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회상담학회 AND 간행물명 : 목회와 상담3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광야 출애굽 백성의 심리적 분석: 모세에 대한 원망을 중심으로
이재호 ( Lee Jae Ho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8] 제30권 178~210페이지(총33페이지)
모세 오경에는 출애굽 하여 가나안 땅을 향해 광야를 여행하는 이스라엘 백성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광야 생활의 어려움으로 인해 불평했을 때 이들은 초자연적인 기적을 통해 그 어려움을 해결 받는 경험을 하지만 새로운 어려움이 닥치면 또다시 모세를 원망을 한다. 이런 이들의 모습은 계속해서 변하지 않은 까닭에 하나님은 결국 이들을 광야에서 죽게 하신다. 이들을 보면서 필자는 목회적 관점에서“이들은 왜 변하지 못했을까?”하는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대상관계 이론을 적용하여 가능한 대답을 하나 제시한다. 즉, 학대받은 과거에서 비롯된 이들 내면의 나쁜 대상이 광야의 어려움 속에 모세에게 투사되어 모세를 나쁜 대상으로 보도록 만들었을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아울러 초자연적인 구원의 경험에도 변화될 수 없었던 이유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변화를 위해서 이들을 공...
TAG 출애굽 백성, 원망, 나쁜 대상, 좋은 대상, 모세, The Israelites of Exodus, Grievance, Good Objects, Bad Objects, Moses
수퍼비전에서 발생하는 병행 과정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이준호 ( Lee Joon Ho ) , 박문현 ( Park Moon Hyun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8] 제30권 211~243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에서 발생하는 병행 과정의 다양한 개념화와 그 임상적 적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병행 과정은 내담자가 치료자에게 행동하듯이 치료자가 수퍼바이저에게 행동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 현상은 무의식적 동일시를 바탕으로 하며 내담자의 무의식적 불안 및 방어들이 치료자 안에 있는 유사한 부분을 자극하지만 치료자는 이를 의식화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퍼비전에서 이것을 무의식적으로 의사소통하려는 과정에서 병행 과정이 발생한다. 1950년대에 해롤드 설즈(Harold Searles)가 처음 병행 과정을 이론화 했으며 그 이후로 약 60년 동안 정신분석의 흐름과 함께 발달해왔다. 이 개념의 발달 과정을 면밀히 검토해본 결과 다섯 가지의 주요 관점으로 분류하고 도식화할 수 있었으며, 그 기준으로는 병행 과정의 기원, 방향성, 그리고 활용도를 사용했다....
TAG 병행 과정, 수퍼비전, 수퍼바이저, 상호주관성, 정신분석, Parallel Process, Supervision, Supervisor, Intersubjectivity, Psychoanalysis
사회심리학과 과정신학의 대화를 통한 목회상담세우기
이희철 ( Lee Hee Cheol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8] 제30권 244~269페이지(총26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상담은 관점이라고 주장한다. 관점은 상담의 방향과 방법을 결정한다. 목회상담이 다른 상담과 다른 이유는 기독교적 관점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관점으로서 목회상담을 더 풍성하게하기 위해 신학과 심리학의 대화를 시도한다. 신학으로서 존 캅의 과정신학을, 심리학으로서 조지 허버트 미드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선택하였다. 과정신학과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제시된 사례속에 나타난“인간의 유한성의 문제”와“소외와 수치심의 문제”를 과정신학적이고 사회심리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적인 문제로 머물지 않고 인간의 도덕성과 궁극적 관심으로 연결된다. 조지 허버트 미드의 사회심리학과 존 캅의 과정신학의 대화를 통해 유한성, 소외, 수치심의 실존적 문제에 세 가지 새로운 신학적 심리학적 관점을 제시한다. 첫째, 인간의 유한성은 서로...
TAG 사회심리학, 상징적 상호작용론, 과정신학, 수치심, 소외, 유한성, 관점, Social Psychology, Symbolic Interactionism, Process Theology, Shame, Isolation, Finitude, Perspective
하나님 형상 연구: 융의 자기(The Self)와 융 모래놀이치료를 중심으로
정병호 ( Jung Byungho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8] 제30권 270~304페이지(총35페이지)
목회상담이 기본적으로 신앙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하나님 형상에 관한 이해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 하나님 형상에 관해 심리학적 탐구와 연구들이 있어왔는데 많은 연구들이 그 공헌에도 불구하고 환경이 하나님 형상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고 하는 기본적 전제로 인해 환경을 뛰어 넘는 초월적 하나님 형상 이해에 관해 충분히 설명할 수 없는 한계를 드러낸다. 그러나 칼 융(C. G. Jung)은 원형연구를 통해 이러한 초월적 하나님 형상에 깊이 있고 폭넓게 접근한다. 그의 정신분석적 원형이해는 보편적 객관적 가치를 기초로 한 심리학적 방법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넘어서 집단무의식이라고 하는 자기의 상징을 통해 하나님 형상을 연구했다. 연구자는 정신분석적 방법론을 통해 신학적 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어진 하나님 형상을 살펴보았다. 하나님 형상에 관한 심리학적 선행연구를 통해...
TAG 하나님 형상, 자기, 상징, 융 모래놀이치료, The Image of God, The Self, Symbol, Jungian Sandplay Therapy
Pastoral Theology through Bodily Selves in the Time of Particularity: A Phenomenological Inquiry on Methodology
( Kang Chunku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8] 제30권 305~335페이지(총31페이지)
경험과 지식의 상대성, 다양성, 그리고 특수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모던 사회와 문화 속에서 목회신학과 실천신학은 지금까지 소외되어 온 다양하고 특수한 경험과 목소리들에 귀를 기울이며 구체적 상황과 프락시스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새롭고 다양한 목소리들과 이를 토대로 구성된 새로운 신학적 담론들은 현대신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지만 진리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교회의 신앙과 신학과는 종종 갈등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특히 일부 목회신학 연구에서 볼 수 있는 극단적인 사회적 구성주의의 영향은 인간의 자연적 몸의 실재와 그 역할을 소홀이 여기고, 젠더, 성, 가족 등을 사회-문화적 담론에 의해서 구성된 것으로만 강조함으로써 전통 신학의 이해와 조화되기 어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근거하여 본 논문은 인간 경험의 다양성과 개별성,...
TAG Pastoral Theology, Epistemology, Methodology, Body, Embodiment, Merleau-Ponty, 목회신학, 인식론, 방법론, , 체화, 메를로-퐁티
The Living Human Web: A Twenty-Five Year Retrospective
( Bonnie J. Miller-mclemore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8] 제30권 336~371페이지(총36페이지)
경험과 지식의 상대성, 다양성, 그리고 특수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모던 사회와 문화 속에서 목회신학과 실천신학은 지금까지 소외되어 온 다양하고 특수한 경험과 목소리들에 귀를 기울이며 구체적 상황과 프락시스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새롭고 다양한 목소리들과 이를 토대로 구성된 새로운 신학적 담론들은 현대신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지만 진리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교회의 신앙과 신학과는 종종 갈등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특히 일부 목회신학 연구에서 볼 수 있는 극단적인 사회적 구성주의의 영향은 인간의 자연적 몸의 실재와 그 역할을 소홀이 여기고, 젠더, 성, 가족 등을 사회-문화적 담론에 의해서 구성된 것으로만 강조함으로써 전통 신학의 이해와 조화되기 어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근거하여 본 논문은 인간 경험의 다양성과 개별성,...
TAG The Living Human Web, The Living Human Document, Pastoral Theology, Pastoral Counseling, Context, Empathy, 살아있는 인간관계망, 살아있는 인간문서, 목회신학, 목회상담, 상황, 공감
멜라니 클라인의 우울적 자리를 넘어서: 초월적 자리와 영적자리에 대한 고찰
이준호 ( Lee Joon Ho ) , 홍미예 ( Hong Mi Yee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7] 제29권 166~201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는 멜라니 클라인의 두 자리 이론이 안고 있는 한계점에서 출발하였다. 두 자리 이론은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우울적 자리가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사용되면서 이론적 혼란을 야기했을 뿐만 아니라, 우울적 자리의 과업들이 완성된 이후의 발달에 대한 설명이 부재한다. 새로운 이론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제임스 그롯슈타인과 닐 마이젤스는 각각 초월적 자리, 영적 자리라는 개념들을 창안했다. 그롯슈타인의 초월적 자리는 윌프레드 비온의 ‘O’ 개념을 수용하여 기존의 두 자리 이론을 넘어서는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마이젤스의 영적 자리에서는 우울적 자리의 훈습이 충분히 다루어진 이후에 나타나는 정서적 특징들과 그에 대한 방어기제들을 묘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개념들을 비교·분석하였으며 클라인의 두 자리 이론, 변형, 초월적 자리, 영적 ...
TAG 멜라니 클라인, 제임스 그롯슈타인, 닐 마이젤스, 우울적 자리, 초월적 자리, 영적 자리, Melanie Klein, James Grotstein, Neil Maizels, Depressive Position, Transcendent Position, Spiritual Position
Trauma and Spirituality of Victims of Sexual Abuse
( RohPaul ) , ( YeoHankoo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7] 제29권 334~361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성적학대 희생자들의 상처(trauma)와 영성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로 성적학대로 고통을 겪는 피해자들의 상처를 보듬고 심리적, 영적 회복과 치유에 대한 목회상담적 접근에 대한 것이다. 성적학대 희생자들은 대부분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증상을 겪게 되며, 트라우마적 사건으로 인해 지속적인 심리적, 육체적 고통을 받는다. 성적 트라우마는 피해자는 물론이고 그 가족과 주변인들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성적 트라우마를 가진 내담자들은 성적학대와 그 원인들에 관한 영적 문제들과 연관된 이슈들로 인해 고통을 받는다. 영적 믿음과 인식들에 따라 그 상황과 고통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으며, 분노와 하나님에 대한 불신과 같은 부정적 감정들을 갖기도 한다. 성적 트라우마 희생자들은 자신의 대응자원에 따라 문제 극복을 위해 노력하게 되는데, 대...
TAG Spirituality, Trauma, Sexual Abuse, Pastoral Counseling, PTSD, 영성, 트라우마, 성적학대, 목회상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포스트모던 걸들의 출현과 목회상담
조현숙 ( Cho Hyeon Sook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7] 제29권 269~293페이지(총25페이지)
포스트페미니스트들에게 여성은 하나로 명명되거나 고정될 수 없는 존재다. 왜냐하면 주체성은 언어에 의해 구성되어지기 때문에, 생물학적인 성차보다는 사회적으로 만들어지는 젠더를 더 의미 있게 여기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포스트 페미니스트에게 남녀의 구분은 의미가 없다. 구성되어지는 주체성을 지닌 포스트 페미니스트담론은 치료적 관점에서 지금까지 치료자, 해석자, 연구자중심이었던 패러다임을 치료자와 내담자의 상호주관적인 대화의 망에서 나오는 합의의 이야기로 바꾸기 시작하였다. 내담자가 추구하는‘자기’에 대한 진술도 사회를 통해 구성되고, 이야기 속에서 지속된다. 크리스테바에 의하면 주체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언어 안에서 구성되고 언제나 진행 중이다. 이는 여성이라는 단일 정체성에 대한 도전적 물음이자 여성의 특성을 보편화하거나 집단화할 수 없다는 선언이다. 이리...
TAG 포스트모던 걸, 정체성, 크리스테바, 이리가레이, Post-Moderngirl, Identity, Kristeva, Irigaray
‘아버지 작업’의 임상적 의미 연구
고영순 ( Koh Young-soon )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2017] 제29권 9~50페이지(총42페이지)
아버지가 양육에 참여적일 때, 결혼만족도는 물론 아이의 자존감이나 대인관계, 진로에도 상관성이 있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연구자의 입장은 좀 다른 측면에서 동기화되었다. 사회문화적인, 교육적인 측면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임상적인 측면에 다소 거리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나’라는 존재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아버지는 누구인가?’는 양성평등의 현 시대를 따라잡지 못해 당혹스러워하거나 심지어 저항적인 요소가 있다. 갈등적인 부부 상담을 해보면 반드시 역할기대에 대한 충돌을 만나게 된다. 아버지는 자기가치감과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도구성(왕이나 무사 이미지)을 보여주는 존재이다. 아버지라는 존재는 세상 앞에서 자신의 도구를 어떻게 사용해왔는지, 세상과 어떻게 상호작용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지 방법을 알려주는 대상이라는 것이다. 아버지를 만나는 심리작업을 할 때 연구...
TAG 아버지 작업, 로버트 무어, 남성 원형, 데이비드 호킨스, 의식지도, the Work, Fatherhood, Role Expectation, Archetypes, Map of Consciousness, Power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