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어문학 > 언어학
額濟納漢簡草書考察
홍영희 ( Hong Young Hee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5권 1~27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액제납한간, 거연한간, 출토문자, 간독, 초서, 额济纳汉简, 居延汉简, 出土文字, 简牍, 草书, Ejina Bamboo Slips, Juyan Bamboo Slips, Zhang Caoshu scripts, Lishu, Caoshu
통번역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번역 글쓰기 교과 과정 설계 연구
하나은 ( Ha Naeun ) , 윤창숙 ( Yoon Changsook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021] 제17권 제1호, 259~280페이지(총22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translation-writing into Korean, 한국어 번역 글쓰기, course design, 교과 과정 설계, graduate students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programs, 통번역 전공 대학원생, proof-reading, 교정·교열, post-editing, 포스트에디팅, trans- creation, 트랜스크리에이션
한국어교육 문법 체계로서의 접속에 대한 소고
최정도 ( Choi Jeongdoh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021] 제17권 제1호, 235~258페이지(총24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Conjunctional josa, 접속 조사, Conjunctional ending, 연결 어미, Conjunctional adverb, 접속 부사, Bound noun, 의존 명사, Conjunct, Conjunction, 접속사
동남아시아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발전 방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을 중심으로-
조항록 ( Cho Hangrok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021] 제17권 제1호, 211~234페이지(총24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 교육 발전,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동남아시아 한국어 교육, environment, 환경, experti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 교육 전문성
한국어 번역교육을 위한 한·중 문장부호의 비대칭성 연구 -쉼표(,)와 마침표(.)를 중심으로-
임형재 ( Lim Hyungjae ) , 주선 ( Zhu Xuan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021] 제17권 제1호, 179~210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Korean translation, 한국어번역, Punctuation mark, 문장부호, Full stop, 마침표, Comma, 쉼표, Asymmetry, 비대칭성
딥러닝 언어모델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원어민성 판단 결과 분석 연구
이진 ( Lee Jin ) , 정진경 ( Jung Jinkyung ) , 김한샘 ( Kim Hansaem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021] 제17권 제1호, 155~177페이지(총23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deep learning, 딥러닝, BERT, 버트, nativelikeness judgment, 원어민성 판단, classification, 분류, Korean learner corpus,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error-tagged corpus, 오류 주석 말뭉치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대중문화 교육의 방향 - 케이팝(K-Pop)을 중심으로 -
오지혜 ( Oh Jihye ) , 권미경 ( Kwon Migyoung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021] 제17권 제1호, 131~153페이지(총23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popular culture, 대중문화, K-pop, 케이팝, everdayness and universality, 일상성 및 보편성, connectivity and expansion, 연계성 및 확장성, locality and interculturality, 지역성 및 상호문화성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법론 연구 -다국적의 구비문학 자료를 바탕으로-
오정미 ( Oh Jungmi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021] 제17권 제1호, 109~129페이지(총21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Intercultural Education, 상호문화교육, Literature Education, 문학교육, Literature Works, 문학작품, methodology, 방법론, Oral Literature, 구비문학, Tale, 설화, Folk belief, 민간신앙, Proverb, 속담
Zoom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의 플립드 러닝의 효과
박지영 ( Park Jiyoung ) , 김영주 ( Kim Youngjoo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021] 제17권 제1호, 85~108페이지(총24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Korean writing, 한국어 쓰기, flipped learning, 플립드 러닝, real-time online classes, 실시간 온라인 교육, video learning, 동영상 학습, learner-centered writing education, 학습자 중심 쓰기 교육
PBL을 적용한 글쓰기 수업이 외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효능감 및 수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정은 ( Park Jungeun ) , 김경연 ( Kim Kyungyun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021] 제17권 제1호, 53~83페이지(총31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Writing, 글쓰기,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외국인 유학생, PBL, 문제중심학습, Writing Efficacy, 글쓰기 효능감, Perception of the Class, 수업 인식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