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115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AI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인식
이수영 ( Lee Soo-yo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15~31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AI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이해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초등학교에서의 AI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설정, 그리고 이를 위한 교사 연수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도권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응답 결과에 대한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은 AI 기술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AI 기술 도입으로 인해 학교 교육이 여러 측면에서 변화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으나, AI 기술에 대한 이해는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AI 교육은 ‘AI 시대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가르치는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AI 소양 교육 관련 내용에 대한 응답이 AI 활용 교육에 대...
TAG AI 소양 교육, AI 활용 교육, 초등학교, 초등교사, 교사 연수, AI Literacy Education, AI Utilization Education,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Teacher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초등 실과교육에서 인공지능 관련 국내 연구 동향
장현진 ( Jang Hyun J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33~48페이지(총16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실과교육에서 인공지능과 관련한 국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RISS에서 초등, 실과, 컴퓨터, 정보, 로봇, 소프트웨어, 코딩,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1992년부터 2020년 5월까지 총 152편의 논문을 선정 및 분석하였다. 실과교육 연구 내에서 인공지능 용어를 직접 사용하는 연구는 많지 않지만, 인공지능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해당하는 컴퓨터, 로봇, 프로그래밍 등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연구 유형의 동향은 개발연구 40편, 조사연구 30편, 실험연구 28편 등의 순으로 많았다. 연구 내용의 동향은 교육내용·교육과정 연구 34편, 교재·자료·교구 연구 34편으로 많았으나, 교수학습·평가연구 14편, 교육 본질 연구 2편으로...
TAG 초등, 실과교육, 인공지능, 국내, 연구 동향,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Domestic, Research trends
인공지능의 시대, 교육의 변화와 방향에 따른 학교체육의 과제
박민영 ( Park Min Young ) , 엄우섭 ( Eom Woo Seop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49~60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시대에 교육이 맞이하게 될 변화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예상해보고, 그와 관련하여 개별 교과 중 체육이 풀어야 할 과제에 관해 논의해보는 데 있다. 인공지능기술을 필두로 한 4차 산업혁명은 그동안 교육이 기대고 있던 모더니즘 패러다임의 한계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교육 영역을 침범하며 인간 교사를 대체할 인공지능 교사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미네르바 스쿨’로 대표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기존의 모더니즘 교육 패러다임을 대체해야 하며, 인간 교사와 인공지능 교사가 공존할 수 있는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암기 위주의 지식 교육에서 기계가 따라할 수 없는 독창성과 가치성을 갖춘 창의성 교육으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 노력해야 할 ...
TAG 인공지능, 교육, 학교체육, Artifical Intelligence, Education, School Physical Education
인공지능 시대의 하브루타 미술 교육 방안 고찰 -초등학교 미술 교육을 중심으로-
한경은 ( Han Kyung-e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61~7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시대라는 맥락 속에서 하브루타 미술 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미술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하브루타 교육 활동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역사와 철학 등의 인문학적인 배경을 지닌 미술 작품에 대한 심도 깊은 감상과 비평, 그리고 치열한 연구와 고민을 바탕으로 한 미술 창작 활동이 주가 되어야 한다. 미술 교사는 인간의 고유 영역에 대한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작품을 엄선할 수 있어야 하고 심도 있는 토론으로 이끄는 질문을 선정하여야 한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미술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하브루타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하브루타 미술 교육은 인공지능이 일반화된 사회에서 인간이 인간다움을 잃지 않고 기술, 환경, 복지와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사회 구현...
TAG 인공지능 시대, 하브루타, 미술 교육, 질문, 토론, Artificial Intelligence, Havruta, Art Education, Question, Discussion
인공지능과 초등영어교육: 챗봇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윤여범 ( Yoon Yeo Bom ) , 박미애 ( Park Miae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77~90페이지(총14페이지)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을 시작으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인간과의 대결에서 이미 많은 승리를 거두고 있었다. 1997년 체스의 Deep Blue는 인간 최고수와의 대결에서 승리했고, 2011년 인공지능 Watson은 퀴즈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인간 우승자들을 가볍게 꺾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도 바둑만큼은 컴퓨터가 인간을 이길 수 없는 최후의 보루라고 여겨지고 있었다. 그러나 바둑도 인공지능 발전의 거센 흐름 속에서 예외일 수 없었다. 2016년의 대결에서 이세돌은 완패했고 이후 알파고는 바둑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많은 분야에 있어 인공지능을 지칭하는 대명사로 불리게 되었다. 이처럼 인공지능은 경제, 산업, 의료, ...
TAG 번역기, 인공지능, 챗봇, 초등영어교육,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Primary English education, Translating machine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동향
박만구 ( Park Mang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91~10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을 활용 선도 국가들의 간략한 사례와 국내 적용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고 인공지능이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Google의 검색을 통하여 “Artificial Intelligence”, "AI”“인공지능”으로 검색하여 수학교육과 관련이 있는 2000년 이후 발행한 관련 논문 및 웹사이트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은 K-12학년 학생들을 위한 MATHia 프로그램, 중국은 Squirrel AI Learning Program, 뉴질랜드에서는 인공지능 수학교사 Amy, 그리고 스페인은 ARTIE라는 로봇을 활용하고 있다. 이외의 교육 선진국에서는 나름대로 인공지능을 수학교육에 활용하고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대부분은 수학교육 ㅇ을...
TAG 수학교육, 인공지능, 동향, Mathematics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Trends
인공지능 시대의 초등학교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의 문제와 방향
박주경 ( Park Juky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103~118페이지(총16페이지)
초등학교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되어 온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은 과거의 프레임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는 초등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는 교사의 맞춤형 전문성 개발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의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 하여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에 맞는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을 실천하기 위하여, 오늘날 초등학교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의 문제와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들 중, 교직 경력과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 경험이 풍부한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 자료는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주제를...
TAG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 초등 수학, 인공지능 시대,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Elementary mathematics, The age of AI
사회과에서 인공지능교육의 유형화와 현장 적용 탐색
남호엽 ( Nam Ho Yeop ) , 조현기 ( Cho Hyun Gi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119~133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는 사회과에서 인공지능교육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사회과에서 인공지능교육은 학습자의 인공지능사회 소양 증진에 주안점을 두는 경우와 수업 내실화 과정 속에서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4차 산업혁명 시기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미래연구와 STS 교육의 접근을 통해 교육과정 실제의 구체화가 가능하다. 인공지능은 기계 지능이라고 달리 말할 수 있으며, 인간으로 하여금 존재론적 성찰을 행하도록 하면서 인공지능사회 소양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인공지능사회 소양교육의 기본 아이디어는 인공지능기술이 사회 전체에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학습자로 하여금 인식하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인공지능 사회인식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을 학년 수준으로 체계화하여 단원 구성이 가능할 정도로 교육과정...
TAG 사회과 인공지능교육, 미래 연구, 과학-기술-사회 교육, 인공지능활용수업, 문제해결,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ISSED, Future studies, STS education, Instruction using AI, Problem solving
초등영어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빅 아이디와 성취기준
김진석 ( Kim Jin-seo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135~153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학습자의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한 빅 아이디어 및 성취기준을 설정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OECD(2018), 유네스코(2019), 오리곤 대학교 (2019)의 교육과정을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관련된 빅 아이디어 및 성취기준 등이다. 분석결과, 초등영어 학습자들이 1) 호기심을 갖고 인공지능을 점차 인식하면서 그것을 비판적으로 사용하는 태도를 가지고, 2) 인공지능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료를 검색하여 과제를 완수하거나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지식과 기술을 가지며, 3) 인공지능과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실천하는 실행력을 가지는 것을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목적으로 삼을 수 있다. 그 목적을 기반으로,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인공지능...
TAG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Big ideas, Achievement standards, 인공지능 리터러시, 빅 아이디어, 성취기준
인공지능 시대의 국어 문식성 교육의 혁신
원진숙 ( Won Jinsoo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0] 제31권 155~171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 앞의 현실로 다가온 인공지능 시대의 국어 문식성 교육은 어떻게 대응하고 진화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한 시론적 성격의 논문이다. 본고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의 국어 문식성 교육의 대응 방안을 생태학적 관점과 권한부여적 관점의 두 방향으로 초점화하여 접근하였다. 먼저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변화된 디지털 문식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학교 교육의 주요 교육 내용으로 편입되어야 함을 제안하였고, 권한부여적 관점에서는 인공지능에 대체되거나 지배되지 않는 인간의 고유한 창의성과 주체성을 길러낼 수 있는 실천적 ‘힘’으로서의 ‘변혁적 역량’을 갖게 하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인공지능 시대의 국어 문식성 교육의 혁신 방안으로 분절적 교육을 극복하는 교육체제의 혁신, 삶의 맥락이 녹아 있는...
TAG 국어 문식성 교육, 생태학적 관점, 권한부여적 관점, 변혁적 역량, 파트너 관계 기반 교수법, Korean literacy education, Ecological perspective, Empowerment perspective, Transformative competence, Partnership-based teaching method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