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AND 간행물명 : 퇴계학과 유교문화56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계당(溪堂) 유주목(柳疇睦)의 교육활동
강문식 ( Moon Shik K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2] 제50권 161~192페이지(총32페이지)
본 논문은 19세기 학자 溪堂 柳疇睦(1813-1872)의 교육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유주목의 교육활동은 강의를 통한 교육과 問目答書를 통한 교육 등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강의를 통한 교육은 1868년에 실시된 講會의 절목인 『漢堂講會節目』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당시 강회의 교재는 『小學』으로, 여기에는 ``日用의 실천``을 학문의 궁극적 목적으로 생각한 유주목의 학문관이 반영되어 있다. 또, 「계당강회절목」에는 강회의 진행 절차와 講生들이 지켜야 할 유의사항들이 실려 있는데, 이를 보면 유주목은 지식적인 성취보다도 학문에 임하는 바른 자세, 강생 상호간의 존중과 격려, 스승에 대한 공경 등 실천의 측면을 더 중시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주목은 제자들이 질문 내용을 問目으로 정리해 보내면 그에 맞는 답변을 회신해 주었는데, 이러...
TAG 유주목, 柳疇睦, 『계당강회절목』, 『溪堂講會節目』, 『소학』, 『小學』, 문목답서, 問目答書, 서애학파, 西厓學派, Ryu Ju-mok, Gyedang gangheo jeolmok, Sohak, the replies to people`s Letters of questions, Seoae School
王世貞生平簡述及其儒道釋三敎的立場論
박균우 ( Kyun Woo Par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2] 제50권 193~212페이지(총20페이지)
王世貞은 明代중엽의 저명한 작가이자 문론가로, 李攀龍과 함께 당시 문단을 20여년 간 이끈 后七子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문학에 있어서 시문의 복고를 주창하여, 개성과 창의성을 도외시하고 모방과 표절의 폐해를 남겼다는 명가를 받기도 한다. 그의 저서의 방대함은 중국의 역대문인 중 단연 으뜸으로, 《감州山人四部考》(174권) 《續稿》(207권)는 그의 전집이며, 문학 및 예술론은 《藝苑치言》에 수록되어 있다. 본문에서는 우선 王世貞의 생애와 저술을 통해 그가 李攀龍과 달리 詩文과 經學을 동시에 중시한 면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王世貞의 문학과 사상은 유교 뿐 아니라 불교와 도교의 영향도 깊게 받고 있음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즉 그가 備、繹、道三者에 대한 認鐵문제에 있어서 유가의 훈도를 받고 자라면서 불가와 도가사상도 받아들여 삼교사상을 융합하였음을 알 수 있다...
TAG 생평사상, 生平思想, 복고, 復古, 시학, 詩學, 유도석, 儒道釋, The wang shizhen`s thinking, Restore ancient ways of Literary criticism attitude poetics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Taoism and position
장사전(蔣士銓)의 시론(詩論) 연구
신재환 ( Jae Hwan Shi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2] 제50권 213~240페이지(총28페이지)
蔣士銓은 淸代 乾隆 시기 性靈詩派 시인 중의 한 사람으로, 당시 ``乾隆三大家``로 불리며 시와 희곡 등 적지 않은 작품을 남겼다. 詩學理論 방면에서 본다면, 그는 忠孝와 節義의 몸가짐으로 일생을 보내며 論詩 성격을 띤 몇몇 시편과 序跋類의 산문 중에 자신의 개성적인 이론을 제시하였다. 먼저 시는 인간의 진솔한 性情을 표출해내는 것을 최고의 목표로 삼아야 하며, 이와 같은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만이 개성이 담긴 자신만의 시를 지을 수 있다고 역설하였다. 나아가 이렇게 표출된 진솔한 성정은 인륜 중의 忠孝와 義烈의 덕목으로 발현되어야 후세에 전해질 수 있을뿐더러 독자들에게도 깊은 감동을 줄 수 있다고 여겼다. 그는 또한 역대로 자신이 제기한 이러한 詩作 정신에 가장 충실했던 작가는 바로 盛唐 시기의 杜甫였음을 말하고, 두보 시에 대한 무한한 추숭...
TAG 장사전, 蔣士銓, 원매, 袁枚, 성정, 性情, 자아, 自我, 복고, 復古, 모의, 摹擬, 충효, 忠孝, 의열, 義烈, 두보시, 杜甫詩, 황정견시, 黃庭堅詩, 김덕영, 金德瑛
수락대구곡(水落臺九曲)과 수락대어가구곡시(水落臺漁歌九曲詩) 연구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2] 제50권 241~264페이지(총24페이지)
예천지방에 존재하는 殷山九曲과 水落臺九曲에 대한 학술조사를 실시하여 각 구곡의 위치를 고증하고 그 원림적 특정도 추출하였다. 은산구곡에 대한 구곡시는 찾을 수 없었으나 수락대구곡에 대한 구곡시는 3편이나 전하고 있었다. 영주 봉현의 池方山에서 발원한 석관천이 내성천으로 흘러들면서 결절된 승지가 바로 수락대이고 이곳을 전후로 하여 설정된 구곡이 바로 수락대구곡이다. 수락대구곡 원림을 가정 먼저 설정한 사람은 四勿齋 宋相天이었으나 본격적으로 설정하고 경영한 사람은 鶴林 權訪이다. 수락대구곡시는 송상천이 젊은 시절 권방의 은거지인 수락대를 방문하고 「水落臺九曲詩」를 지어 권방에게 보내자 권방이 이에 화답하는 「水落臺漁歌九曲詩」를 지었으며 뒤에 권방의 구곡시에 대해 石窩 權褘가 차운하여 「水落臺九曲詩」를 지었던 것이다. 권방이 설정한 수락대구곡은 제1곡이 觀魚臺, 제...
TAG 수락대구곡, 수락대어가구곡시, 수락대구곡시, 구곡원림, 구곡시, 무이도가, 무이구곡, 수라대, 은산구곡, 예천지방, Surakdaegugok, 水落臺九曲, Surakdaeeogagugok-poetry, 水落臺漁歌九曲詩, Surakdaegugok-poetry, 水落臺九曲詩, Muwidoga, 武夷櫂歌, Muwigugok, 武夷九曲, Surakdae, 水落臺, Eunsangugok, 隱山九曲, Takmulwoowi, 탁물우의, 托物寓意
『동사찬요』 『열전』에 나타난 오운의 역사인식
박인호 ( In Ho Par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2] 제50권 265~306페이지(총42페이지)
『동사찬요』는 책의 대부분이 열전으로 구성되어 었다. 「열전」 부분만을 놓고 본다면 이 책은 조선중기 이후 활발하게 편찬되기 시작하였던 인물 관련 전문 저술의 선구를 이룬다. 서술의 기본 원칙을 보여주는 범례는 8권본에는 13개조였으나 11권본에는 16개조로 바뀌었다. 범례에서 나타나는 열전의 서술원칙은 엄격한 포폄의 적용, 인물의 경중에 따른 차별화된 서술, 자료의 충실한 인용과 인용처 표기, 고려말 절의파 인사들에 대한 폭넓은 자료 수집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조선전기 「경국대전」 중심의 국가 체제 정비의 역사학적 산물이 「동국통감」이며, 이에 따라 「동국통감」은 국가 체제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제도적 전개 등을 중시하였다. 이에 반해 임진왜란 후에 나온 「동사찬요」는 편년적 기술 속에서 사라진 인간의 활동을 주목하였다. 물론 이때의 인간 활동...
TAG 오운, 『동사찬요』, 『열전』, 범례, 포폄, 춘추필법, 충절 의리, 유교적 도덕주의, 『O Un, 『Dongsachanyo』, 「yeoljeon, introductory notesk, praise and censure,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in writing the Annals, Loyalty Contucian moralism
立法以垂敎 -儒敎重建之文化向路的思考
장굉빈 ( Hung Bin Zh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2] 제50권 307~324페이지(총18페이지)
본 논문은 당대(當代) 중국에서 유교의 가치정립에 중점을 두고, 오늘날 사회에서 합리적 생장점을 찾음으로써 유교의 방법을 새로 세우는 데 유익함에 이르게 되기를 바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관심을 원시유교의 진실한 역사적 면모에 두고, "정치는 하나에서 나온다 (治出於日)"는 정치신앙 공동체의 사회형태를 보여주고 그것의 진정한 가치와 지위 및 작용을 나타내며, 유교가 "物事兩非"의 상황 아래에서 어떻게 시대와 적응할 수 있고, 또한 어떻게 이론적 근거 및 적합한 근접점을 발휘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TAG 입법이수교, 立法以垂敎, 역사정위, 歷史定位, 유교발전, 儒敎發展, 문화주체, 文化主體, Setting pricnples to cultivate, historical Location, Confucianism development, cultural subject
이제현(李齊賢), 권한공(權漢功) 그리고 주덕윤(朱德潤) -고려후기(高麗後期) 성리학(性理學) 수용기(受容期)의 인물에 대한 새로운 이해-
장동익 ( Dong Ik Ch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1] 제49권 1~44페이지(총44페이지)
본 논문은 당대(當代) 중국에서 유교의 가치정립에 중점을 두고, 오늘날 사회에서 합리적 생장점을 찾음으로써 유교의 방법을 새로 세우는 데 유익함에 이르게 되기를 바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관심을 원시유교의 진실한 역사적 면모에 두고, "정치는 하나에서 나온다 (治出於日)"는 정치신앙 공동체의 사회형태를 보여주고 그것의 진정한 가치와 지위 및 작용을 나타내며, 유교가 "物事兩非"의 상황 아래에서 어떻게 시대와 적응할 수 있고, 또한 어떻게 이론적 근거 및 적합한 근접점을 발휘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TAG 원제국, 元帝國, 고려, 高麗, 충선왕, 忠宣王, 이제현, 李齊賢, 권한공, 權漢功, 조맹부, 趙孟부, 주덕윤, 朱德潤, 묵적, 墨蹟, 성리학, 性理學, 라진옥, 羅振玉, Yuan, Koryo, Chungsunwang, Lee Jhe-hyun, Kwon Han-gong, Chao Meng-fu, Chu Teh-jun, calligraphy, Neo-Confucianism, Lo Chen-yu
증점(曾點)과 조선시대(朝鮮時代) 유학자(儒學者)들
임종진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1] 제49권 45~72페이지(총28페이지)
본 논문은 당대(當代) 중국에서 유교의 가치정립에 중점을 두고, 오늘날 사회에서 합리적 생장점을 찾음으로써 유교의 방법을 새로 세우는 데 유익함에 이르게 되기를 바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관심을 원시유교의 진실한 역사적 면모에 두고, "정치는 하나에서 나온다 (治出於日)"는 정치신앙 공동체의 사회형태를 보여주고 그것의 진정한 가치와 지위 및 작용을 나타내며, 유교가 "物事兩非"의 상황 아래에서 어떻게 시대와 적응할 수 있고, 또한 어떻게 이론적 근거 및 적합한 근접점을 발휘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TAG 증점, 曾點, 주자, 朱子, 왕양명, 王陽明, 조선유학자, 朝鮮儒學者, 『논어』 「선진」편 <욕기장>, 『論語』 「先進」篇 <浴沂章>, ,
고종기를 통해 본 퇴계의 인격
박균섭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1] 제49권 73~98페이지(총26페이지)
본 논문은 당대(當代) 중국에서 유교의 가치정립에 중점을 두고, 오늘날 사회에서 합리적 생장점을 찾음으로써 유교의 방법을 새로 세우는 데 유익함에 이르게 되기를 바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관심을 원시유교의 진실한 역사적 면모에 두고, "정치는 하나에서 나온다 (治出於日)"는 정치신앙 공동체의 사회형태를 보여주고 그것의 진정한 가치와 지위 및 작용을 나타내며, 유교가 "物事兩非"의 상황 아래에서 어떻게 시대와 적응할 수 있고, 또한 어떻게 이론적 근거 및 적합한 근접점을 발휘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TAG 고종기, 매화, 겸괘, 성학십도, 경재잠, 숙흥야매잠, 考終記, 梅花, 謙卦, 聖學十圖, 敬齋箴, 夙興夜寐箴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정치사회적 위상과 현실대응
우인수 ( In Soo Wo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1] 제49권 99~136페이지(총38페이지)
본 논문은 당대(當代) 중국에서 유교의 가치정립에 중점을 두고, 오늘날 사회에서 합리적 생장점을 찾음으로써 유교의 방법을 새로 세우는 데 유익함에 이르게 되기를 바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관심을 원시유교의 진실한 역사적 면모에 두고, "정치는 하나에서 나온다 (治出於日)"는 정치신앙 공동체의 사회형태를 보여주고 그것의 진정한 가치와 지위 및 작용을 나타내며, 유교가 "物事兩非"의 상황 아래에서 어떻게 시대와 적응할 수 있고, 또한 어떻게 이론적 근거 및 적합한 근접점을 발휘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TAG 정경세, 퇴계학파, 영남, 상주, 남인, 영남 남인, Jeong Kyung-se, Teogye Doctrinal Faction, Youngnam district, Sangju, Nam-in, Southern faction, Youngnam Nam-in, Southern fac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