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

 1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1
 2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2
 3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3
 4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4
 5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5
 6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6
 7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7
 8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8
 9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9
 10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10
 11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11
 12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과정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현황조사
2. 우리 사회에서 남용되는 외래어 및 외국어분석
3. 언어 순화 시 고려할 사항 조사 정리
4. 본격적인 우리말 순화를 위한 사례분석
5.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우리말 순화 과정 도출
6. 변환시도 및 전달수준 실효성 시험
7. 결론
8. 참고자료
본문내용
3. 언어 순화 시 고려할 사항 조사 정리
언어의 순결성
우리말 다듬기는 국어 속에 있는 잡스러운 것을 없애고 순수성을 회복하는 것과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한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우리말 다듬기는 들어온 말과 외국어를 가능한 한 고유어로 재정리한다는 것과 비속한 말이나 틀린 말을 고운말, 표준말로 바르게 하자는 것이다. 이를 '다듬기'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외국어나 외래어를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을 뜻하는 것으로 우리말을 '깨끗하게' 만드는 데 이바지한다.
(1) 개념 차별성(독립성)의 원칙: 순화어도 대상어가 가진 의미의 차별성(독립성)을 순화어에서도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가마보코’와 ‘오뎅’을 함께 ‘어묵’으로 통합 순화하면 원래의 대상어에 있던 차별성이 유지되지 않아 순화어가 정착하기가 쉽지 않다.
언어의 규범성
규범성을 고려하는 것은 '바로잡기'라 할 수 있다. 이는 우리말의 전통성이나 어법, 문법 등 갖가지 기준에 어긋나는 요소들을 바로잡아 우리말의 전통성을 회복하고 통일성을 유지하려는 일련의 과정을 뜻하는 것으로 우리말을 '알맞게' 바로잡는 데 이바지한다.
(1) 자연스러운 조어 방식의 원칙: 순화어가 국어 조어법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 ‘가감법 → 더덜기’처럼 현대국어에서 비생산적인 비통사적 합성법을 활용한다든가, ‘가스청정 → 가스 맑히기’처럼 사동사로 쓰이지 않는 ‘맑히다’를 억지로 쓰는 일은 국어의 자연스러운 조어법이 아니다.
(2) 통사 기능 동질성의 원칙: 순화어는 대상어와 문법적 범주가 동질적이어야 한다. ‘감내 → 견딤, 감축 → 줄이기, 객혈 → 피 토하기’는 순화어가 문법 기능상 실제 사용에서 대상어와 동일하게 쓰이기가 어렵다.
(3) 단어족 호응의 원칙: 연어나 숙어의 형성, 상위어와 하위어, 동의어와 반의어의 관계 등에서 순화어의 단어족과 대상어의 단어족이 최대한 동일하게 대치될 수 있어야 한다. ‘감내’의 단어족과 ‘견딤’의 단어족이 같지 않다는 점에서 이런 순화어는 실용성이 없다.
언어의 합리성
합리성은 '가꾸기'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말을 더욱 합리적이며 효율적으로 가꾸어 가는 일련의 과정을 뜻하는 것으로 우리말을 바람직한 방법으로 발전시키는 데 이바지한다. '가꾸기'는 좀 더 명확한 표현, 좀 더 아름다운 표현 등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1) 용이성의 원칙: 순화어가 순화 대상어보다 쉬워야 한다.
(2) 간편성의 원칙: 순화어의 어휘 구조상 단일어가 간편해야 한다. 즉, 구보다는 단어, 복합어보다는 단일어가 순화어로 적합하다는 것이다. 국립국어연구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의 순화어에는 ‘明渡 → 내어 줌’처럼 구로 한 것이 너무 많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언어의 경제성
다듬은 말이 본래의 뜻과 가치가 정확히 보존하지 않거나 그 단어 구성이 복잡해지고 길이가 길어진다면 이는 언어의 경제성에 어긋나는 것이다.
(1) 개념 동일의 원칙: 순화어가 대상어와 개념상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갈색 → 밤색, 경음기 → 나팔, 가루우유 → 가루젖’ 등은 순화어가 대상어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2) 인지도 우선의 원칙: 순화어는 순화 대상어에 비해 인지도가 높아야 한다.
(3) 가치의 동일성 원칙: 순화어가 대상어와 주변적, 정서적, 연상적 가치면에서도 일치하여야 한다. 가령, ‘마우스’를 ‘쥐돌이’라고 할 때 ‘쥐’의 부정적 가치 때문에 순화어가 정착되기 어렵다.
참고문헌
① 국립국어원
② 네이버 어학사전
③ www.malteo.net
④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4736000
⑤ , 국립국어원 2009-3-17
⑥ , 민현식(서울대 국어교육과), 국제학술회의논문집, 2002년
⑦ - 김용권 (새 국어생활, Vol.6 No.3, [1996])
⑧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2&docId=36461266&qb=7Jm46rWt7Ja0IO2KueynlQ==&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8VSx35Y7uCsstg1L8wssc--171405&sid=T8sPC-39yk8AAAwdCyw (출처: 유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그리스-발칸학과 교수)
⑨ http://ko.wiktionary.org/wiki/%EC%9C%84%ED%82%A4%EB%82%B1%EB%A7%90%EC%82%AC%EC%A0%84:%EC%99%B8%EB%9E%98%EC%96%B4#cite_note0http://ko.wiktionary.org/wiki/%EC%9C%84%ED%82%A4%EB%82%B1%EB%A7%90%EC%82%AC%EC%A0%84:%EC%99%B8%EB%9E%98%EC%96%B4#cite_note-0 (본래 출저지: 임홍빈,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의 문제)
⑩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8308700
⑪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1&docId=111437372&qb=7Jm46rWt7Ja0IOyiheulm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g8VSCU5Y7ulssvheMQ0ssc--281422&sid=T8sPC-39yk8AAAwdCyw
http://hangeul.seoul.go.kr/foreign/han040101.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