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

 1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1
 2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2
 3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3
 4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4
 5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5
 6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6
 7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7
 8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어의 된소리 표기는 어두 자음군과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다. 어두 자음은 말의 첫소리에 쓰이는 자음군은 크게 ㅂ계와 ㅅ계로 나뉘어지는데, 이러한 어두자음군은 대체로 하나의 음절이 생략될 때 모음이 탈락되면서 남은 자음이 다음 음절의 자음에 결합하여 생겨난 것이다. 그러나 국어에서는 어두에 자음군을 허락하지 않는 음운상의 특징이 있어서 이같이 불안정한 자음군은 얼마 안 가서 모두 된소리로 변했다.
이러한 된소리를 표기하는 것으로 각자병서와 합용병서를 들 수 있다. 각자병서는 같은 초성 자음을 나란히 쓰는 방법이고 합용병서는 서로 다른 초성을 두 새개 나란히 쓰는 것을 말한다. 중세 국어의 어두 자음군과 더불어 중세국어의 된소리 표기법과 15세기의 된소리 표기를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 중세국어의 어두 자음군
1. 합용병서의 3계열
訓民正音 解例 合字解
初聲二字三字合用書 如諺語 爲地, 爲隻, 爲隙之類
(초성 두자와 세자를 합하여 나란히 쓰면 가령 우리말의 가 地(지)가 되고, 이 隻(척)이 되고, 이 隙(극)이 되는 따위와 같으니라).
① ㅅ 계열: ㅺ,ㅼ,ㅽ
② ㅂ 계열: ㅳ,ㅄ,ㅶ,ㅷ ---------- 이들 병서는 현대어에서 된소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