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등학생에 의한 야에야마(八重山) 예능의 실천
고야준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253~278페이지(총26페이지)
본 발표에서는 야에야마 고교생에 의한 무대예능의 전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1960년대 이후 전통예능이 클럽활동이라는 학교교육의 기반 속에서 확립 되어 실천활동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향토예능부에서 활동하는 학생들이 야에야마의 노래나 춤뿐만 아니라 예능을 통해 야에야마 사람들의 정신문화를 학습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학습의 성과는 「15분간」의 무대예능으로 구성되어 야에야마 향토예능부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전개, 발전 되었다. 게다가 이러한 무대예능은 오키나와 본도의 고교생들에게도 영향을 주어 각각의 지역에서 육성되어 온 예능을 이용한 무대예능 창작이 시도되고 있다. 야에야마 3개교의 향토예능부에 의한 무대예능의 실천은 오키나와현 학교 교육에서 전통예능의 새로운 대처법과 방향성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 교육에서의 전통과 문화 -현황과 공예-
이토나오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281~332페이지(총52페이지)
2006년 12월 22일 59년 만에 문부과학성에 의해 교육 기본법이 개정되었다. 그 이념으로 내세운 것은 「살아가는 힘」이고, 「확실한 학력」, 「풍부한 마음」, 「건강한 몸」 등 이 세 가지의 조화가 그 「살아가는 힘」 을 지원하는 것으로 중요시되고 공공 정신, 전통과 문화의 존중을 근거로 새롭게 「전통과 문화」에 대한 교육으로 도덕 교육, 체험 활동이 더해졌다. 「교육의 목표」로는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고 그들을 길러 온 우리나라와 향토를 사랑하는 동시에 다른 나라를 존중하고 국제 사회의 평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르기 (평생 학습이념)」 가 명기되었다. 즉 일본의 학교 교육에 「전통과 문화」의 도입 필요성이 인식 된 것이다. 「전통과 문화」의 학교 교육은 『신 학습지도 요령』에 따라서, 유치원이 2009년, 초등학교는 2011년, ...
TAG 일본공예, 전통, 문화, 학교교육, 히로시마
민속예능의 "일상화"와 문화재 지정, 학교교육으로의 도입에 관한 연구 -아키타현 센보쿠지방(秋田顯仙北地方) 가쿠노다테(角館) 마쓰리의 오야마바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나카자토료헤이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335~390페이지(총56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민속예능의 전승과 학교교육 그리고 문화재 지정에 관해서 고찰하고, 여기에 ``일상화``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시점을 개척해 나갈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례로는 아키타현 센보쿠시 가쿠노다테지역에서 매년 9월 7, 8, 9일에 행해지는 신명궁과 약사당의 제례인 「가쿠노다테 마쓰리」에서 연주되는「오야마바야시」를 중심으로 한다. 다시(山車) 위에서 연주되는「오야마바야시」는「가쿠노다테 마쓰리」의 제례에서 빼놓을 수 없는 민속예능이다. 한편 현재에는 일본 민속예능의 하나로 국가에서 문화재로 지정하였으며 고등학교에서는 클럽활동의 일환으로 배우기도 한다. 「오야마바야시」는 원래 농촌에서 오락으로 성립되었고 제례를 활기차게 하는 역할로 정착된 것이다. 먼저「오야마바야시」의 제례에서의 역할 변천을 살펴보고, 그것이 국가와 행정에서 문화재로...
TAG 민속예능, 일상화, 고정화, 오야마바야시, 가쿠노다테 마쓰리
몽골 전통예술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중고교 전통예술 교육을 중심으로-
( B. Norovnya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393~408페이지(총16페이지)
이 글은 몽골 전통예술 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그 성과와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구체적으로는 중, 고교에서의 전통예술 교육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몽골의 국내외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 전통예술교육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몽골은 1911년 중국에서 독립한 후,1921년 이루어진 인민혁명을 통해 정치적인 변혁을 겪었다. 몽골 정부는 문화, 예술 분야를 통해 사회주의 체재를 공고히 하고자 했다. 따라서 국외의 사회주의 국가와의 교류를 통해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지속적으로 지원했다. 그러나 몽골은 1990년 이후 또 한 번의 정치적인 변화를 겪었다. 즉, 몽골은약 70년간의 사회주의 체재를 뒤로한 채, 민주주의 체재를 받아들였다. 따라서 사회주의체재 아래에서 이루어지던 국가주도의 적극적...
TAG 몽골, 전통예술, 교육, 현황과 문제점, Mongolia, Traditional art education, Secondary school, Communist revolution, Democratic society
《훈민정음》 "용자례(用字例)"를 활용한 어휘 교육 방안 모색 -고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부연 ( Bu Yeo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3권 7~36페이지(총30페이지)
본고는 해례본 《훈민정음》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 가운데 하나로써 ``용자례``의 내용 용소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래례본《훈민정음》의 교육 내용을 개략적으로 검토한 후 ``용자례``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용자례``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내용 요소를 통시적 측면으로는 ``어형``과 ``의미``의 변화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어형``의 변화로는 음운의 변화, 조어법에 의한 변화, 그리고 어형의 소멸에 해당하는 어휘를 살피고, ``의미``의 변화로는 의미 축소, 분화에 해당하는 어휘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훈민정음`` 창제 당시 공시적 언어 모습을 여실히 엿볼 수 있는 모음조화의 특성을 다루었다. 이를 ...
TAG 해례본 훈민정음, 용자례, 국어 교육, 어휘 교육, 탐구 활동, Haeryebon Hunminjeongum, Examples on the Use of Letters, Korean Language, vocabulary education, Inquiry activity
문법 평가에서 문법 지식의 위상 재고
박보현 ( Bo Hyun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3권 37~55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문법 평가가 문법 지식을 평가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보거나 우려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에 대항 의문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 교육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문법 지식을 평가하는 것은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문법 지식 평가에 대한 오해의 이유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문법 지식에 대한 오해의 측면이고, 둘째는 문법 평가에서 문법 능력과 문법 지식의 관계에 대한 이해 부족의 측면이다. Ⅱ장에서는 문법 지식에 대한 오해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문법 지식에 대한 오해는 결국 지식과 지식 교육 자체에 대한 오해와 경계 그리고 ``문법지식``과 ``문법 정보``의 혼동에서 유래했다. 이 때문에 문법 지식도 명제적 지식에 국한된 단순 암기의 대상이나 내용으로 취급되었고 이것...
TAG 문법 교육, 지식 교육, 문법 평가, 문법 지식, 문법 능력, Grammar Education, Knowledge Education, Assessing Grammar, Grammatical Knowledge, Grammatical Ability
국어과 평가 전문가의 문항 개발 전문성 탐색 -국어과 문항 개발 협의 과정을 중심으로-
박준용 ( Jun Yong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3권 57~89페이지(총33페이지)
많은 교사들은 학생 평가에 대한 실제적인 연수나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평가 상황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현장 직무에 임해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관계로 여러 문헌에서는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하여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 제고의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고,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강좌나 연수 과정 개설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질 높은 문항을 제공함으로써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유도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종 연수 자료들을 접하는 교사들은 전무성 신장에 대한 실제적인 자극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도울 수 있는 학술적인 논의도 활발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국어과 평가 전문가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문항을 개발하는가? 둘째...
TAG 국어 교사, 평가, 평가 전문성, 문항 개발, 현의 장면, Korean Language teacher, evaluation, professionalism of the evaluation, questions development, discussion scenes
자기치유 중심의 시조창작교육의 가능성 모색
박태진 ( Tae Jin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3권 91~121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자기치유 중심의 시조창작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먼저, 문학교육에서 자기의 개념이 필요하고 시조창작에서 자기치유의 속성이 나타남을 검토했다. 이후 자기치유능력의 형성 및 신장에 적합한 시조창작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탐색했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성남 S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치유 중심의 시조창작교육을 실천하고 그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이 결과 잠정적이지만, 자기치유 중심의 시조창작교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의의는 먼저, 일상에서 심리적 상처를 입게 될 경우, 시조창작을 통한 자기치유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시조 창작에 치유성이 나타남을 알고, 시조창작을 통해 자기치유의 체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시조창작을 통한 자기치유를 생활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고는 시론적 ...
TAG 자기, 자기치유, 자기치유기제, 자기치유능력, 시조창작교육, self, self-healing, mechanism of self-healing, capability of self-healing, education of Shi-jo 시조, 時調`s creative writing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명의 외래어 사용 실태 연구
양세희 ( Se Hui Ya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3권 123~146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는 자기치유 중심의 시조창작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먼저, 문학교육에서 자기의 개념이 필요하고 시조창작에서 자기치유의 속성이 나타남을 검토했다. 이후 자기치유능력의 형성 및 신장에 적합한 시조창작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탐색했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성남 S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치유 중심의 시조창작교육을 실천하고 그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이 결과 잠정적이지만, 자기치유 중심의 시조창작교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의의는 먼저, 일상에서 심리적 상처를 입게 될 경우, 시조창작을 통한 자기치유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시조 창작에 치유성이 나타남을 알고, 시조창작을 통해 자기치유의 체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시조창작을 통한 자기치유를 생활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고는 시론적 ...
TAG 외래어, 텔레비전 방송, 텔레비전 프로그램명, TV, 어종, Loan words, television broadcast, the titles of television programs, TV, the Langrage type
문학 작품에 담긴 두곡(杜谷) 고응척(高應陟)의 공부론 -도문학과 존덕성 공부를 중심으로-
은필관 ( Pkll Kwan Eu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3권 147~179페이지(총33페이지)
두곡 고응척의 공부론은 주자학적 수양론을 바탕으로 한다. 이는 경서를 중심으로 한 도문학 공부와 본연지성의 회복을 위한 존덕성 공부로 나뉜다. 이때 경서 『대학』은 공부론 체계의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두곡의 공부론은 그의 시문학 작품에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드러나게 된다. 두곡의 도문학 공부론은 『대학』을 필두로 한 四書 중심의 독서가 중심이었다. 그는 엄격한 교재의 선택과 독서를 통한 豁然貫通의 공부방법론을 보여준다. 또한 반복적 독서를 통한 의미의 완상으로 自得의 중요성을 설파하였다. 도문학과 함께 그의 공부론의 한 축인 존덕성 공부는 선천적으로 자신에게 내재한 본연지성의 회복을 목적으로 한다. 두곡은 대표적으로 근독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존양부>, <근독부>, <태부>는 공통적으로 『대학』의 세계관을 내포하며 존덕성 공부가 개인적...
TAG 두곡 고응척, 공부론, 존덕성, 도문학, 대학, 시조, Doogok Ko Eung-cheok, Honoring the moral nature, Following the path of study and inquiry, Daehak, theory of studying, sijo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