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AND 간행물명 : 연극예술치료연구7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연극치료에서 발달변형모델(DvT) 연구
이선형 ( Sun Hyung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3] 제3권 19~48페이지(총30페이지)
현재 연극치료에는 다양한 치료모델이 존재하고 있고, 여전히 새로운 모델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연극이 지니는 종합예술의 특징과 전문가들의 치료 기법 및 성향에 따라 연극치료 모델은 지속적으로 생겨날 전망이다. 그가운데 존슨의 주도로 연구되어 온 발달변형모델은 그 동안의 연구와 성과에 힘입어 명칭이 공식화 되었고, 실제 임상에서도 자주 적용되고 있다. 존슨은 정신병동을 방문하여 정신분열이나 치매와 같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과 접하면서, 그들이 자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즉흥적인 연극놀이와 역할연기를 실시하면서 연극치료에서 발달변형모델의 잠재력을 발견하였다. DvT는 기존 연극론은 물론 종교, 철학, 심리학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존슨은 발달심리학, 정신분석학, 인본주의 심리학 등을 연구하였고, 현존재의 문제를 다루는 실존주의와 불변의 진리...
TAG 발달변형모델, 연극놀이공간, 연극치료, 즉흥극, 가난한 연극, la transformation de developpement, l`espace de jeu, le theatre-therapie, le theatre improvise, le theatre pauvre
연극치료에 대한 긍정적 자기질문 -리미널리티와 "타자의 윤리학"을 중심으로
이경미 ( Kyung Mi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3] 제3권 49~68페이지(총20페이지)
이 논문은 연극치료의 특정방법론이나 사례를 다루기보다는, 연극치료내지 연극치료사가 지향해야 할 궁극적인 자세가 무엇인가에 대한 또 하나의 자기점검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타자의 윤리’를 통해 인간이 세계와 교류하고 대화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에마누엘 레비나스의 생각 및 연극의 제의적, 생산적 측면을 ‘리미널리티(liminality)’라는 개념으로 거듭 강조한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도움을 받고자 한다. 연극치료에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놀이/역할의 문제는 인간의 삶과 밀접한, 인간의 삶의 연장으로 바라보는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도 접근할 수있다. 그런 맥락에서 일찍이 인간의 삶을 ‘제의’와 ‘놀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로 접근했던 빅터 터너(Victor Turner, 1920~1983) 또한 현재 연극치료의 정체성 및 방향성을 굳힐 수...
TAG 리미널리티, 타자의 윤리학, 대화, 치료사의 윤리, , Liminality, Ethics for Others, Dialog, the Etic of therapist
역할 삼각형을 활용한 연극치료 사례
이효원 ( Hyo Won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3] 제3권 69~94페이지(총26페이지)
역할 삼각형(role triangle)은 역할 접근법이 건강함의 기준으로 제시하는 역할 양면성(role ambivalence)을 연극치료에 최적화하기 위해 연구자가 제안하는 극적 구조다. 역할 접근법을 주창한 로버트 랜디는 그동안 역할 프로파일, 역할 점검표, 이야기하기 등 진단평가 도구의 형식으로써 참여자의 역할 체계를 점검하고 역할 양면성에 근접할 수 있도록 돕는 구조를 개발해왔다. 그러나 그 도구들은 자기보고식의 언어적 투사 검사이거나 초점이 결여된 극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역할을 중심으로 한 진단평가 도구로서의 한계를 노정한다. 뿐 아니라 역할 분류의 결과를 집약하여 극화하기 좋도록 주인공 서사를 모방한 현재의 나-미래의 나-방해자-조력자의 구조는 역할양면성을 위한 역할-반대역할-안내자의 삼각 구도와 잘 접합되지 않는다. 그래서...
TAG 역할 접근법(role method), 역할 양면성(role ambivalence), 역할-반대역할-안내자(role-counter role-guide), 역할 삼각형(role triangle), 피해자(victim), 가해자(perpetrator)
학교폭력치료와 좋은 연극치료상담교사의 핵심역할역량모형
정순모 ( Soon Mo Jung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3] 제3권 95~124페이지(총30페이지)
이 글의 목적은 연극치료상담사 역시, 학교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통한 학교개선활동에 동참한다는 점에서, 정규교사의 한 사람으로서 간주되었을때, 그 연극치료 상담사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할역량모형은 어떤 것이 되어야 할 것인가를, 선행연구된 좋은 교사의 역할역량에 견주어 시론적으로 제안하는데 두고 있다. 여기서 모형이란 프로젝트 선정 및 선정프로젝트에 부합되는 교육공학적 계획설정 역량으로서 설계의 세부사항들이 지시하는 행동방향과 최종구조물의 종류 등을 결정해주는 청사진을 말한다. 연극예술적 장점들을 학교폭력치료수단으로 활용하는 연극치료상담교사의 핵심역할역량인 상담(교수)역량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좋은 학교교사의 교수역량과 마찬가지로, 우선 치료상담 목표의 선택역량, 그리고 내용영역과 함께 세부학습목표도 두루 충족시켜주는 보편적 접근법인 전략선택역량, 그리고...
TAG 학교폭력, 좋은학교, 좋은연극치료상담교사 핵심역할역량모형, SchoolViolence(=SV), Good DramaTherapeuticTeachers` CoreRoleCompetenciesModel(=GDTT`s CRCM)
부적응적 자기초점화 변화를 위한 연극치료사 개입형태에 관한 연구
이지은 ( Gie Oun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3] 제3권 125~150페이지(총26페이지)
이 논문은 연극치료 작업 과정에서 치료사의 개입의 형태에 관한 연구로서 심리적인 불안감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에게 실시한 연극치료 단기작업에서 치료사가 어떤 형태의 개입을 수행하였는지 그리고 작업 종결 후 참여자들의 부적응적자기 초점화의 긍정적인 변화를 갖게 한 것이 치료사의 개입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전적으로 좋고 전적으로 나쁜 자기-대상’의 대상관계를 가진 경계선 환자에게서 양극화된 자기표상과 대상표상 및 정서는 대상관계 구성단위를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낸다. 전적으로 나쁜 자기-대상에 빠져있는 사람은 자신이 만들어낸 사적 이미지를 내면에 형성하여 부적응적 자기 초점화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사회적인 상황에서 정서적 불안감을 야기할 수 있다. 부적응적 자기 초점화 경향은 주의나 의식이 외부가 아닌 내부로 과...
TAG 부적응적 자기 초점화, 연극치료, 자기, 치료사의 개입, 치료사와 참여자의 관계,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drama therapy, self, intervention of therapist, relationship of therapist and client
거울전이를 적용한 연극치료 기법 고찰 -우울증 여성을 위한 단기연극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박미리 ( Mi Ri Park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2] 제2권 5~36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하인즈 코헛이 말하는 자기심리학의 치료 이론을 우울증 환자의 단기 연극치료 작업에 적용하여 살펴본 것으로, 이를 통해 연극치료의 치료적인 측면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기본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다음으로 거울전이를 중심으로 우울증 환자 연극치료의 전체 작업 과정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연극치료 세 가지 주요기법 즉 신체 움직임, 투사 활동, 극 활동이 거울전이의 세 단계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 작업에서 신체 움직임은 공감과 원시적 융합을, 투사 활동은 쌍둥이 전이 단계로 자기대상과의 동일시를, 극 활동은 좁은 의미의 거울전이 단계로 과대자기의 확장과 더불어 이상화 전이 단계로의 이동을 경험하도록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변형적내재화라는 극복과정으로서의 거울전이는 연극치료에서 ...
TAG 거울전이, 공감, 연극치료, 자기대상, 자기심리학, dramatherapy, empathy, mirror transference, psychology, self, self-object
자전적 스토리텔링 연극프로그램 개발연구
이두성 ( Doo Sung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2] 제2권 37~79페이지(총43페이지)
이 논문은 연극놀이와 교육연극, 그리고 연극치료와 무용치료, 심리치료등의 다양한 분야의 이론과 실천사례를 국내현장에서 각 대상자들에 맞게적용, 변형, 발전시켜온 것으로서, 연구자 스스로가 체험한 실천과정 및 성과에 대한 귀납적 탐구이다. ‘스토리텔링’은 인간의 원초적 예술형태로서 본 프로그램에 보편성을 부여하며, 실제적으로 연극을 만드는 과정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토리텔링은 < 자전적 스토리텔링 연극 프로그램 >의 주요 모티프로서, 그 기능을 경험한 세계와의 만남을 통한 ① 자기(self)인식 기능, 가능성의 세계를 탐구하는 ② 창의적 표현 기능, 공감공동체를 향한 ③ 대안적 세계의 창조경험으로 세분하여 연구하였다. < 자전적 스토리텔링 연극 프로그램 >의 실천 프로그램은 1) ‘손잡고 말하기’, 2) ‘몸의 상처 말하기’, 3) ‘이미지 자료 이...
TAG 스토리텔링, 연극, 프로그램, Storytelling, Theater, Program
연극치료에서 역할 연기 접근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이효원 ( Hyo Won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2] 제2권 81~119페이지(총39페이지)
이 논문은 연극치료의 접근 방식을 다양한 매체를 통함으로써 에둘러 말하는 투사적 접근법(projective method)과 참여자의 경험을 직접적으로 기술하고 변형하는 역할 연기적 접근법(role play method)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한다. 참여자가 자기 아닌 다른 인물(character)이 되어 사는 것이 투사적 접근의 핵심이라면, 역할 연기적 접근의 요체는 참여자가 자기 자신을 벗어나지 않되 대신 자기를 구성하는 여러 역할(role)을 사는 것이다. 투사적 접근과 역할 연기적 접근 모두 경험을 극적으로 재현한다는 데서는 다름이 없지만, 경험을 그 자체로 드러내는 것과 다른 것에 빗대어 다루는 것은 여러지점에서 구별 되는 접근으로서 어떻게 보고 말하기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사뭇 다른 결과가 초래된다. 역할 연기적 접...
TAG 변형, 삶-드라마 연관, 심리극, 역할 연기, 은유, 투사, 통합, 허구, 5단계 모델, fiction, integrative 5 stage model, life-drama connection, metaphor, projection, psychodrama, role play, transformation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자살 위험군 청소년 연극치료 사례 연구
현미자 ( Mi Ja Hyeon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2] 제2권 121~152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캠프에서 이루어진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자살 위험군 청소년 연극치료 작업 결과가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PIL 사전사후 검사에 비추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캠프의 공연과 조별작업은 삶의 의미 찾기라는 부제 하에 진행되었고 그것을 위해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죽음이라는 주제가 전면에 부각되었다. 죽음은 삶을 돌아보게 해주고 자신의 인생을 보다 책임 있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다. 사전 사후 검사도 인생의 의미와 삶의 만족을 묻는 삶의 의미척도 검사(PIL)를 진행하였다. 본론에서는 PIL 검사 항목과 연극치료 작업에서 보여준 참여자의 변화를 상세히 서술하고 캠프에서 이루어진 PIL 사전 사후검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참여자 A는 사전검사에서 20가지 항목의 7점 척도에서 93점의 점수가 나왔고 사후검사에서는 105점으로 12...
TAG 소외, 삶의 의미, 연극치료, 죽음, 책임, PIL 검사, alienation, drama therapy, death, meaning og life, responsibility, PIL test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여섯조각이야기를 활용한 사례연구
김미희 ( Mi Hee Kim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012] 제2권 153~193페이지(총41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연극치료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주요 기법으로 이야기를 활용했는데 이야기는 자신을 반영하는 하나의 투사 도구로서 편안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물리 라하드의 6조각이야기를 전체 작업의 중심에 두고 진단 도구 뿐 만 아니라 치료 과정 자체로도 활용하였다. 우선 6조각이야기를 실시하여 참여자를 진단하였고, 이를 토대로 스토리메이킹을 진행하면서 주제에 맞는 이야기를 선정하였고, 그것을 연극 작업으로 확장하였다. 본 작업의 결과 연극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미친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고, 스토리메이킹 기법으로서 6조각이야기를 활용한 것이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연극 작업이 허구와 현실의 혼재를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참여자는 ...
TAG 물리 라하드, 스토리메이킹, 스트레스, 이야기, 정신분열병,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6조각 이야기, schizophrenia, stress, vulnerability-stress model, Mooli Lahad, Story, Storymaking, 6 Part story making, 6PSM, BASIC-Ph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