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읽기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국내외 2005년부터 2이0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이순영 ( Soon Young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10권 311~340페이지(총30페이지)
이 논문은 국내외 읽기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안한 연구이다. 국내외 읽기 분야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독서학회의『독서연구』와 국제독서학회의 「Reading Research Quarterly(RRQ)』에 수록된 3이편의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읽기 연구 동향에 대한 전문가 설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대 연구 결과, 국내와 국외의 읽기 연구는 l) 학술지 논문의 연구 주제와 2) 연구자가 인식한 연구 동향 측면에서 모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지난 6년간 한국독서학회에서 발간한『독서연구』에는 읽기 이론과 개남을 다룬 안구들이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문학 텍스트를 분석한 문학Z서사 읽기 연구나 읽기 교수법 관련 연구가 활발했다. 반면 국제독서학회의 RRQ에는 문식성 실행...
TAG 읽기 연구, 국내 읽기 연구 동향, 국외 읽기 연구 동향, 읽기 연구자 쟁점 설문 trends in reading research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trends in reacting research, IRA survey of reading professionals
중국 내 학원에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실태 분석
교우박 ( Yu Bo Qia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5~26페이지(총22페이지)
1992년 중·한 수교 이후, 한국 드라마의 유입과 한류 열풍으로 중국 각지에서 한국어 학원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한국어 학원 교육은 대학교의 한국어정규교육에 비해 그 수가 많고 분포지역이 넓으며 학습자가 다양하고 학습동기도 다양해, 전국의 한국어학원 학습자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는 어렵다. 이 때문에. 본고에서는 중국 한 도시의 한국어학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무작위 설문조사를 했다. 설문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은 학습자의 개인정보이다. 이 부분을 통해 학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성별, 나이, 직업 및 수업 이외의 한국어 학습시간 등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두 번째 부분은 학습동기 유형이다. Gardner & Lam bert는 사회언어학적인 시각에서 학습동기를 통합적인 동기(integrative m...
TAG 중국, 학원, 한국어, China, Institute, Korean
"읽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소설 교육 연구 -김안수 「다시 한달을 가서 설산을 넘으면」과 한 강 『바람이 분다, 가라』를 대상으로-
나정연 ( Jeong Yeon N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27~48페이지(총22페이지)
이 논문은 두 작품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김연수의 「다시 한달을 가서 설산을 넘으면」과 한 강의 『바람이 분다, 가라』는 ``읽기와 쓰기``가 전면에 드러나 있다. 두 작품의 인물들은 모두 친구의 죽음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으로 책을 읽고 글을 쓴다. 하지만 이들 작품에 나타난 ``읽기와 쓰기``는 단순히 친구의 죽음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세상과 타자에 대한 이해의 과정이라고 확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소설에 나타난 사건들은 단지 한 장면에만 국한되어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삶의 전체적인 장면으로 확장하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시 한달을 가서 설산을 넘으면」과 『바람이 분다, 가라』에 나타난 ``읽기와 쓰기``를 ``인간 삶과 타자에 대한 이해의 과정``으로 학습자들에게 가르친다면, ``...
TAG 문학 교육, 읽기, 쓰기, 문체, 이해, Literature education, Reading, Writing, Literary style, Understanding
문법 교과서의 예문 제시 방식에 대한 연구
박보현 ( Bo Hyun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49~76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문법 교과서의 본문에서 예문을 어떠한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는지에 대해 7차 고등학교 심화·선택 과목 「문법」교과서와 2007년 개정 중학교 인정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초점화를 위해서 ``예문``의 범위는 ``본문에 등장하는 예문으로써 언어 단위가 문장 이상인 예문``으로 한정하였고 그림이나 도표와 같은 순수 비언어 자료는 제외하였다. 2장에서 설정한 예문 분류 기준은 ``문법 단위``, ``예문 완성도``, ``통합성``의 세 가지이다. 먼저 문법 단위는 그 자체가 문법 교육의 대상인 동시에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예문의 첫 번째 분류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예문의 유형은 문장 중심 예문과 담화 중심 예문으로 분류 된다. 두 번째 분류 기준인 예문 완성...
TAG 문법 교과서, 예문 제시 방식, 문법 단위, 예문 완성도, 통합성, Korean grammar textbook, presentation methods of example sentences, Language unit, example sentences` degree of completion, degree of integration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과 문학 활용
신윤경 ( Yoon Kyeong Sh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77~100페이지(총24페이지)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학의 활용 중 하나로서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의 활용이 있다. 문학은 그만큼 문화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언어자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화교육 내용 요소 중에서 ``가치 문화``가 가지는 의의를 문학과 연결해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가치 문화``는 문화 내용 중에서 가장 핵심적이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문학``의 여러 활용 내용 중에서도 ``가치관``이라는 핵심적인 요소가 가장 많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물론,``가치 문화``를 제외한 다른 문화 요소들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 적절성과 효율성에 있어서 크게 떨어진다. 또한,``가치 문화``와 ``문학``이 가지고 있는 연결고리 중에서 ``구체성``과 ``공감대 형성``이라는 부분의 일치성이 중요하다. ``가치 문화``가 가지는 추상적인 비가...
TAG 문학 활용, 문화 교육, 정신, 관념문화, 가치 문화, Culture education, Literature text, Moral cultist, Value oriented culture
옛말 문법교육을 통한 고려가요 <동동(動動)>의 효과적 이해 방안 모색
양세희 ( Se Hui Ya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101~127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옛말 문법교육을 통해 고려가요 <동동>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시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화자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화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옛말 문법 지식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어구의 의미를 단순하게 설명하는 데 문법 지식이 사용되었고. 훈고주석을 경계하여 문법 지식 없이 작품을 이해해 왔다. 그래서 이 연구는 옛말 문법교육을 통해 작품의 화자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작품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교육방법으로서 인지주의 이론가들의 연구를 확장시켜 만들어진 CVD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AG 고려가요, 동동, 중세국어, 문법교육, CVD 프로그램, Koryeogayo, Dongdong,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grammar, CVD Program
문장 부호에 대한 전문가 인식 실태 조사
이관규 ( Kwan Kyu Lee ) , 신호철 ( Ho Cheol Sh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128~157페이지(총30페이지)
연구자는 문장 부호 규정에 대한 개정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문장 부호 규정의 인지도 및 수용도, 문장 부호 규정의 필요성, 문장 부호 규정에 대한 만족도, 문장 부호 규정 개정을 통한 국민의 국어사용 변화 정도를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장 부호의 필요성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91.6%가 찬성하고 있으나 그 만족도는 38.6%밖에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전문가들도 문장 부호를 인지는 잘 하고 있지만(81.2%), 그 규정을 직접 확인해 보지 않은 응답자가 무려 47.4%에 이르고, 28.7%는 문장 부호의 용법을 제대로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사용 변화 양상에 따라서 현행 문장 부호 규정이 바뀌어야 한다는 응답이 70.0%나 되고 있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문장 부호 규정의 변화는 비...
TAG 구두점, 문장 부호, 문장 부호 규정, punctuation, punctuation marks, norms of punctuation marks
"표준 발음법"의 구성 체계 검토 -[붙임]과 "다만"을 중심으로-
이규범 ( Kyu Bum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158~190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는 어문 규범인 ``표준 발음법(문교부 고시 제88-2호, ``표준어 규정`` 제2부)``에서 사용되는 말머리인 [붙임]과 ``다만``의 성격을 살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표준 발음법``의 [붙임]과 ``다만``을 재구성 하였다. 본격적인 검토와 수정에 앞서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붙임]과 ``다만``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자 1933년 ``한글 마춤법 통일안``과 이를 수정한 1948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통하여 이들 사용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북한 규정에서의 쓰임을 알아보기 위하여 1987년 공포된 「조선어규범집」의 ``문화어 발음법``에서의 쓰임 양상을 분석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어문 규범 일러두기의 언급,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를 살펴보았다. 일련의 검토와 확인 작업을 바탕으로 확인한 남한의...
TAG 표준 발음법, 붙임, 다만,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supplement, exceptive clause
확장된 시공간, 공감의 깊이 -화답시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
임순영 ( Soon Young L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191~218페이지(총28페이지)
이 논문은 김춘수와 김종삼이 주고받은 화답시를 중심으로 화답시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답시는 오고 간 시편들을 각각 읽는 것보다 하나의 맥락 속어서 함께 읽을 때 더욱 효과적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김춘수와 김종삼의 시 세계를 요약하면서 화답시가 쓰인 맥락을 알아보고 두 사람의 화답시가 타인과의 공감을 바탕으로 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화답시는 읽는 사람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시의 독백적 성격을 뛰어넘어 타인과의 공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대회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 또 화답시는 그 시편과 관련된 일화나 사연이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고 구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읽어야 하기 때문에 서사적 상상력을 자극할 수도 있다. 화답시는 대화적 상상력, 서사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좋은 교육적 자료가 된다. 또 ``세자르 프랑크의 별``이라는 상대방의 시적...
TAG 화답시, 김종삼, 김춘수, 문학교육, 공감, Responding poetry, Kim Jong Sam, Kim Choon Soo, Literary education, Empathy
반복 읽기에서의 독자반응 양상 연구 -고등학생 독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은섭 ( Eun Seob Ja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219~24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독자들의 서로 다른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 요인들이 한번 읽기와 반복 읽기(repeated reading)에서 어떤 다양한 반응들을 보여주는지 질적인 사례연구(case study)의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리가 독서를``글로부터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나아가 그 목표 또한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삼는다면, 이때 독자는 반복 읽기를 통해 스키마를 활성하고 텍스트에 제시 되어 있는 정보를 구조화하면서 개념들을 조직, 문맥에 맞게 변형, 텍스트의 정교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반복 읽기는 텍스트의 이해와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읽기 전략인 것이다. 덧붙여 읽기가 단순하게 글자를 해독하는 과정이 아니라 독자와 텍스트, 읽기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이루어지는 의미 구성 과정이라는 ...
TAG 반복 읽기, 독자 반응, 읽기 전략, 텍스트 읽기, repeated reading, reader response, reading strategy, text reading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