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6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전형유형별 학교생활 적응 분석 연구: K대학의 디자인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김혜경 ( Kim Hye-kyung ) , 박소연 ( Park So-yeon ) , 박여진 ( Park Yeo-jin ) , 박윤경 ( Park Yun-kyo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8] 제6권 155~186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점점 다양화되고 있는 디자인계열의 대입전형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전형유형별재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현황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각 전형유형에 적합한 학교생활적응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주요대학의 디자인계열 대입전형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K대학 디자인계열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적응 만족도 설문조사와 소규모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전형유형별 학교생활 적응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 자문을 통해 디자인계열 대입전형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졸업 후 진로계획’, ‘학교생활만족도’, ‘전공 외 학습’ 부분에서 전형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공 학업성취도(GPA)’의 경우 전형유형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가 디자인계열학과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대입전형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이를 향후 대입전형 설...
TAG 대입전형, 디자인대학입시, 학생부종합전형, University Admission Types, Admission System of Design School, Admission Officer System
대학입학 후 중도포기 유형 및 원인 분석 연구
김대현 ( Kim Dae-hyun ) , 김정근 ( Kim Jeong-guen ) , 이수영 ( Lee Soo-yo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8] 제6권 187~218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입학 후 중도 포기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여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지원 및 입학전형 설계에 활용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2014년 3월부터 2016년 8월까지 2년 6개월간 경희대학교 서울/국제캠퍼스 학부 재적생 46,331명 중 중도포기자 1,9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입학전형별, 단과대학 및 학과별, 입학년도별, 학년별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중도포기의 원인은 타대학진학 > 성적경고제적 > 경제사정 순이었다. 입학전형별 중도포기자 수는 수능중심전형이 가장 많았고, 모집인원 대비 중도포기자 비율은 교과중심전형이 가장 높았다. 논술중심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은 모집인원 대비 중도포기자가 2%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신입생들에 대한 이해, 대학생활 적응 지원, 중도포기 방지를...
TAG 대학 중도포기, 입학전형, Dropping out of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학문단위별 우수학생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연구 I: K대학교 이공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김상유 ( Kim Sang-yu ) , 유가영 ( Yoo Gayoung ) , 정윤미 ( Jung Yoon-mi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8] 제6권 1~32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학문단위별로 우수학생을 추천 받고 그 사례를 분석하여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에 대한 재조명을 하고자 했다. 추천 받은 우수학생을 모집시기, 전형 유형, 추천 사유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해당년도 입시에서 차지하는 학생부종합전형 선발 비율을 고려하였을 때, 추천받은 우수학생들 중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추천사유로는 학업성적 우수, 적극성, 성실성, 수업참여도, 리더십 등의 순이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고등학교 시절에 학교 행사 및 동아리 활동을 열심히 하였고, 이들 중 절반 정도는 학급 임원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학업에 있어서는 국어, 영어, 수학보다는 과학을 잘한 학생들이 많았으며, 스스로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인성 및 발전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였고, 학업역량 및 전공적합성에 대해서는 조금...
TAG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학문단위별 우수학생, General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Evaluation Factor, Excellent Student by Academic Unit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계열별 학업성취도 추이 분석
박소연 ( Park So-yeon ) , 이승아 ( Lee Seung-a ) , 정다운 ( Jung Da Woon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8] 제6권 99~124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 학생의 2010학년도부터 2013학년도 입학생들의 2010년 1학기부터 2016년 2학기까지 성적을 전공과 비전공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계열별 학생들의 전형유형별*계열별 학업성취도의 학년별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각 계열별 학생들의 학년별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계열에서 교과중심과 서류평가중심 전형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상위그룹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회균형과 특기자 전형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하위그룹에 형성되었다. 학년별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의 경우, 인문/자연 계열에서는 전공과 비전공영역 모두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평점도 함께 상승하는 패턴을 보였으나 나머지 계열에서는 다소 다른 패턴을 보였다. 비전공영역에서는 의학/예능/체능 계열 모두 인문/자연 계열과 동일하게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평점도 ...
TAG 입학전형유형, 학업성취도, 학업성취도 변화, 학생부종합전형, Admission Type, Grade Point Average(GPA), GPA Trends, Admission Office System(AOS)
K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수도권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공자원 ( Kong Ja-won ) , 박은아 ( Park Eun-ah ) , 이지연 ( Lee Ji-yeon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8] 제6권 219~252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입시 대상자라고 할 수 있는 고등학생들이 K대학교 입학전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입시 정보 제공 등에 있어서 실제 도움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파악하였다. K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이 고교 교육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에 대한 인식은 교내활동 활성화에 기여 > 계층 및 지역간 교육격차 완화 > 학생들의 입시부담 감소에 기여 > 사교육비 감소에 기여 순으로 응답하였고, K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해 궁금하게 생각하는 내용 최근 입시결과 > 인성면접 진행과정 > 자기소개서 작성 > 학교 및 학과 등에 대한 소개 > 세부전형별 차이 및 지원전략 > 서류평가 과정 > 입시용어 설명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궁금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학교 선생님께 문의 > K대학교 발간 책자에서 정보 습득 > 입학처 홈페이지 또는 전화 상담 > 친구, 부모님...
TAG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이해도,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인식,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정보 습득, Understanding of Admission Officer System,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dmission Officer System
학생부위주전형의 대학별 운영방식과 유형에 관한 연구
김상유 ( Kim Sang-yu ) , 공자원 ( Kong Ja-won ) , 박은아 ( Park Eun-ah ) , 최혜림 ( Choi Hye-r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6] 제5권 1~36페이지(총36페이지)
현재 대학별 다양한 대입전형이 운영되고 있지만, 고교교육 정상화 지원사업과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힘입어 논술전형과 수능전형은 축소되고 학교생활기록부를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학생부위주전형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2015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 사업에 선정된 62개 대학의 2016학년도 및 2017학년도 전형을 중심으로 대학별 학생부위주전형 운영 방식 및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부위주전형은 점진적으로 확대되며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의 선발 비율 확대가 두드러졌다. 학생부위주전형은 대부분 수시모집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수시모집 중 비중은 점점 확대되는 반면 정시모집 중 비중은 점차 축소되고 있다. 수시모집에서 대학별로 운영되고 있는 학생부위주전형은 평균적으로 대략 8개이다. 전형방법의 경우, 수시에서는 학생...
TAG 학생부위주전형, 대학별 선발방식, 사정방법,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Selection method of each university, Admission evaluation
대입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전공적합성의 의미와 대체 용어에 관한 고찰
임진택 ( Lim Jin-taek ) , 박지선 ( Bak Ji-seon ) , 조민경 ( Cho Min-gyeong ) , 김효희 ( Kim Hyo-hee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6] 제5권 37~75페이지(총39페이지)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인 `전공적합성`이 고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고 대학 인재선발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는데 적절한 평가요소인지 살펴보고,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의 학생선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대입 평가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공 적합성 관점에서 미국 대입제도와 우리나라의 학생부종합전형(舊 입학사정관전형)의 평가요소, 전형자료, 학교 카운슬러의 역할, 대학 교육과정 등의 차이를 비교해보고, 현직 입학사정관들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로서 전공적합성의 적절성, 고교 활동과 대학 입학 후 전공적응도, 전공적합성 대체 용어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에서는 전공적 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은 반면, 우리나라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전공적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평가하고 있었다. 교과 ...
TAG 전공적합성, 대입, 입학사정관제, 학생부종합전형, 미국 입시제도, 평가요소, Major suitability, College entrance, Admission officer system,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ystem, U.S. College entrance system, Evaluation factor
대학의 자유학기제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정순영 ( Jung Sun-yeong ) , 박소연 ( Park So-yeon ) , 박여진 ( Park Yeo-jin ) , 박윤경 ( Park Yun-kyo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6] 제5권 193~219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현장에 있는 중학교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학에서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주요 대학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을 성격에 따라 `자율과정`, `교사연수·강사양성`, `교육교재 공동개발`, `대학의 물적자원 지원` 4가지로 유형화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현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은 대다수가 `자율과정` 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 교사대상 설문조사결과에서도 대부분의 대학에서 `자율과정`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지원 필요성에 대해도 `자율과정`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은 학교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맞춤형 ...
TAG 중학교 자유학기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Free semester program
대학입학전형별 전공/비전공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남궁경현 ( Nam Gung Kyung Hyun ) , 이승아 ( Lee Seung-a ) , 정다운 ( Jung Da Woon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6] 제5권 97~12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2009년부터 확대 실시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전형유형에 따른 계열별 입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이 점차 졸업생으로 사회에 배출되는 현시점에서 GPA분석을 통해 전형운영의 전체적인 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입학전형 유형별로 2010∼2012학년도 입학생의 전공과 비전공 GPA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입학전형의 특성에 따라 입학전형을 6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전공과 비전공 GPA를 계열별로 분석하였다. 인문계열은 학생부교과와 입학사정관전형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특기·적성에서는 전공평점이 비전공평점보다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자연계열의 전공평점은 학생부교과와 수능에서, 비전공평점은 학생부교과와 입학사정관전형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특기·적성의 전공평점은...
TAG 입학전형유형, 학업성취도(GPA), 입학사정관전형, 전공, Admission type, Grade point average(GPA), Admission office system(AOS), Major
대학입학전형과 전공만족도간의 관계연구
김수연 ( Kim Su-yhun ) , 조희권 ( Cho Hee-kwon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2016] 제5권 77~95페이지(총19페이지)
대학에서의 전공을 선택할 때 성적에 맞춘 진학이 아니라, 학생의 적성과 흥미가 고려된 진학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고교에서의 다양한 진로교육 활성화와 교육과정의 변화는 이러한 움직임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입학전형의 변화로 인해 학생의 적성과 흥미가 고려된 진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피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전형에 따라 현 전공에 대한 고교진로희망에 차이가 있는가? 전형에 따라 현 전공과 관련된 고교 동아리활동에 차이가 있는 가? 전형에 따라 현 전공의 전공만족도/몰입도는 차이가 있는가? K대학 28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생부종합전형, 논술우수자전형, 정시수능위주전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들은 고교에서의 수업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동일 전공으로 진학한 학생이 의미 있게 ...
TAG 전공만족도, 학생부종합전형, 진로, 적성, Admission office system(AOS), Major satisfaction, Student record department, Aptitude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