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11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시선추적 기법을 활용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양상 연구
김현진 ( Hyunjin Kim ) , 강승혜 ( Seunghae Kang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85~109페이지(총25페이지)
TAG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Thai Korean learners), 시선 흐름(scan path), 평균 도약거리(average saccade length), 평균 도약횟수(average saccade counts), 관심 영역으로 회귀횟수(regression counts of AOIs), 평균회귀비율(regression rate average)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적응이 한국어 숙달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강 ( Kim Mikang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29~57페이지(총29페이지)
TAG immigrant adolescents(중도입국 청소년), acculturation(문화적응),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한국어 숙달도), academic achievement(학업 성취도), individual variables(개인적 변인)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와 한국어의 복수 형태에 대한 비교 연구
강덕수 ( Kang Ducksoo ) , 박기선 ( Park Keeseon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1~27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에서 나타나는 복수 접미사의 형태와 통사 구조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언어들 간의 계통론적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에벤어와 에벤키어에서 대표적인 복수 접미사의 형태는 {-l}이지만 이형태 {-til}은 여전히 ‘am-til’ (아버지들) 및 ‘en-til’ (어머니들)과 같은 어휘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접미사는 한국어의 복수 접미사 {-tul1)}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복수 접미사형태뿐만 아니라 이 언어들 간에는 구문 구조와 사용법(간접소유표지 등)에서도 여러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의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양상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이 언어들의 심층에는 ...
TAG 퉁구스어(Tungus), 에벤어·어벤키어(Even and Evenki), 복수접미사(plural suffixes), 이형태{-til}(the allomorphic variant {-til}), 간접소유표지 {-ŋi-}(indirect possession marker {-ŋi-}), 형태소 {-n3-}(a morpheme {-n3-})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연구 -다양성 및 난이도를 중심으로-
심재경 ( Sim Jekyoung ) , 강민석 ( Kang Min Suk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137~165페이지(총29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에서 나타나는 복수 접미사의 형태와 통사 구조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언어들 간의 계통론적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에벤어와 에벤키어에서 대표적인 복수 접미사의 형태는 {-l}이지만 이형태 {-til}은 여전히 ‘am-til’ (아버지들) 및 ‘en-til’ (어머니들)과 같은 어휘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접미사는 한국어의 복수 접미사 {-tul1)}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복수 접미사형태뿐만 아니라 이 언어들 간에는 구문 구조와 사용법(간접소유표지 등)에서도 여러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의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양상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이 언어들의 심층에는 ...
TA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학문 목적 한국어),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reading material(읽기자료), text variety(텍스트 다양성), text difficulty(텍스트 난이도), textbook analysis(교재 분석)
몽골어, 만주어의 의문첨사 비교 -몽어노걸대, 청어노걸대를 중심으로-
주수현 ( Ju Suhyeon ) , ( T. Otgontuul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277~308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에서 나타나는 복수 접미사의 형태와 통사 구조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언어들 간의 계통론적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에벤어와 에벤키어에서 대표적인 복수 접미사의 형태는 {-l}이지만 이형태 {-til}은 여전히 ‘am-til’ (아버지들) 및 ‘en-til’ (어머니들)과 같은 어휘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접미사는 한국어의 복수 접미사 {-tul1)}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복수 접미사형태뿐만 아니라 이 언어들 간에는 구문 구조와 사용법(간접소유표지 등)에서도 여러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의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양상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이 언어들의 심층에는 ...
TAG 몽골어(Mongolian language), 만주어(Manchu language), 의문첨사(Interrogative particle), 몽어노걸대(Mongo Nogeoldae), 청어노걸대(Cheongeo Nogeoldae)
아동·청소년 대상 한국어 능력 평가 개발 연구 -문항 개발 및 적용을 중심으로-
이정희 ( Junghee Lee ) , 류선숙 ( Seonsuk Ryu ) , 이경 ( Kyung Lee ) , 김정숙 ( Chungsook Kim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235~275페이지(총41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에서 나타나는 복수 접미사의 형태와 통사 구조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언어들 간의 계통론적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에벤어와 에벤키어에서 대표적인 복수 접미사의 형태는 {-l}이지만 이형태 {-til}은 여전히 ‘am-til’ (아버지들) 및 ‘en-til’ (어머니들)과 같은 어휘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접미사는 한국어의 복수 접미사 {-tul1)}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복수 접미사형태뿐만 아니라 이 언어들 간에는 구문 구조와 사용법(간접소유표지 등)에서도 여러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의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양상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이 언어들의 심층에는 ...
TAG Young·Adolescent learners(아동·청소년 학습자),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한국어능력시험), Language Assessment(언어 평가), evaluation items(평가 문항)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의 채점 편향성 분석
김지영 ( Kim Jee Young ) , 원미진 ( Won Mi Jin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59~83페이지(총25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에서 나타나는 복수 접미사의 형태와 통사 구조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언어들 간의 계통론적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에벤어와 에벤키어에서 대표적인 복수 접미사의 형태는 {-l}이지만 이형태 {-til}은 여전히 ‘am-til’ (아버지들) 및 ‘en-til’ (어머니들)과 같은 어휘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접미사는 한국어의 복수 접미사 {-tul1)}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복수 접미사형태뿐만 아니라 이 언어들 간에는 구문 구조와 사용법(간접소유표지 등)에서도 여러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의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양상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이 언어들의 심층에는 ...
TAG grading reliability(채점 신뢰도), rater’s consistency(채점자 일관성), severity(엄격성), bias(편향성), Korean speaking performance test(한국어 말하기 평가)
한국어교육에서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활용 방안 연구 -플립드 러닝 수업에서의 본시 수업(In-Class) 활동을 중심으로-
윤영 ( Young Yun ) , 이경 ( Kyung Lee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197~233페이지(총37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에서 나타나는 복수 접미사의 형태와 통사 구조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언어들 간의 계통론적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에벤어와 에벤키어에서 대표적인 복수 접미사의 형태는 {-l}이지만 이형태 {-til}은 여전히 ‘am-til’ (아버지들) 및 ‘en-til’ (어머니들)과 같은 어휘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접미사는 한국어의 복수 접미사 {-tul1)}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복수 접미사형태뿐만 아니라 이 언어들 간에는 구문 구조와 사용법(간접소유표지 등)에서도 여러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의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양상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이 언어들의 심층에는 ...
TAG Korean Language Education(한국어교육), Educational- Application(교육용 애플리케이션), Interaction(상호작용), Flipped-learning(플립드 러닝), In-Class stage(본시 수업 단계)
한국어 발음 학습과 자가 평가를 위한 스마트폰 앱(App) 개발 및 교육적 적용 방안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안미애 ( Ahn Miae ) , 웨이췬 ( Wei Qun ) , 이미향 ( Lee Mihyang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167~195페이지(총29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에서 나타나는 복수 접미사의 형태와 통사 구조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언어들 간의 계통론적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에벤어와 에벤키어에서 대표적인 복수 접미사의 형태는 {-l}이지만 이형태 {-til}은 여전히 ‘am-til’ (아버지들) 및 ‘en-til’ (어머니들)과 같은 어휘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접미사는 한국어의 복수 접미사 {-tul1)}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복수 접미사형태뿐만 아니라 이 언어들 간에는 구문 구조와 사용법(간접소유표지 등)에서도 여러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의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양상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이 언어들의 심층에는 ...
TAG Mobile app(모바일 앱), Korean pronunciation(한국어 발음), Chinese students studying Korean(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Pronounce Evaluation(발음 평가)
번역 오류의 원인이 되는 한국어-러시아어 초급 수준 동사의 격 불일치 유형 분류
함계임 ( Hahm Kye Im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8] 제70권 309~336페이지(총28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에서 나타나는 복수 접미사의 형태와 통사 구조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언어들 간의 계통론적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에벤어와 에벤키어에서 대표적인 복수 접미사의 형태는 {-l}이지만 이형태 {-til}은 여전히 ‘am-til’ (아버지들) 및 ‘en-til’ (어머니들)과 같은 어휘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접미사는 한국어의 복수 접미사 {-tul1)}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복수 접미사형태뿐만 아니라 이 언어들 간에는 구문 구조와 사용법(간접소유표지 등)에서도 여러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의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양상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이 언어들의 심층에는 ...
TAG Case(격), Type of mismatch(불일치 유형), Translation error(번역 오류), Argument(논항), Categorization of case(격범주)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