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1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기고논문 : 무기(無記)의 사구사유(四句思惟)와 기(記)의 사체관(四諦觀) 연구
신병삼 ( Byoung Sam Shin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9] 제11권 133~149페이지(총17페이지)
붓 다의 기존 사상[外道; annatitthiya]에 대한 비판의 형태는 無記(avyakata)이다. 그래서 無記는 기존 사상에 대한 비판이면서 불교의 시작으로써 작용한다. 그래서 ``왜 설명하지 않았으며[無記], 어떻게 설명했는가[記; vyakata]``를 통하여 붓다가 진리를 把持하고 가르침을 설파한 이유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주로 形而上學(metaphysics)적 이론들에 대한 ``붓 다의 침묵``[無立場]이라고 언급하거나 다른 사상들과 비교하기도 하는데, 붓 다는 침묵 대 산에 붓 다의 방식으로 명확히 대답[記]하면서 외도의 邪見을 논파했는데 그것은 정확히 붓 다의 깨달음(sammasambodhi)과 일치한다. 기존의 논문들은 주로 無記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했다면, 본 논문은 Nikaya...
TAG 붓다, , , 무기, 無記, 진리, 眞理, 깨달음, 외도, 外道, 유무, 有無, atthi-natthi, 생멸, 生滅, samudaya-nirodha, 희론, 戱論, papanca, 무상법, 無常法, 사구, 四句,사성체, 四聖諦, avyakata, Vyakata, Buddha, enlightenment, truth, arising-ceasing, samudaya-nirodha, atthi, natthi, being, non-being, concept
기고논문 : 한글대장경 웹서비스 품질 개선
박미화 ( Mee Hwa Park ) , 곽문상 ( Moon Sang Kwak ) , 장찬영 ( Chan Young Jang ) , 이재수 ( Jae Soo Lee ) , 이용규 ( Yong Kyu Lee ) , 이금석 ( Keum Suk Lee ) , 홍영식 ( Young Sik Hong ) , 한보광 ( Bo Kwang Han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9] 제11권 151~185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한글대장경 전산화 8차 사업으로 한글대장경 30책 분량을 전산화하여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려대장경의 우리말 번역본인 한글 대장경을 전산화하기 위해 개역된 고문헌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인터넷을 통해 그 내용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한글대장경 고문헌을 확장한자, 누락문자,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입력과 저장을 위해 유니코드(Unicode)를 사용하며, 유니코드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자들은 이미지 폰트를 생성하여 표현한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DBMS로는 MS-SQL Server 7.0을 사용하고, 운영체제로는 윈도우 2000 서버를, 웹 서버로는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를 사용하여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다양한 검색 방법을 제...
TAG 한글대장경, 한글대장경 검색 시스템, 한글 대장경 전산화, 유니코드, XML, Hangul Tripitaka, Hangul Tripitaka, Retrieval System, Hangul Tripitaka Digitalization, Unicode
특집논문 : 대장경과 교판
지창규 ( Chang Gyu Ji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8] 제10권 5~21페이지(총17페이지)
본 논문을 통해 대장경과 교 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한글대장경 구성 방향은 고려대장경의 구성과 체재를 전반적으로 따르면 대체로 무난할 것이다. 대장경과 교판 의 교 판이 원래는 불타의 경 설을 나름대로 밝히려는 불교방법론이라는 측면에서는 교판 에 대한 종래의 인식도 바꿀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오 시설에 대한 현실적인 벽이 높다면 차선책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도 강구될 수 있다. 첫째, 한국 대장경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원효대사의 교판 설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저술이 온전하게 남겨져 있지 않고 또 단지 몇 개의 저술을 가지고 그의 교판 설을 재단하기가 쉽지 않으며 또 가장 큰 문제는 일관적인 교판 설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 고려 제관법사의 오시팔교설을 이용하는 것이 대장경을 체계...
TAG 교판, 개원석교록, 고려대장경, 신수대장경, 한글대장경, 신편제종교장총록, 의천록, Classification, Kaiyuan shi jiao lu, Tripitaka Koreana, Taisho Tripitaka, Hangul Tripitaka, Shinpyin chejong Kyojang chongnok, Uicheon List
특집논문 : 다이쇼 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의 편찬과정과 체재
윤기엽 ( Ki Yeop Yoon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8] 제10권 23~44페이지(총22페이지)
일본 다이쇼시대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불교 교학연구와 전적(典籍)에 대한 편찬사업이 활발히 전개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다카쿠스 준 지로(高楠順次郞)가 주도하여 착수한 『다이쇼 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신수대장경』)이었다. 일본에서는 『신수대장경』의 편찬되기 전 이미 메이지 시대(明治時代, 1868~1911)에 『대일본교정축각대장경(大日本校訂訓點大藏經)』, 『대일본교정훈점대장경(大日本續藏經),대일본속장경()등이 출간된 예가 있어서 신수대장경 과 같은 방대한 규모의 대장경이 편찬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상태였다.『신수대장경』은 다카쿠스 준지로오(高楠順次郞, 1866∼1945)가 중심이 되어1923년(다이쇼12)에 착수되었고, 정장(正藏) 55권이 1929년(쇼와4)에, 속 장(續 藏)30권이 1932년(쇼와7)에, 그리고 도상(...
TAG 다이쇼시대, 大正時代, 다이쇼 데모크라시, 다이쇼 신수대장경, 大正新修大藏經, 다카쿠스 준지로오, 高楠順次郞, 국가주의, 國家主義, The Taisyou period, period, Taisyou Democracy, 『Taisyou shinsyudaizoukyou』, Takakusu Junjiro, Nationalism
특집논문 : 디지털 대장경의 미래와 고려대장경의 지위
오윤희 ( Yun H Oh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8] 제10권 45~76페이지(총32페이지)
대장경의 기본적인 구조는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의 구조를 바탕으로 한다. 고려대장경도 예외는 아니다. 의천은 교장 조성에 앞서 지승(智昇)의 『개원석교록』, 圓照의『정원속개원석교록(貞元續開元釋敎錄)』에 수록된 삼장과 송(宋)의 신역경론(新譯經論) 등 6천여 권을 조조했다고 했다. 이것이 고려대장경에 편입된 문헌들의 범위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헌의 범위는 이후 조성된 대부분의 대장경의 따르고 있는 일종의 보편적인 기준이기도 하다. 고려대장경연구소는 1996년 고려대장경 전문입력을 완료된 직후부터 ``통합대장경 프로젝트``의 추진을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수 종의 한문대장경은 물론, 다 언어 판본들을 대조 연구할 수 있는, 본격적인 ``디지털 재장경``을 목표로 삼은 것이었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이 ``대장경 통합목록``이며, 현재 추진 중인...
TAG 고려대장경, 통합 대장경, 디지털 대장경, 『개원석교록』, 목록, 판본, Tripitaka Koreana, Integrated Tripitaka, Digital Canon, Kaiyuan shijiao lu, Catalogue, Collection
특집논문 : 한글대장경의 체제와 구성
정승석 ( Seung Suk Jung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8] 제10권 77~93페이지(총17페이지)
한글대장경 신판은 기본적으로는 구판의 편제를 수용하면서도 대체로 격리 양태로 간행되었다. 신판의 고유 번호는 간행 계획을 수립하면서부터 부여된 것이 아니라, 간행 시점에 혹은 출판 후에 부여되었다. 이때 구판도 신판에 편입되면서 새로운 번호를 부여 받았다. 그러나 신판의 편제는 관념상으로는 대정신수대장경의 일반 편제 및 구판의 편제를 채택한다. 다만 이 관념은 총 목록에만 드러나 있다. 현행의 한글대장경은 내용 구성에서 낱권으로서의 일관성은 어느 정도 유지할지라도 전집으로서의 일관성은 빈약하다. 이는 내용 구성상의 지침이 부실했거나 전체에 걸쳐 통일적으로 적용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구판이 신판으로 개편되면서 구성상의 부조화가 심화되었다. 한글대장경은 체제와 구성의 완비를 위해 범례, 해제, 본문, 역주, 색인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중에서도 가장 ...
TAG 신판, 구판, 편제, 한글대장경, 고려대장경, 대정신수대장경, New edition, Old edition, Organization and constitution, Korean Tripitaka, Taisho Tripitaka
특집논문 : 한글대장경 목록에 대한 고찰
박종린 ( Jong Rin Park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8] 제10권 95~128페이지(총34페이지)
한글대장경의 간행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시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제1기 구판 한글대장경(1965-1985), 제2기 신판 한글대장경(1985-2001), 제3기 신 편제 한글대장경(2001=2012)이 그것이다. 구판한글대장경은 초창기부터 1985년까지 간행된 한글대장경으로 일련번호를 붙이면서 고동색 표지로 간행한 것을 말하고, 신판한글대장경은 한동안 일련번호 없이 간행하다가 1994년부터 다시 일련번호를 붙이면서 간행한 검은색과 청 희색의 이중표지로 된 것을 말하고, 신 편제 한글대장경은 앞으로 간행해야 할 한글대장경을 말한다. 구판한글대장경은 치밀한 계획과 사전 준비의 부재로 인해 일련번호 순서로 차례대로 간행하는 일을 중간에 멈출 수밖에 벗었고, 신판한글대장경은 구판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운영난을 해결...
TAG 구판, 舊版, 한글한대장경, 신판, 新版, 한글대장경, 신 편제, 新 編制, 한글대장경, 고려대장경, 高麗大藏經, 신수대장경, 新修, 만속장경, 卍續藏經, Old edition of Hangul Tripitaka, New eiditon of Hangul Tripitaka, New modified edition of Hangul Tripitaka, Tripitaka Koreana, Taisho Tripitaka, Xuzan
기고논문 : 한글대장경 웹 검색 시스템의 성능 개선
구현우 ( Hyun Woo Koo ) , 선수림 ( Soo Rim Sun ) , 박미화 ( Mee Hwa Park ) , 이재수 ( Jae Soo Lee ) , 이용규 ( Yong Kyu Lee ) , 이금석 ( Keum Suk Lee ) , 홍영식 ( Young Sik Hong ) , 한보광 ( Bo Kwang Han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8] 제10권 129~164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는 한글대장경 전산화 7차 사업으로 한글대장경 30책 분량을 전산화하여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려대장경의 우리말 번역본인 한글대장경을 전산화하기 위해 개역된 고문헌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인터넷을 통해 그 내용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한글대장경 고문헌은 확장한자, 누락문자,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입력과 저장을 위해 유니코드(Unicode)를 사용하며, 유니코드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자들은 이미지 폰트를 생성하여 표현한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DBMS로는 MS-SQL 7.0을 사용하고, 운영체제로는 윈도우 2000 서버를, 웹 서버로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를 사용하여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다양한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검색 엔진을 ...
TAG 한글대장경, 한글대장경 검색 시스템, 한글 대장경 전산화, 유니코드, XML, Hangul Tripitaka, Hangul Tripitaka Retrieval System, Hangul Tripitaka Digitalization, Unicode
특집논문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성과 및 향후 과제
한보광 ( Bo Kwang Han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7] 제9권 5~27페이지(총23페이지)
전자불전·문화재콘텐츠 연구소는 1999년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시범사업을 필두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8년에 거쳐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사업``을 성공리에 마무리하였다. 그리하여 한국불교전서 전14책의 전산화를 완료하고 인터넷을 통해 웹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인터넷 접속이 안되 는 이용자를 위하여 한국불교전서CD-ROM을 제작하여 회향하였다. 본 사업을 통해 불교 학 분야와 첨단 컴퓨터공학 분야의 학제적 연구의 결실을 맺게 되었다. 본 사업을 통하여 한국불교전서 전14책을 전산화하였다. 본 사업의 성과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사업을 통해 텍스트 전산화 관련 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 즉, 한국 불교전적의 입력 및 유니코드에 없는 글자 관리 시스템 개발 기술, 한국불교전적의 데이터베이스 저장 기술 등의 한국불교...
TAG 한국불교, 한국불교전서, 한국불교전서전산화, 누락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누락문자 검색, 한국불교전서 테이터베이스, Korean Buddhism, Hanguk Bulgyo Chonso, Digitalization of Hanguk Bulgyo Chonso, Missing character, User interface, Retrieval of missing character, Data base of Hanguk Bulgyo Chonso
특집논문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에 있어서 누락문자 관리 시스템
홍영식 ( Young Sik Hong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자불전 [2007] 제9권 29~44페이지(총16페이지)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표현된 한자를 입력할 때 유니코드로 표현할 수 없는 한자를 관리하는 문제는 한국불교전서 디지털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에 속한다. 본 논문에서는 누락문자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과 지난 8년간 한국불교전서 디지털화 과정에서 개발한 누락문자 처리기법의 변화에 대해서 기술한다. 또한, 그 동안 누적된 누락문자에 대한 통계와 누락문자 관리기법과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검토한다.
TAG 유니코드, 한국불교전산화, 누락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누락문자 검색, 이미지 파일, 폰트, Unicode, digitalization of Hanguk Bulgyo Chonso, Missing char-acter, User interface, Retrieval of missing character, Image file, Fon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