, 지각의 정의가 주제 속에 없는 오류가 발생한다. 또한 지식의 결과는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기에 지각의 결과와 다...
TAG 지각, 언어표현, 일탈, 확정, 한정자, 피한정자, pratyaksa, vyapadesya vyabhicarin vyavasaya, niscaya, visesana, visesya
정려의 구성요소를 둘러싼 여러 학파의 해석 (1) __행복의 실체 논쟁을 중심으로__
김성철 ( Seongcheol Kim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5권 47~82페이지(총36페이지)
초기경전에서는 석가모니 붓다가 고행을 버린 후, 4정려를 닦아 깨달음에 이른 것으로 묘사된다. 4정려의 수습에서는 고행에 대비되는 “행복”이 중요한 요소를 이룬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학파적 해석은 일정하지 않다. 유부는 초정려와 제2정려의 행복을 신체에 속하는 느낌이 아닌 경안이라고 하고, 제3정려의 행복은 정신적 느낌의 행복이라고 한다. 이는 제2정려 이상에서 신식의 발생을 인정하지 않는 심식론과 체계적 정합성을 가진다. 이에 비해 경량부는 세 정려의 행복이 모두 신체에 속하는 느낌으로 간주한다. 이는 경량부가, 대중부 등과 마찬가지로, 정려에서도 신식의 발생을 인정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알라야식이 도입되기 이전 최초기 유가행파 문헌에서는 유부와 마찬가지로 정려의 행복을 경안으로 간주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알라야식의 도입 직후에는 정려지의 행복을...
TAG 정려, 행복, 경안, 설일체유부, 경량부, 유가행파, dhyana, sukha, prasrabdhi, Sarvastivadin, Sautratika, Yogacara
보살십지(菩薩十地)와 ‘청정(淸淨)’의 의미 __『십지경론(十地經論)』을 중심으로__
이경희 ( Lee Kyunghoe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5권 83~113페이지(총31페이지)
『十地經論』에서 ‘청정’은 보살계위와 관련하여 특정 맥락을 포함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청정’의 의미는 사전적인 것을 넘어 보살의 십지체계를 다시 세 가지로 범주화하는 교의적인 내용을 함의한다. 십지로 전개되는 보살행은 시작부터 ‘佛智’와 ‘佛智의 개현과정’의 두 가지 층위를 가진다. 이 두 가지 층위 가운데 십지보살행의 근저에서 지속되는 ‘佛智’는 애초에 일체의 번뇌에 의해 오염된 적이 없는 본래적인 것으로 그것은 항상 청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佛智의 개현과정’에서 ‘청정’은 잡염의 유무에 따라다시 두 가지 의미로 나뉜다. 첫 번째는 ‘잡염’과 상대하는 의미로서의 ‘청정’으로 초지부터 6지까지를 포함하고, 두 번째는 ‘잡염’이 있다가 제거된 상태가 부각된 의미로서의 ‘청정’으로 8지 이후의 계위에 해당한다. 이 두 가지에 대해 논자는 『十地經論』의 한역...
TAG 보살십지, 菩薩十地, 불지, 佛智, 佛智의 개현, 본래청정, 잡염청정, 순수청정, ten stages of bodhisattva’s career, buddha’s wisdom, unfolding the buddhajnana, inherent purity, afflicted purity, unafflicted purity
빠알리어 동사의 법에 관한 『목갈라나 문법』의 규칙과 예시 분석
김서리 ( Kim Seori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5권 115~152페이지(총38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빠알리어 동사의 법에 관한 『목갈라나 문법(MV)』의 규칙MV 6.7-6.12를 <규칙>, <해설>, <예시> 순으로 번역·분석하여 법 어미군의 활용범위를 살펴보고, 규칙 내 예시단어를 형태론적으로도 분석하여 동사의 법에 관한 빠알리어 문법을 다각도로 이해하는 것이다. 동사의 법에 관한 MV의 규칙은 tvadayo, eyyadayo, ssadayo라는 ‘어미군’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규칙들은 각 어미군에 따른 활용범위를 제시하고 있다. tvadayo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명령법의 어미군이고, eyyadayo는 원망법, 그리고 ssadayo는 조건법의 어미군이다. MV는 구체적인 설명과 풍부한 예문을 통해 법 어미군이 문장에서 살려내는 의미들을 제시한다. 그런데 tvadayo는 eyyadayo의 활용범위에, eyy...
TAG 빠알리어, 동사의 법, 『목갈라나 문법』, 법 어미, 문법규칙, Pali, grammatical mood, Moggallana-Vyakarana, mood suffix, grammatical rule
성스러움과 합리성의 교차점 __수행 전통을 통해 본 인도 사유의 종교와 철학__
성청환 ( Sung Chungwhan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5권 153~177페이지(총25페이지)
인도의 수행 전통을 흔히 요가라고 지칭하며, 주류와 비주류의 인도사상 전반에 승인되고 있는 것으로서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진다. 본 논문의 논의 범주인 요가철학에서 논의하는 수행과 불교인식논리학파가 강조하는 요가 행자의 수행에는 내면의 내용은 다를지라도 형식의 동일성이 있다. 내용의 차이점과 형식의 동일성은 믿음의 종교 체험과 이성적 합리성의 철학적 정합성이 교차하는 지점이 된다. 요가철학에서 설명하는 삼매의 지혜와 이를 위한 수습과 이욕, 그리고 불교인식논리학에서 주장하는 실재하는 대상에 대해 선명하게 현현하는 요가행자의 수습은 그 구체적인 내용과 논리에 대한 논의를 제외하더라도, 모두 인간 경험의 종교적 체험을 단순한 지각 경험에 한정하지 않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불교인식논리학의 요가수행자의 지각도 결국은 불교에서 진리라고 인정하는 것을 대상으로 수습할 ...
TAG 종교, 철학, 종교 경험, 수행, 요가철학, 불교인식논리학, Religion, Philosophy, Religious Experience, Practice, Yoga Philosophy, Buddhist Logico-Epistemology
현대요가에 끼친 쉬리 요겐드라의 영향
심준보 ( Sim Junbo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5권 179~205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현대요가의 선구자 중의 한 사람인 쉬리 요겐드라가 현대요가에 끼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그의 일생을 연대기적으로 서술하면서 요겐드라에게 있어 요가의 의미, 요겐드라에게 미친 서구사상의 영향, 요겐드라 요가가 전통요가를 왜곡한 점과 발전시킨 점, 요겐드라가 현대요가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요가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해보고 제안해 보았다. 요겐드라는 요가를 인류의 유전적인 발전에 복무할 수 있는 인도 고대과학의 기법으로 인식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요가의 치유적 효능에 대한 과학적 근거 마련에 힘쓰고, 대중적인 요가 수련의 보급에 앞장섰다. 이런 활동을 통해 그는 인도 전통요가의 신비주의적 관점을 일반 대중의 눈높이로 끌어내렸다. 그러나 그는 19세기와 20세기 초의 사회진화론과 우생학에 깊은 영향을 받아 유전적인 진화를 진보로 이...
TAG 요겐드라, 현대요가, 근대인도, 요가, 요가치유, Yogendra, Modern yoga, Modern India, Yoga, Yoga theraphy
하타 요가(Hatha Yoga) 자세(asana) 수행의 효과 __주요 3종 문헌을 중심으로__
김재민 ( Kim Jae-min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19] 제55권 207~243페이지(총37페이지)
본고에서는 하타 요가의 주요 3종 문헌 즉 『쉬바상히타』(Sivasamhita, 이하 SS), 『하타프라디피카』(Hathapradipiaa; 이하 HP), 『게란다상히타』(Gherandasamhita: 이하 GhS)에 나타난 요가 자세의 실천 수행으로 발생하는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요가 자세를 세 문헌 공통의 것들, 두 문헌(HP, GhS) 공통의 것들, 한 문헌에만 나타난 것들 순으로 그 효과들을 수행적 효과와 치유적 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효과가 서술된 요가 자세는 총 13종이다. 세 문헌 공통의 것은 달인·연화·등펴기·길상(4종)이고, 두 문헌 공통의 것은 공작·송장·행운(3종)이며, 한문헌에만 나타나 있는 것들은 HP의 경우 맛시옌드라(1종), GhS의 경우 사자·물고기·마카라·뱀·요가...
TAG 하타 요가, 주요 3종 문헌(SS, HP, GhS), 요가 자세, 수행적 효과, 치유적 효과, Hatha Yoga, three main texts(SS, asana, effects of practice, therapeutic effect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