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전문학교육의 한 사례와 자성적 제언 -최치원의 <추야우중(秋夜雨中)>,<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을 중심으로-
하윤섭 ( Yun Seop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5권 95~118페이지(총24페이지)
바람직한 문학교육의 기본은 좋은 문학작품을 선정하여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언어로 번역한 후 그들의 유의미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감상의 가교를 놓아주는 일일 터다. 더구나 언어의 문제에서부터 작품이 산출된 역사적 지반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지금과는 상이한 배경을 갖고 있는 고전문학의 경우 이러한 작업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치원의 <추야우중>과 <제가야산독서당>을 일례로 하여, 문학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에서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들이 어떻게 소개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이에 대한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삶의 국면들마다 이상과 현실 사이의 끊임없는 괴리를 당면하게 된다. 더구나 남들보다 빼어난 능력 덕에 이상에의 도달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경우 바로 그 가능성의 크기만큼 현실과의 거리는 멀어지게 마련이다. 오늘 우리가 살펴본 ...
TAG 문학교육, 최치원, <추야우중>, <제가야산독서당>, 위인, 궁핍한 현실,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Choi Chi-won, The Great Men in History, Poor Realities, <秋夜雨中>, <題伽倻山讀書堂>
"섬진강"의 시적 형상화 연구 -고은과 김용택을 중심으로
송미진 ( Mi Jin S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5권 1~22페이지(총22페이지)
``섬진강``은 현대 문학의 많은 작품들에서 중요한 시적 공간으로 설정되고 있다. 최근까지도 여러 시인들의 시에 빈번하게 등장하면서 의미 있는 공간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섬진강에 대한 특별한 인식에 주목하게 된다. 섬진강은 우리 민중들과 함께 꾸준히 명맥을 이어온 역사적인 하천이다.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은 물리적 특징과 함께 시인 주체에 의해 경험되고 구현된 세계가 함께 작용하므로, 섬진강을 단순한 자연물 또는 지리적 배경으로만 볼 수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작품 속 상징적 공간인 ``섬진강``이 시적 주체에게 수용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 특정공간의 문학적 성격과 시적 의미를 규명하고 나아가 시인의 시세계를 함께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문학적 공간에서 섬진강이라는 지명과 그 기표를 시적 공간으로 환기시킨 대표적인 시인 고은을 그...
TAG 섬진강, 고은, 김용택, 시적 형상화, 시적 공간, Seomjin River, Ko Eun, Kim Yong taek, poetic imagery, poetic space
초등 문법 교육의 연구 방법 고찰
이영호 ( Young Ho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5권 119~143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초등 문법 교육 관련 연구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또 그 연구 방법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학술지에 수록된 초등 문법 교육 연구물 총 75편을 선정하여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상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가 31편(38.75%),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29편(36.25%)으로 많았고 이어 ``목표 및 방향``에 대한 논의가 11편(13.75%)로 뒤를 이었으며, ``평가`` 관련 연구는 2편으로 가장 적었다. 초등 문법 교육 연구의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가 66편(88%)으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양적·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경우는 9편(12%)에 불과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초등 문법 교육 연구를 재인식하고,...
TAG 문법 교육, 초등학생, 연구 경향, 연구 방법, 일차적 연구, Grammar Education, Elementary Students, Research Trends, Research Methods, Primary Research Methods
전문(全文)읽기를 통한 과정중심의 소설교육 -「삼포 가는 길」의 교과서와 수업 분석을 중심으로
정원술 ( Won Sool J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5권 23~54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줄거리를 중심으로 하는 현행 결과중심 소설교육의 문제를 지적하고 대안으로 ``전문읽기``를 통한 ``과정중심``의 소설교육을 제안한다. 이것은 교과서 제도 변화와 함께 준비해야 할 문학교육의 과제이다. 현실의 교육은 교과서 지면에 제한된다. 황석영의「삼포 가는 길」을 분석하면 각각 다른 학습목표에도 불구하고 모든 교과서가 결말만 부분 인용하고 학습활동이 사회적 의미로만 귀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읽기와 학습의 ``과정``은 생략된 채 ``결과``적 지식만 강조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의 원인에는 거시적인 문학연구의 추상성이 있다. ``민중문학``은 이 소설의 주된 담론으로 그 자체의 이론적 수정을 거쳐 보여주기 기법에 리얼리즘적 의의가 있음을 밝혔는데, 아직 문학교육에 적용하지 못했다. 한편, ``여로소설``은 이 소설의 보편적인 문학성을...
TAG 전문읽기, 과정중심, 소설교육, 황석영, 「삼포 가는 길」, 민중문학, 여로소설, 풍경묘사, 몰입독서, 모둠퀴즈, Reading Full Text, Process-based, Novel Education, Hwang Sok-yong, The Road to Sampo, The People Literature, Journey Novel, Description of Landscape, Reading Engagement, Group Quiz, 全文
중국 중고등학교 희곡교육의 현황과 전망
주항부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1~38페이지(총38페이지)
중국의 희곡교육은 세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술학교의 전문교육, 일반 학교의 동아리 활동을 통한 교육 그리고 일반 학교의 수업을 통한 교육이 그 것이다. 첫 번째 방식의 교육취지는 편극·연기·작곡·악기연주·감독·무대미술 등에 종사하는 전문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중국희곡학원(전문대)과 각 성시의 희극학교 또는 예술학교에서 두고 있는 많은 전공은 바로 이런 유형의 교육에 속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방식의 교육은 소양교육으로서 박아(博雅)교육이라 고도 한다. 전통극 희곡에 대한 인지와 실천을 통하여 학생들의 문화예술적 소양을 제고시키고, 비교적 완미한 인격과 건강한 심리를 형성하는 데 그 취지를 두고 있다. 중국 정부는 ‘경극을 교실로’라는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예술교육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 자신들의 실정에 맞는 대책을 세우고 현지의 지방희 자...
TAG 소양교육, 예술교과과정, 희곡, 경극, 희곡교육, 희가, 戱歌, 교육, 희곡강좌, 희곡고사
중국 중,고등학교 현대 화극교육의 현황과 전망
진경송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39~106페이지(총68페이지)
중국 화극은 사회변혁의 필요에 따라 탄생한, 그야말로 서양에서 온 수입품이다. 1928년 연출가 홍선洪深이 이를 화극이라 부르자고 제의함으로써, 이 새로운 예술 형식에 대한 수많은 이름을 통일시켰다. 아울러 중국의 전통극인 희곡戱曲과 구분지어 독립된 예술 품격과 참신한 자태로 중국 예술계에 우뚝 서도록 했다. 21세기에 접어들어 세계화가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외국의 선진적인 교육 이념이 유입되면서, 중국의 중등 교육은 날로 현대 화극교육의 중요성과 시급함을 인식했다. 그러나 입시교육 위주의 현실은 현대 화극교육으로 하여금 실천과정 중에서 두 가지 곤경에 빠져들게 했다. 본 논문은 중국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현대 화극 작품의 수록에서 출발해 상하이上海 소재의 중고등학교를 방문해서 얻은 1차 자료를 통해 중국 중고등학교 교육의 관점에서 현대 화극 교육의 현황...
TAG 화극교육, 현황, 전망
중국 초중고 연극교육의 현황과 전망
왕사운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107~126페이지(총20페이지)
연극은 문학·음악·조형·미술 등 각종 예술을 한데 모은 종합예술이다. 연극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극의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사람’과 ‘연극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또한 ‘관중’과 ‘연기자’는 동일 인물이 되는 것이 연극의 이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관중과 연기자가 일 치하게 되는 이 이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장 기초적이고 보급화 된 초중고 연극교육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중국대륙의 연극교육이 지역별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연극교육을 포함한 초중고 교육의 미래에 대해서도 전망해보았다. 특히, 초중고 단계에서 연극교육을 시행하는 것은 지식의 전수나 능력의 배양 어느 분야에서건 매우 필요하다. 중국의 전통적인 연극을 통하여 민족통일성을 배양하는 것, 또 자신 만의...
TAG 중국, 연극교육, 현황, 전망, 지역, 교와 육
대만 중,고교 희곡 교육의 현황과 전망
채흔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129~198페이지(총70페이지)
현재 대만 중고등학교의 전통희곡예술 교육은 교육부가 1993년부터 초등학교 교육과정, 1994년부터는 중학교 교과 과정에 ‘지역 교육 활동’을 추가한 조치와 관련이 깊다. 대만은 1997년부터 ‘초·중교 9년 일관 교과 과정’을 추진하기 시작하면서 ‘7대 학습 영역’을 세웠고, ‘예술과 인문’ 학습 영역에서는 ‘공연예술’ 교과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공연예술’과 ‘음악’ 교과서에서 모두 전통희곡에 관한 지식을 소개하고 있거나 전통희곡음악을 학습하고 연습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 고등학교는 2004년부터 필수 교과과정으로 ‘예술 생활’이 지정됐는데, ‘공연예술’은 그 중 하나의 선택 과목이다. 2008년에는 교육부가 초·중교 9년의 일관된 교과 과정과 대학 기초 교육 과정을 연결하도록 지시했는데, 이 때문에 ‘국어’ 교과서에 명대 장대의 ≪도암목억...
TAG 전문예술교육, 일반예술교육, 사회예술교육, 희곡예술교육, 공연예술, 교학연구, 예술교육정책
일본의 학교에서의 연극교육 현상에 대하여
구마가이야스히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199~214페이지(총16페이지)
이 글에서는 현대 일본 학교에서의 연극교육 전개에 관해 대략적으로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고찰했다. 일본에서의 연극교육 및 연극교육 운동은 충실한 역사적인 축적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일본 근대사에서 몇 번, 연극교육 활동 또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될 가능성은 있었지만, 일본의 국가적인 교육과정에서 「연극」이라는 교과·과목이 존재한 적은 없었고, 현재도 없다. 현재의 일본 공교육에서 연극수업을 실시하려면, 다음의 몇 가지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즉, 학교설정이라는 계획에 따라서 적합한 과목을 설치하거나, 또은 「총합적 학습 시간」이라는 구조에 어울리는 내용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두 가지는 모두 지극히 제한적인 전개 방법이다. 문부과학성의 주도로 2010년부터 시작된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학교에서의 연극교육의 전개를 큰 폭으로 확장하는 것이...
TAG 일본연극교육, 일본연극교육운동, 연극교과교육, 커뮤니케이션교육, 총합적학습시간
일본 중고 고전 연극 교육의 현황과 전망 -일본무용 교육에 대해서-
마루모미에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3] 제14권 215~250페이지(총36페이지)
일본의 고전 연극 중의 하나인 가부키(歌舞伎, Kabuki)는 “梨園”[Rien, 이원]이라는 특별한 사회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부키 작품은 義太夫狂言[Gidayu Kyougen]?純歌舞伎[Jyun Kabuki]?所作事[Syousagoto](가부키 무용)의 세 종류로 나뉜다. 에도 시대부터 마을에는 가부키 무용교습소가 있었다. 요즘에는 ‘일본무용(Nihon buyo)‘이라는 분야에서 존속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까지 일본 무용은 학교 교육에 공식적으로 도입된 적은 없다. 본고에서는 일본 무용 교육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방식 전국 조사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 전국 조사는 일본에서 처음 시도되어, 4년간 실시했으며, 4권의 보고서로 발행되었다. 분석 결과, 지도하는 목적은 「일본 전통 문화의 체험 및 학...
TAG 일본무용, 일본무용교육, 방악, 학습지도요령, NANA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