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11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소경희 ( Kyunghee So ) , 최유리 ( Yuri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91~112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교사가 변화의 주체가 되도록 요구받고 있는 최근의 교육 개혁의 맥락 속에서, 교사들의 실천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틀로서 ‘교사 행위주체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교사 행위주체성’의 개념적인 의미를 검토하고, 이 개념에 기반을 둘 때 행위 주체로서의 교사들의 실천은 어떤 양상으로 드러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 행위 주체성은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가 아니라 특정 맥락에서 ‘성취’될 수 있는 어떤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교사를 둘러싼 구조나 문화적 조건들이 교사의 개인적 능력 못지않게 교사의 주체적인 행위의 성취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국가의 변화 요구를 적극적으로 따르는 것만이 주체적인 교사라고 볼 수는 없...
TAG 행위주체성(agency), 교사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 변화의 주체(agent of change), 교육개혁(educational reform), 교육과정 정책(curriculum policy)
국내 고등학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 모습과 과제
최수진 ( Su-jin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169~196페이지(총28페이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어떻게 실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습이 뚜렷하지 않아 우려의 목소리가 큰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역량 또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관련 연구학교에서 근무하거나 근무한 적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 11명과의 초점집단면담(FGI)을 통해 고등학교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들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고등학교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행모습을 교육과정(운영방법), 교수학습, 평가, 학교풍토 및 거버넌스, 그리고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과 관련하여 주요하게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
TAG 역량기반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 역량, 2015 개정 교육과정, competency-based curriculum, high school education, competencies, 2015 National Curriculum
초등예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수업계획 행동의 연관성 탐색
박기용 ( Ki-yong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25~44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교사는 지식과 학습에 관한 올바른 신념과 가치관이 확립되어야한다“는 논리적 주장에서 출발하였고, “인식론적 신념과 수업은 연관성이 있다“는 경험적 연구에 의해 촉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은 어떠한지, 그리고 그 신념은 수업계획 행동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일관성 있는 인식론적 신념체계를 가진 9명(세련 3명, 혼합 2명, 미숙 4명)의 초등예비교사가 작성한 수업계획서의 목표와 방법을 분석한 결과, 목표의 구체성 측면에서는 인식론적 신념과 연관성이 나타났지만, 목표의 수준 측면에서는 인식론적 신념과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인식론적 신념이 세련된 초등예비교사들이 작성한 목표는 혼합되고 미숙한 수준의 초등예비교사보다 훨씬 간결하고 구체적이었으나, 세련된 신념을 가진 초등예비교사도 기...
TAG 인식론적 신념, 수업계획행동, 초등예비교사, epistemological belief, instructional plann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대학 진학 계열별 고등학생의 선수과목 이수 실태
심우정 ( Woo-jeong Shim ) , 백선희 ( Sunhee Paik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221~24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6~7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여 일반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전공계열별 필수 선수과목 이수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배경 및 학교 특성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인문, 사회, 교육계열은 자연, 공학, 의약계열에 비해 전공별 필수 선수과목 이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문계열의 경우 전공과 유관한 필수 선수과목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험과목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인문, 사회, 교육계열의 필수선수 과목 이수에는 학생의 개인배경, 학교특성 요인의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자연, 공학, 의약계열 진학자들의 경우 성별, 주요교과목의 수업 이해도, 고등학교의 계열, 교사의 수 등이 필수 선수과목 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반하여 고교학...
TAG 고교 선수과목, 선택 교육과정, 고교-대학 연계, 교육과정 정책, high school course-taking,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curriculum policy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김란주 ( Lanju Kim ) , 서경혜 ( Kyounghye Seo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113~138페이지(총26페이지)
학점제가 고교 교육혁신을 위한 핵심정책으로 도입된다. 현재의 고교학점제 정책은 학생 선택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의 교과목 선택권 확장, 교육과정의 다양화를 통해 종래 획일적인 교육과정으로 인한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과연 학교가 현실적으로 얼마나 다양한 선택과목들을 제공할 수 있겠는가,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겠는가, 학생들에게 교과목을 선택하게 하면 교사의 수업이 달라지고 교육의 질이 제고될 수 있겠는가 등의 다양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고교학점제 관련 정책과 담론을 고찰하고 그 실제 사례를 분석, 학점제를 통한 고교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의 교과목 선택권을 얼마나 확장하고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에 치중되어 있는 현재의 고교학점제 정책은 학생...
TAG 고교학점제, 교과목 선택권, 선택형 교육과정, 맞춤형 교육과정, 교육과정 다양화,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 choice, elective curriculum, student-centered curriculum, curriculum reform
우리나라 초등통합교육과정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
조상연 ( Sang-yeon Jo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139~168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이야기 모형(Drake 외, 1992)을 적용하여 ‘과거 이야기’와 ‘미래 이야기’의 공존 속에서 흐름과 변형을 겪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의 ‘현재 이야기’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통합교육과정의 의미와 지향점, 그리고 향후 과제를 탐색한 것이다. 교과서 개발자, 연구자, 그리고 교사라는 세 가지 정체성을 가진 나는 개인적 렌즈와 문화적 세계적 보편적 렌즈를 통해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의 이야기를 조망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통합교육과정의 주된 쟁점은 통합교과의 정체성 문제와 통합의 중심(통합의 실) 문제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의 논의는 첫째, 국가 수준의 개발 논리가 현장의 실행 및 실천을 이끄는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며 둘째, 학교 현장의 자발적인 통합교육과정 실행 노력은 당분간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TAG 이야기 모형, 초등통합교육과정, 초등통합교과, Story Mode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불확실성 시대의 학습의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대안적 방향 탐색: 존재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상은 ( Sang-eu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45~69페이지(총25페이지)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불확실성이 부각되는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그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 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존재론적 접근’을 통해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대안적인 방향을 탐색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 의미하는 존재론적 접근은 가치 및 윤리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 ‘나는 어떤 존재이며, 어떤 자세로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을 진지하게 다루는 관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 시대의 학습은 ‘아는 것’, ‘하는 것’ 이외에 ‘존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 진다는 점에 주목하고, 현재 ‘수행성’이 강조되는 mode 1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넘어서서 ‘존재론적 접근’에 토대를 둔 mode 2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제안을 하기에 앞서...
TAG 역량기반 교육과정, 존재론적 접근, 불확실성, 미래지향적 학습, 교육개혁, competence-based curriculum, ontological approach, uncertainty, new learning framework, educational reform
탈식민주의 텍스트로서 교육과정 연구 : 새로운 지평의 탐구
주재홍 ( Jae-hong Joo ) , 김영천 ( Young-ch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7] 제35권 제4호, 231~257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서구에서 사회과학의 네 번째 연구 패러다임으로 간주되는 ‘탈식민주의’ 담론을 통해 교육과정 연구의 지형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이에 연구의 첫 번째 내용으로 탈식민적 교육과정 연구가 교육과정 분야에서 얼마나 새로운 연구패러다임으로 성장하였는를 리뷰하였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은 탈식민주의 교육과정 연구의 영역을 규명하기 위해 이론적인 연구 개념들을 추출하였다. 세 번째 연구 내용은 이러한 이론적 개념에 근거하여 탈식민주의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영역을 다음 다섯 가지로 규명하였다: 1) 학교교육과정의 역사적 식민성 탐구, 2)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에서의 식민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평, 3) 탈식민적 저항의식의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의 실천, 4) 토착적/한국적 교육과정 현상의 탐구와 이론화, 5) 교육과정 연구문화의 식민성 비평. 이 연구는 ‘탈식...
TAG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교육과정연구(curriculum studies), 식민성(coloniality), 탈식민주의 텍스트(postcolonial text)
교사들이 형성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탐색
김종훈 ( Jongh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7] 제35권 제4호, 281~301페이지(총21페이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체제를 따르는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은 국가에 의해 개발된 교육과정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교실의 상황과 맥락,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 교사의 신념과 가치 등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고려할 때,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학교와 교실에서 실행되는 양상은 저마다 다른 모습을 취할 수밖에 없다. 교사는 주어진 교육과정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 맥락에 적합하도록 이를 변경하거나 수정하게 된다. 교육과정 연구 및 실천 분야에서 이와 같은 교사의 실천 행위는 흔히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일컬어져 왔다. 이 글은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을 통해 교사들이 형성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해 온 두 명의 초등학교 교사의 ...
TAG 교육과정 재구성, 의미형성, 내러티브 탐구, 초등학교 교사, 교수 실천, curriculum reconstruction, meaning-making, narrative inquiry, elementary teacher, teaching practice
Bruner 내러티브 이론의 교육학적 의미 탐색
강현석 ( Hyeon-Suk Kang ) , 조인숙 ( In-Sook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7] 제35권 제4호, 125~149페이지(총25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Bruner의 ‘지식의 구조’ 이후로 새롭게 대두되었던 내러티브 이론의 교수학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의 Bruner의 이론에 대한 생각은 과거 지식의 구조, 나선형 조직, 발견학습이나 탐구 학습에 머물러 있는 형편이다. 주지하다시피 1980년 이후로 Bruner는 내러티브 전회를 통하여 큰 폭으로 자신의 입장을 확장시켰다. 시대적 구분으로만 전기와 후기 이론으로 명명할 수는 없겠으나 지식의 구조이론과 내러티브 이론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은 크다. 본 연구는 시대적으로 보면 주로 1980년대 이후 전개된 그의 확장된 입장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 사고양식에 기반을 두고 있는 문화주의 이론은 새로운 학교교육의 모델로 각광받을 만하다. 본고에서는 교수 및 학습 측면에서 내러티브의 의미와 교육과정의 ...
TAG narrative mode of thought, culturalism theory, cultural psychology, story making, narrative, curriculum theory, 내러티브 사고, 문화주의 이론, 문화심리, 이야기 구성, 내러티브, 교육과정 이론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