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38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김대중의 민족주의와 세계주의
김동노 ( Kim¸ Dong-n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20] 제12권 제2호, 103~140페이지(총38페이지)
이 글은 김대중의 민족주의와 세계주의를 통해 사상가로서 그의 모습을 새롭게 밝히려 한다. 그런 의도에서 이 글은 김대중의 민족주의는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어떻게 민족주의를 넘어 세계주의로 나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대립적 관계에 있는 민족주의와 세계주의는 어떻게 통합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기본적으로 김대중의 사상은 보편적 가치를 추구한다. 따라서 김대중의 사상체계 속에서 민족주의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민족주의는 모든 개인이 아니라 ‘우리’ 민족이라는 한정된 범주를 설정하기 때문이다. 이는 김대중의 보편주의 속에 나타난 특수주의의 요소이다. 그러나 그의 민족주의에서 ‘우리’라는 본원주의의 특징이 강조되는 것은 민족 내부의 단결에 국한되며 북한과의 통일을 언급할 때 가장 그러하다. 그의 민족주의에는 다른 민족에 대한 배타성이 없기 때문에 열린 민족주...
TAG 김대중, 민족주의, 세계주의, 보편성, 실용성, 민주주의, 시장경제, Kim Dae-Jung, Nationalism, Globalism, Universal Values, Democracy, Market Economy, Practicality
냉전기 한 자유주의자의 ‘저항’ 담론 형성과 분단 사유 : 김재준의 경우
고지수 ( Koh¸ Ji-so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20] 제12권 제2호, 141~181페이지(총41페이지)
역사인물의 내면은 역사 전환의 계기를 따라 형성, 변형, 종합되는 변화론적 과정으로 접근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김재준의 경우 기독교적 규범의 생애 적용과정 중 긴장요인의 관찰이 중요한데, 인간본성으로서의 ‘자유’ 획득, 성속이원론의 일원화, 정교분리 규범의 해소 등이 대표적이다. 김재준의 ‘인간 자유’ 및 ‘인간 존엄’ 획득은 1930년대 장로교 교권주의에 대항한 신학 자유운동, 1950년대 한국장로교 신학적 ‘이단논쟁’에서 전체주의(총회권력)와 개인(신앙양심의 자유) 간의 극단적 대결 경험에서 형성된다. 김재준의 기독교적 양심의 자유, ‘인간 자유’ 획득 경험은 현대사회 보편인권론의 한국적 맥락의 발현으로 접근될 수 있다. 1970년대 전체주의 유신체제에서 김재준의 ‘인간 자유’ 극대화 논리는 국내외 민족민주운동 노선 경합에서 야당정치인 김대중의 ‘선...
TAG 냉전 자유주의, 한국전쟁과 장로교 분열, 에큐메니컬 신학, 신학적 인간화, ‘선민주·후 통일’, 자유연합, 한반도 분단체제
개성공단 근무 경험자가 인식한 북한 근로자의 특성과 그에 따른 관계형성 전략
김유연 ( Kim¸ You-yeo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20] 제12권 제2호, 183~228페이지(총46페이지)
본 연구는 개성공단 근무 경험자가 인식한 북한 근로자의 특성과 그에 따른 관계형성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북한 사람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평화·통일교육과 북한이해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며 북한 근로자와 라포를 형성했던 남한 근로자 다섯 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그 결과 북한 근로자들은 주체사상을 근거로 한 ‘정규군국가’에서 살면서 지침대로 행동하지만, 생존을 위해 부정직한 일들을 행하기도 하고, 자존심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은 남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모, 문화, 언어, 경제 개념 등에 많은 변화를 보였다. 남한 근로자들은 그러한 북한 근로자들의 특성에 따라 ‘인내하기’, ‘이해하기’, ‘선물 주기’, ‘부딪치기’, ...
TAG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의 특성, 관계형성 전략, 북한이해교육, 평화·통일교육, Gaeseong Industrial Complex,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kers, Relationship building strategy, Education to understand North Korea,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평화연구의 네 번째 흐름과 한반도형 평화학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20] 제12권 제2호, 229~256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개성공단 근무 경험자가 인식한 북한 근로자의 특성과 그에 따른 관계형성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북한 사람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평화·통일교육과 북한이해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며 북한 근로자와 라포를 형성했던 남한 근로자 다섯 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그 결과 북한 근로자들은 주체사상을 근거로 한 ‘정규군국가’에서 살면서 지침대로 행동하지만, 생존을 위해 부정직한 일들을 행하기도 하고, 자존심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은 남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모, 문화, 언어, 경제 개념 등에 많은 변화를 보였다. 남한 근로자들은 그러한 북한 근로자들의 특성에 따라 ‘인내하기’, ‘이해하기’, ‘선물 주기’, ‘부딪치기’, ...
[서평] 문화적 이해로부터 시작하는 평화 : 김성경, 『갈라진 마음들』 (서울: 창비, 2020) / 이은정, 『베를린, 베를린』 (서울: 창비, 2019)
조은성 ( Cho¸ Eun-s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20] 제12권 제2호, 257~264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개성공단 근무 경험자가 인식한 북한 근로자의 특성과 그에 따른 관계형성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북한 사람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평화·통일교육과 북한이해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며 북한 근로자와 라포를 형성했던 남한 근로자 다섯 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그 결과 북한 근로자들은 주체사상을 근거로 한 ‘정규군국가’에서 살면서 지침대로 행동하지만, 생존을 위해 부정직한 일들을 행하기도 하고, 자존심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은 남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모, 문화, 언어, 경제 개념 등에 많은 변화를 보였다. 남한 근로자들은 그러한 북한 근로자들의 특성에 따라 ‘인내하기’, ‘이해하기’, ‘선물 주기’, ‘부딪치기’, ...
[서평] 평화의 렌즈를 끼고 세기사적 전환을 모색하다 : 『세계평화개념사: 인류의 평화, 그 거대담론의 역사』 / (이찬수 외 공저, 인간사랑, 2020) /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 (구도완 외 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정진헌 ( Jung¸ Jin-heo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20] 제12권 제2호, 265~27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개성공단 근무 경험자가 인식한 북한 근로자의 특성과 그에 따른 관계형성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북한 사람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평화·통일교육과 북한이해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며 북한 근로자와 라포를 형성했던 남한 근로자 다섯 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그 결과 북한 근로자들은 주체사상을 근거로 한 ‘정규군국가’에서 살면서 지침대로 행동하지만, 생존을 위해 부정직한 일들을 행하기도 하고, 자존심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은 남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모, 문화, 언어, 경제 개념 등에 많은 변화를 보였다. 남한 근로자들은 그러한 북한 근로자들의 특성에 따라 ‘인내하기’, ‘이해하기’, ‘선물 주기’, ‘부딪치기’, ...
대화의 평화적 구조
이찬수 ( Yi Chan Su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19] 제11권 제2호, 7~37페이지(총31페이지)
대화는 상이한 입장들이 언어적으로 합의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이다. 합의 이후그 합의의 내용을 구체화시키는 과정도 넓은 의미에서 대화의 영역에 속한다. 설령 대화가 반드시 합리적 합의와 구체적인 실행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해도, 대화와 합의는 어떤 식으로든 갈등을 줄인다. 갈등이 줄어드는 그만큼 평화도 모습을 드러낸다. 대화 참가자들 간의 접점이 갈등을 줄이고 평화를 늘리는 계기가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평화의 길을 기대하면서, 대화란 무엇이며, 대화가 어떤 식으로 평화에 공헌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부버(Martin Buber), 가다머(Hans-Georg Gadamer), 하버마스(Jurgen Habermas) 등의 입장을 빌려온다. 특히 하버마스의 주요 이론, 즉 합리적 ‘의사소통’과 자신의 영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전략’, 그리고...
TAG 대화, 평화, 의사소통, 전략, 중재자, 회복적 정의, Dialogue, Communication, Strategy, Mediator, Peace, Restorative Justice
화해는 어떻게 가능한가?: 이론적 고찰과 한반도에의 적용
김병로 ( Kim Phil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19] 제11권 제2호, 39~73페이지(총35페이지)
본 논문은 한반도에서 왜 화해가 진전되지 않고 공전하는가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화해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과 절차 혹은 과정이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한반도 상황에 적용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검토에서 화해를 위해서는 상호피해 인정, 사과, 추모, 진실확인, 보상, 용서 등 핵심요소가 필요하고 일련의 절차와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설명한다. 그러나 화해가 이루어지는 공간은 역설적이며 역동적인 현장으로, 상황과 구조, 문화적 맥락에 맞게 적용해야 하며, 분리-융합, 실체-관계, 이익-감정, 대안적 화해 등 근원적 성찰도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한다. 이러한 이론에 비추어볼 때 한반도는 상호존재인정과 미래지향적 관계개선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화해가 진행되었으나, 과거피해인정, 사과, 진실확인 등 초보적인 화해절차가 아직 ...
TAG 화해, 평화, 회복적 정의, 진실확인, 사과, 용서, 트라우마 치유, Reconciliation, Peace, Restorative Justice, Truth-Finding, Apology, Forgiveness, Trauma Healing
적극적 평화로서의 공존의 가치
천경효 ( Chun Kyung Hy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19] 제11권 제2호, 75~106페이지(총32페이지)
공존은 서로 위해를 가하지 않고 함께 생활의 시공간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흔히 생각하듯, 공존은 갈등이 해소되고 문제가 해결되어 모두가 평화롭고 행복하게 어우러지는 이상적인 상황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현실에서 공존은 기회부여, 대표성 보장, 상호 이해와 존중, 협력과 교류 등의 여러 측면과 층위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권력공유나 자치주의는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지니고 있는 집단 간의 공존을 가능케 하는 장치와 구조의 예이다. 의미 있는 공존을 위해서는 합의와 협정과 같은 제도적인 부분 뿐 아니라 다름을 인정하고 차이를 존중하는 의식적인 부분에서도 진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민족주의자와 합병주의자 간의 오랜 대립으로 잘 알려진 북아일랜드의 갈등상황은 벨파스트 협정에 의해 무력충돌이 일단락되고 권력공유를 통한 공존의 장을 마련한...
TAG 공존, 문화상대주의, 통합, 권력공유, 북아일랜드 갈등, coexistence, cultural relativism, integration, power-sharing, The Troubles(Northern Ireland Conflict)
북한에서 ‘운동하는 여성(Sporting women)’의 등장과 의미: 1950-60년대 북한 여성 전문체육을 중심으로
이나영 ( Lee Nayeo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2019] 제11권 제2호, 107~141페이지(총35페이지)
남성 중심의 활동인 근대 체육은 여성이 체육활동에 있어 주변적 존재로 위치하게 했다. 또한 자본주의 체육이 상업화되고 미디어와 체육의 결합이 상업화를 가속화 시키면서 체육현장 내 젠더위계를 강화시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사회주의 북한에서 운동하는 여성들은 주변화되지 않았는지에 의문을 가지고 운동하는 여성에 대한 인식을 검토한 후 1950-60년대 북한에서 운동하는 여성이 처음 등장하는 배경과 이들에 대한 담론을 살펴본다. 사회주의 체육의 주요 목표는 인민의 체위를 향상함으로써 노동생산력을 높이고 국방력을 보장하는 데에 있었고 이것이 사회주의 여성들의 체육활동을 권장하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였다. 북한의 체육 역시 소련의 체육정책을 도입하여 성별을 떠나 개인의 위생과 건강, 집단을 위한 몸을 만들기 위한 체육활동을 권장했다. 교육기회의 제공과 ...
TAG 운동하는 여성, 북한체육, 북한 여성체육, 전문체육, 엘리트스포츠, 사회주의체육, sporting women, North Korean sports, North Korean women’s sports, elite sports, socialist sport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