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AND 간행물명 : 퇴계학과 유교문화56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문학론(文學論) 연구(硏究)
김영주 ( Young Ju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33권 203~237페이지(총35페이지)
TAG 민주주의적 관점, 民主主義的 觀點, 실학파, 實學派, 당파, 黨派, 소론, 少論, 도문상수론, 道文相須論, 자득지묘, 自得之妙, 창신, 創新, 성정(性情)의 표출(表出), 온유돈후, 溫柔敦厚, 『시경, 詩經』의 가치 재인식, 민요(民謠)와 시조(時調)의 가치 인식, 저층문화에 대한 이해, 보편적 情緖에 대한 관심, 朝鮮風의 始原, a national standpoint, a realistic school an academic clique, a polit
관암(冠巖) 홍경모(洪敬謨)의 중국문인(中國文人)과의 교유(交遊)와 그 양상(樣相) -2차 연행을 중심으로-
이군선 ( Goon Seon Lee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33권 235~264페이지(총30페이지)
TAG 관암, 홍경모, 기수유, 솔방울, 탁병념, 탁병음, 진근광, 섭지선, 삼세신교, 세교, 세호, Kwan-am, Hong gyung-mo, Gi Soo-you, Sol Bang-ul, Tak Byung-neam, Tak Byung-Um, Jin Gen-gwang, Sup Ji-sun, a mental association of three generations, a companionship of generations, a goodness of generat
『동문선(東文選)』 문체 분류의 성격
김종철 ( Jong Cheol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33권 263~286페이지(총24페이지)
TAG 동문선, 문체, 文體, 문류, 文類, 형식, 분류, 병문, 騈文, 산문, 散文, Dongmoonseon, Literary style, kind of sentence, classification based on form, Byeonmoon, prose
고령의 반룡사와 체원(體元)의 화엄사상
채상식 ( Sang Sik Chae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43권 5~37페이지(총33페이지)
고령에 소재한 반룡사는 어떤 역사적, 사상·신앙적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우선 반룡사에 관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는 신라 애장왕 3년(802)에 해인사와 같은 시기에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현전하는 반룡사 다층석탑의 조성시기는 문헌자료와 연결하면 고려중기일 가능성이 높다. 반룡사에 관한 문헌자료로서 원 세조가 내린 榜文이 있다. 이 방문을 내린 사찰은현 반룡사가 아닌 것 같다. 당시 몽고군이 주둔한 창원의 남쪽에 있는 `반룡산`이 주목된다. 한편 「送盤龍如大師序」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를 실제 개창한 인물은 승통 寥一이다. 그는 李仁老(1152~1220)의 大叔으로 화엄종 사찰인 개경의 흥왕사 승통이었으며, 최충헌을 모해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은 적이 있다. 요일이 개경에서 벗어나 반룡사에 정착한 것은 아마 중앙의 정치권력으로부터 멀어진 화엄종...
TAG 반룡사, 요일, 체원, 관음신앙, 사경, 원세조 방문, Banryong Temple, Yoil, Chewon, the Faith of Avalokitesvara, Copies of the Sutras, Public notice granted by Sejo of Yuan
강안학(江岸學)과 고령(高靈) 유학(儒學)에 대한 시론(試論)
정우락 ( Woo Lak Jeo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43권 39~94페이지(총56페이지)
본고는 고령 유학의 전반적 성격과 특징, 그리고 전망을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낙동강 연안에 위치한 고령의 지리적 특수성에 입각하여 `江岸學`이라는 새로운 가설을 통해 영남 유학의 성격을 시론으로 살핀 다음, 거기에 입각하여 고령 유학의 특징을 구명하는 것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퇴계학과 남명학을 중심으로 영남학을 읽던 기존의 관점을 극복하는 측면에서, 나아가 한강이나 금강 등 전국적 범위의 강안학을 고령지역에 적용시키고 있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의를 확보하고 있다. `江岸`이라는 용어는 영남지역의 詩歌문학적 특성을 살피면서 제출되어 낙동강 연안을 중심으로 유학사상사를 새롭게 이해하자는 쪽으로 확대 적용되었다. 즉 강좌의 退溪學派와 강우의 南冥學派로 양분되던 영남학을 강안지역의 寒旅學派를 다시 설정하여 소통과 화합의 영남학을 구축하자는 ...
TAG 강안학, 낙동강 연안, 고령 유학, 기호학, 영남학, 퇴계학파, 남명학파, 한려학파, 회통성, 실용성, 독창성, Kanganhak, region around the Nakdong River, Goryoeng Confucian thoughts, Gihohak, Yeongnamhak, Toegye school, Nammyeong school, Hanryeo school, conciliation, practicality, creativity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성리학적 입장에 대한 검토 -한주학파(寒洲學派)와의 논변을 중심으로-
임종진 ( Jong Jin L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43권 95~131페이지(총37페이지)
본 논문은 19세기말 영남의 성리학자인 李種杞의 성리학적 입장을 살펴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性理學에 대한 이종기의 입장은 그의 문집 속에 들어 있는 소논문들, 李震相과 그의 제자 및 다른 성리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러한 글 속에서 이종기는 여러 성리학적 주제들과 관련된 자신의 입장을 피력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해 보면, 이종기는 크게 두 측면에서 자신의 성리학적 입장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첫 번째 측면은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李珥의 성리학적 입장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退溪學派로서의 자신의 사상적 좌표를 명확하게 설정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측면은 퇴계학파 내에서의 성리학적 입장과 관련되어 있다. 이점과 관련해서는 이종기와 이진상을 비롯한 寒洲學派(許愈, 尹胄夏, 郭鍾錫)와의 논변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
TAG 주희, 朱熹, 이황, 李滉, 이진상, 李震相, 이종기, 李種杞, 한주학파, 寒洲學派, 심즉리설, 心卽理說, 심합리기설, 心合理氣說, 이기호발설, 理氣互發說, 주리론, 主理論, Chu Hsi, Lee Hwang, Lee Jin-Sang, Lee Jong-Gi, school of Hanju, theory that human mind is Li, theory of human mind as the integration of Li-ki, theory of co-
성와 이인재의 유교개혁사상
김종석 ( Jong Seok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43권 133~159페이지(총27페이지)
성와 이인재는 경북 고령 출신으로 한말 영남지역의 대표적인 유교개혁론자이다. 그는 지금까지 단지 『희랍철학고변』의 저자로 널리 알려져 왔지만, 이 기념비적 저술의 이면에는 유교개혁에 대한 그의 의지가 깔려있다. 그는 다른 한편으로 독실한 성리학자이다. 본 논문의 집필은 독실한 성리학자인 이인재가 희랍철학을 깊이 연구하여 체계적인 저술을 남겼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 가운데 중요하게 다룬 문제는 이인재의 성리학 사상과 그의 희랍철학 연구라고 하는 피상적으로 보면 이질적인 두 측면을 어떻게 연결시켜 설명할 것인가라는 점이다. 요컨대 이인재는 희랍철학 연구를 통해서 성리학의 진리성을 재확인했으며, 동시에 성리학 특히 한주학의 연구를 통해서 서양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도출했다. 그리고 그 연장선 위에서 당시 보수유림 사회의 문제점을 개...
TAG 성와, 이인재, 유교개혁론, 희랍철학고변, 한주학파, 이진상, 곽종석, 강유위, 장지연, Li yinjae, Confucianism reformation, Critical Study on Ancient Greece Philosophy, Ηanju school, Li jinsang, Kwak jongseok, Kang yuwei, Ryang chichao
풍수사상으로 살펴본 고령지역의 풍수지리학적 특성
성동환 ( Dong Hwan Su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43권 161~191페이지(총31페이지)
풍수사상은 한국인의 공간활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고을과 마을의 입지와 주택의 배치, 사찰, 향교, 서원, 무덤 등의 입지 선정이나 경관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 논문은 고령군 지역의 읍기, 마을, 향교, 서원, 사찰 등의 양택과 고령지역의 음택을 선정하여 풍수지리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한 것이다. 고령 邑基는 水口가 虛한 단점이 있으나 산과 물의 짜임새가 잘 이루어져 있어 지리적인 정체성이 잘 드러나는 명당이며, 현재에는 소멸했으나 과거 읍기의 하천가에 조성되어 있던 赤林은 청룡줄기가 짧은 것을 보완해주고 홍수의 피해를 막아주던 風水裨補의 역할을 하던 숲이었다. 고령지역 마을 명당의 풍수지리학적 특징을 살피기 위해 개실마을, 송림리마을, 벌지리마을 등을 현장답사를 통해 조사 해석하였으며, 종교적 장소성이 잘 부각되는 곳에 입지한 반룡사와 ...
TAG 고령, 풍수, 양택, 陽宅, 음택, 陰宅, Koryoung, 高靈, Feng-shui, 風水, Yang-ta, feng-shui for the Living, Yeum-ta, feng-shui for the dead
도산구곡(陶山九曲) 원림(園林)과 도산구곡시(陶山九曲詩)고찰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43권 193~233페이지(총41페이지)
본 논문은 2007년 8월과 2008년 5월, 2차에 걸쳐 실시된 도산구곡 원림에 대한 학술조사와 이가손 등 6인이 지은 도산구곡시, 오가산지 등 도산구곡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하여 도산구곡의 각 지점을 고증하고, 이가순의 도산구곡시를 중심으로 도산구곡시의 작품세계를 분석, 고구하였다. 도산구곡은 낙동강을 따라 운암에서 청량까지 약 45리에 걸쳐 설정되어 있는 구곡원림인데, 언제, 누가 설정한 것인지 알 수 없었고, 그 구곡의 지점도 일정하지 않았다. 문헌조사와 2차에 걸친 학술조사를 통하여 고산구곡의 설정은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완성되었고 도산구곡의 중심 지점은 1곡이 운암, 2곡이 월천, 3곡이 오담, 4곡이분천, 5곡이 탁영, 6곡이 천사, 7곡이 단사, 8곡이 고산, 9곡이 청량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산구곡시는 이이순, 이야순,...
TAG 도산구곡, 도산구곡시, 도산구곡 원림, 퇴계구곡, 퇴계구곡시, 퇴계 이황, 이가순, 이야순, 이종휴, 무이구곡도가, 탁흥우의, 구곡문화, 구곡도, 구곡비평, 낙동강, 청량산, Dosangugok, Dosangugok poems, Toegyegugok, Toegyegugok poems, Lee Yi sun, Lee Ya-sun, Lee Ga-sun, Takheung Woowi, Unam, Cheongryang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의 삶과 학문
이세동 ( Se Dong Lee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08] 제43권 235~267페이지(총33페이지)
홍와 이두훈은 조선말에 태어나 일제 초기에 세상을 떠난 경상도 고령 출신의 유학자이다. 당대의 거유였던 한주 이진상에게 배워 학문적 소양을 쌓아 그의 8대 제자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 그는 학문과 대내외적인 활동을 통해 당시 고령 유림의 중심인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영남에서 명망이 높던 선비였다. `心卽理`로 대표되는 한주의 학설이 이단으로 비판받을 때 스승의 학설을 고수하며 적극적으로 해명하여 유림의 지지를 받았으며, 동문들이 시류에 편승하여 스승의 문하를 떠나갈 때도 흔들림 없이 지조를 지켰다. 홍와는 모든 방면의 학술에 일정정도의 성취를 이루고 있지만 특히 예학에 뛰어나 예설과 관계된 서간문을 많이 남기고 있는데, 조리가 정연하고 명쾌하다. 400여 수의 시를 남길 만큼 문학적인 소양도 갖추었으나 輓詩나 贈答詩 등 필요에 의한 목적성의 작품들이 많...
TAG 이두훈, 이진상, 성리학, 한주학파, 예학, 발문공대, 發問貢對, 『동화세기』, 『동화세기』, 『중용』, Lee Doohun, Lee Jinsang, Sung Confucianism, the school of Hanju, Donghwasegi, Zhongyong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