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60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빠알리어 동사어간을 만드는 활용문자에 관한 연구__『목갈라나 문법』과 『깟짜야나 문법』의 규칙을 중심으로__
김서리 ( Kim Seori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1] 제61권 5~37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는 빠알리어 능동동사의 어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빠알리어 동사어근의 분류와도 직결되는 접미사(활용문자)에 관해 『깟짜야나 문법(KV)』과 『목갈라나 문법(MV)』 규칙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먼저 KV와 MV에서 활용문자를 어떤 용어로 제시하는지 살펴본 후, 활용문자와 관련된 KV와 MV 규칙의 개요를 제시한다. 그런 다음, 규칙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KV와 MV가 제시하는 어근군에 따른 활용문자와 활용변화를 살펴본다. KV는 접미사를 통칭하는 빳짜야(paccaya)라는 용어로 활용문자를 지칭하는 반면, MV는 활용문자에 대한 용어 없이 규칙을 전개하는데 드물게 위까라나(vikaraṇa)라는 용어로 활용문자를 지칭한다. KV는 8개의 어근군과 13개의 활용문자를 제시하고, MV는 9개의 어근군과 지시문자가 부착된, 9개의 활용문...
TAG 위까라나, 접미사, 활용문자, 동사어간, 목갈라나문법, 깟짜야나문법, vikaraṇa, base, roots-group, Kaccāyana-vyākaraṇa, Moggallāna-vyākaraṇa
율장에 언급된 실수마라(失守摩羅)의 연원과 변용
김영호 ( Kim Young Ho ) , 정승석 ( Jung Seung Suk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1] 제61권 39~69페이지(총31페이지)
한역(漢譯) 불전에는 실수마라(失守摩羅, śiśumāra)와 마갈(磨竭, makara)이 자라(鼈), 거북(龜), 악어(鼉), 고래(鯨魚), 바다짐승(海獸), 물에 사는 나찰(水羅刹), 대해의 벌레(大海虫), 새끼 용(虬), 바다의 용(海龍) 등으로 혼잡하게 의역되어 있다. 이는 불전을 이해하는 데 장애의 요인이 되므로, 본론에서는 이 같은 장애를 원어로 해소하면서 śiśumāra와 makara가 주요 소재로 등장하는 이야기의 변용 양상을 고찰하여 그 취지의 추이를 파악한다. 악어를 지칭하는 śiśumāra가 원숭이와 함께 주역으로 등장하는 본생담의 원형에서는 악어의 아내가 원숭이의 심장을 먹고 싶어 하는 식탐(食貪)이 이야기의 발단이다. 그러나 이 밖의 불전들에서는 이야기의 발단을 음행(淫行) 또는 음심(淫心)으로 바...
TAG 실수마라, 마갈, 악어, 원숭이, 본생담, 인도 우화집, śiśumāra, makara, gavial, monkey, Jātaka, Pancatantra
중기중관파 논쟁에 나타나는 sāvakāśa-vākya와 prasaṅga-vākya의 의미 __『근본중송』 제1장 제1게송의 논쟁과 관련하여__
이태승 ( Lee Tae Seung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1] 제61권 71~95페이지(총25페이지)
인도불교사에서 보통 중기중관파 논사들은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로 구분되며, 이 구분은 짠드라끼르띠가 바비베까를 비판하고 붓다빨리따를 옹호한 데 연유한다. 이 중기중관파의 논쟁 관계는 『중송』 제1장 제1게송의 해석과 관련해 명확히 나타나며, 그곳에서 바비베까는 붓다빨리따의 해석을 sāvakāśa-vākya라고 주장하고, 이것을 짠드라끼르티는 쁘라상가라고 말하고 있다. sāvakāśa-vākya는 ‘귀류의 여지를 가진 문장’ 또는 ‘비난의 여지를 가진 문장’ 등으로 번역되는 것으로, 제1장 제1게송과 관련해 살펴보면, “존재하는 것은 스스로로부터 생겨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 이것이 “다른 것으로부터 생겨난다”등의 여지를 갖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 짠드라끼르띠가 주장하는 쁘라상가는 “만약 스스로로부터 생겨난다면, 같은 것에서 같은 것이 생겨나고...
TAG 중기중관파, 자립논증파, 귀류논증파, 여지를 갖는 문장, 쁘라상가, 붓다빨리따, 바비베까, 짠드라끼르띠, Middle Mādhyamika, Svātanrika, Prāsaṅgika, sāvakāśa-vākya, prasaṅga-vākya, Buddhapālita, Bhāviveka, Candrakīrti
바비베까의 비-채식주의 __고기를 먹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 고기 먹기를 원하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__
함형석 ( Ham Hyoung Seok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1] 제61권 97~120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바비베까(Bhāviveka, 500-570 CE)의 저작 『중관심론』(Madhyamakahṛdayakārikā)과 그에 대한 주석 『이성의 불꽃』(Tarkajvālā)의 아홉 번 째 챕터인 「미망사장」(Mīmāṃsātattvanirṇayāvatāra)에 등장하는 비-채식주의(non-vegetarianism) 논의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6세기 중관 논사인 바비베까가 기본적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청정한”(trikoṭiśuddha) 고기에 대한 섭취를 허용하는 율장의 육식관련 규정을 전적으로 긍정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바비베까는 또한 육식은 필연적으로 살생을 야기하거나 조장한다는 반론자에 의견을 반박하기 위해 육식과 살생 간의 인과관계를 인정하였을 때 발생하게 되는 ...
TAG 바비베까, 채식주의, 고행, 중관심론, 따르까즈왈라, Bhāviveka, vegetarianism, asceticism, Madhyamakahṛdayakārikā, Tarkajvālā
철학자의 시(詩) __『수바시타라트나코샤』(Subhāṣitaratnakośa)에서 전하는 다르마키르티(Dharmakīrti, 法稱)의 게송 연구__
방정란 ( Bang¸ Junglan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0] 제60권 5~34페이지(총30페이지)
기원후 11세기 무렵, 인도 벵갈의 자갓달라(Jagaddala) 불교 사원의 주지였던 비드야카라(Vidyākara)는 구전 전승시들을 묶어 『수바시타라트나코샤』(Subhāṣitaratnakośa, 이후 SuRaKo)라는 시선집(anthology)을 엮었다. 사상과 종교에 구애받지 않고 선시(善詩 subhāṣita)를 수집해 총 오십 가지의 주제(vrajyā)로 분류해 놓았다. 저자가 알려진 경우에는 이름을 함께 기록해 두었기 때문에, 친숙한 불교 저자들의 작품이 상당수 발견된다. 이들 가운데 단연 흥미를 이끄는 게송들로 다르마키르티(Dharmakīrti, 법칭)에게 귀속된 단편들을 꼽을 수 있다. 이 시들은 사랑과 이별이라는 세속적 감정은 물론, 불법의 뛰어남, 세상을 향한 연민과 풍자 등 다양...
TAG 비드야카라, 수바시타라트나코샤, 다르마키르티, 법칭, 시선집, 아난다바르다나, 비부티찬드라, Vidyākara, Subhāṣitaratnakośa, Dharmakīrti, Anthology, Ānandavardhana, Vibhūticandra
자이나교의 성적 금욕론 (1) __‘성 긍정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__
양영순 ( Yang¸ Young Sun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0] 제60권 35~57페이지(총23페이지)
인도 종교의 브라흐마나 전통에서는 카마(kāma) 즉, 성적 욕망을 인간이 누릴 당연한 목적으로 긍정하지만, 출가 수행자들의 슈라마나 전통에서 카마는 윤회와 속박의 종자이다. 특히, 자이나교는 성스러운 행위 일반을 뜻하는 브라흐마차리야(brahmacarya, 梵行)를 성적 금욕으로 강조하여, 이를 5 대서약에 새롭게 추가할 정도로 중요한 수행 항목으로 부각시켰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성적 금욕을 중시하는 자이나교가 당대의 ‘성 긍정론’을 어떻게 경계하고 비판했는지 그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다. 성 긍정론은 크게 현세적 쾌락론과 종교적인 성적 수행론에서 나타나는데, 종교 내의 성 긍정론은 자이나교 내부에서도 나타나므로 각각 Ⅱ장, Ⅲ장, Ⅳ장에서 고찰한다. 성 긍정론에 관한 자이나교의 비판은 여러 문헌, 그중에서 하리바드라의 저작들에서 나타나...
TAG 카마, 성욕, 범행, 금욕, 하리바드라, 슈라마나, 자이나교, Kāma, Sexual desire, Brahmacarya, Sexual Abstinence, Haribhadra, Śramaṇa, Jainism
원효의 정토사상과 범본 『무량수경』 1 __왕생자를 중심으로__
김호성 ( Kim¸ Ho Sung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0] 제60권 59~96페이지(총38페이지)
『무량수경종요』와 『불설아미타경소』에서 원효가 인용한 『무량수경』의 구절을 범본의 그것과 대조 검토한다. 그 인용 구절은 제11원, 제14원, 제18원, 삼배단(三輩段) 등인데, 주로 왕생자가 누구인가를 밝히는 장면과 왕생의 방법을 논하는 부분이다. 이 중에 왕생자에 대해서만 이 글에서 다룬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첫째, 원효는 근기가 낮은 중생들까지도 구제하는 것을 정토신앙의 본령으로 인식하고서 정정취를 십주의 첫째 발심주까지로 낮추어 보았다는 것. 둘째는, 성문의 왕생에 대한 제14원의 입장과 세친 『정토론』의 입장이 모순되고 있는 것을 나름의 논리로 화쟁하려고 시도했는데, 이는 세친과 마찬가지로 원효 또한, 어떤 조건도 내세우지 않고서 성문의 왕생을 인정한 『무량수경』 제14원과는 배치되는 입장이다. 셋째, 불지를 의혹하는 범부들의...
TAG 무량수경, 무량수경종요, 원효, 세친, 왕생자, Muryangsu-gyŏng, Larger Sukhāvatīvyūha-sūtra, Muryangsu-gyŏng chongyo, Vasubandhu, Saṅghavarman, Wŏnhyo
유식의 구조와 언어의 상관성에 관한 고찰 __『반야경』의 언어관과 관련하여__
김재권 ( Kim¸ Jae Gweon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0] 제60권 97~125페이지(총29페이지)
일반적으로 인도불교의 언어관은 언어와 대상과의 관계에서 실재론적 입장을 가지는 미맘사학파나 니야야·와이세키카 학파 등의 인도철학과는 달리 유명론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러한 불교의 언어관은 『반야경』의 공관에 따라 용수의 이제설이나 초기유가행파의 진리관에 잘 반영되어 있다. 요컨대 『반야경』의 공관에 입각한 비실재적 언어관이나 명칭과 사물의 관계에 대한 그 반성적 통찰은 학파적인 입장에 따라 용수의 이제설이나 초기유가행파의 유식적인 이제, 즉 불가언성을 본질로 하는 공성의 이해방식에 대한 기술 등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초기유식사상사에서 『반야경』의 비실재적인 언어관을 계승하여 허망분별을 그 사상적 기반으로 새롭게 전개된 유식의 사상구조에 주목하여, 교리적으로 언어의 문제가 내재화되는 변천과정이나 그 양상을 사상사적으로 재검토한 것이다.
TAG 반야경, 이제, 유식, 허망분별, 알라야식, 삼성설, 식전변, 전의, Prajnāparamitā-sūtras, the theory of the two truths, vjnaptimātra, abhūtaparikalpa, the theory of the three natures, ālayavijnāna, vijnānapariṇāma, āśraya-parāvṛtti
고전 산스크리트 희곡 수사법에 관한 일고찰 __『나가난다』의 적용례 분석을 중심으로__
류현정 ( Ryoo¸ Hyun Jung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0] 제60권 127~165페이지(총39페이지)
고전 산스크리트 시론에서는 시어의 활용과 관련하여 다양한 수사법(alaṃkāra)의 적용 및 활용을 권장한다. 문학작품의 창작에 임한 시인들은 여러 시학자들의 이론에 따라 이를 시에 적용하였으며, 이러한 수사법에 대한 이해는 해당 작품의 감상자가 풍부한 암시를 이해하도록 해 주는 동시에 시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고에서는 알람카라(alaṃkāra) 학파의 선구자였던 바마하(Bhāmaha)의 이론이 담긴 저서 『카비야 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하 KA)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해당 수사법이 실제로 문학 작품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원전의 게송들에서 추출하여 분석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A와 유사한 시기에 작성된 하르샤 왕의 희곡작품 『나가난다』(Nāgānanda, 이하 Nāg)를 채택하...
TAG 알람카라, 수사법, 나가난다, 산스크리트문학, 인도문학, alaṃkāra, figure of speech, Nāgānanda, Sanskrit literature, Indian literature
맹세와 실행으로 완성되는 시(詩)의 논리 __『카비야 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제5장을 중심으로__
류현정 ( Ryoo Hyun Jung )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2020] 제59권 5~37페이지(총33페이지)
일반적으로 논쟁과 주석 전통이 중심이 되는 인도학 전반에서 논리학은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는 학문이다. 인식론, 존재론, 우주론에서 해탈론에 이르기까지 논리학이 미치는 영역은 다양하고 그 영향력 또한 인도지성사에서 큰 몫을 담당한다. 그러나 시학(詩學), 특히 인도 고전 예술시(kāvya)의 작시법(作詩法) 문헌에서 이를 다루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애초에 문학작품에서 성립하는 논리는 논쟁을 위한 논리학과는 그 본령을 달리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은 『카비야 알람카라』 (Kāvyālaṃkāra, 이후 KA로 약칭) 제5장의 논의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 바마하(Bhāmaha, 7세기경)는 KA 제5장 전반부의 내용을 논리학의 용어와 개념에 대해 개설하는 데에 할애한다. 이러한 논의에서 말하는 논리(nyāya)의 범주는...
TAG 바마하, 카비야알람카라, 수사법, 비유, 논리, 시적허용, Bhāmaha, Kāvyālaṃkāra, alaṃkāra, simile, logic, poetic licens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