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11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역량 연구
박세훈 ( Se-hun Park ) , 장인실 ( In-sil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4호, 51~71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을 내용 분석 방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역량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가교육과정에 따라 고시된 2차부터 2007 교육과정까지의 특별활동 문서의 ‘목표’와 ‘성격’,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와 ‘성격’의 총 132개의 텍스트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역대특별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문서에서의 단어들 빈도수를 측정하고 역량과 관련된 핵심어를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이후 Ucine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미연결망을 파악하고 연결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치 및 태도 역량과 관련된 핵심어의 비중과 빈도수가 높았으며 자기관리능력, 시민성, 존중, 도덕성, 협동심, 공감, 자기주도성, 성장마인드, 창의성, 혁신 마인드가 창의적 체험활동의 강조 역량으로 나타났다....
TAG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ompetency, curriculum, 창의적 체험활동, 역량, 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정 교과용도서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원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중심으로
이림 ( Rim Lee ) , 장소영 ( So-young Jang ) , 민부자 ( Bu-ja Min ) ,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4호, 73~95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교과별 교과용도서 검·인정 제도에 대한 검토, 교과용도서 개발에서의 관련 집단 의견 조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국정도서 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초등교사의 의견 조사 결과, 모든 교과에서 높은 비율로 국정을 유지하는 의견을 보였고, 국정 유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 대체적으로 ‘국민의 기초·기본교육 책임’을, 검·인정 변경으로 선택한 경우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과정기준해석 및 구현’을 그 이유로 들었으며, 학년군별 교과용도서 발행제에 대해서는 ‘모든 학년에 같은 발행제를 취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의 경우 교과와 상관없이 국정 유지 필요성으로 국가차원 정책의 통일성 강화 및 운영의 효율성 도모와 교육 및 교과용도서 질 관리 등을, 검·인정 변경의 필요성으로 교육과정 기준 내의 내용 및 교수방...
TAG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policies on government-designated books, primary school, textbooks, 국정 교과용도서, 국정도서 정책, 초등학교, 교과서
Schwab의 이론에 대한 재해석: Hlebowitsh의 해석을 중심으로
전호재 ( Ho-jae Jeon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4호, 97~116페이지(총20페이지)
2005년 Schwab의 이론을 중심으로 세 명의 학자, 즉 Hlebowitsh, Westbury, Wright 간의 담론이 이루어졌다. Hlebowitsh은 교육과정 역사의 중요한 학자들인 Bobbitt, Tyler, Schwab의 이론이 연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Westbury는 Hlebowitsh가 Schwab의 이론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잘못된 이해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그리고 Wright는 Hlebowitsh의 목적이 Schwab의 이론에서 발전한 재개념주의를 약화시키고 Tyler 중심의 전통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설명한다. 이에 다시 Hlebowitsh는 Westbury, Wright의 글에 답을 한다. Hlebowitsh에 의해 시작된...
TAG Hlebowitsh, Schwab, Tyler, Practical, practical curriculum, 실제적 교육과정
교육과정 연구의 국제 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2010년 이후 AERA 학술대회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소경희 ( Kyunghee So ) , 허예지 ( Yae-ji Hu ) , 박지애 ( Jiae Park ) , 장연우 ( Yeon-woo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4호, 117~142페이지(총26페이지)
오늘날의 급속한 사회 변화는 기존의 관점과 연구 틀로는 교육과정 현상을 읽어내는 데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국제적인 학술 논의의 장에서는 다양한 관점, 이론, 방법론을 활용한 교육과정 연구가 활발히 발표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에 걸쳐 진행되어 온 교육과정 연구의 국제적인 동향을 메타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 세계 교육연구자들의 논문이 발표되는 ‘미국교육학회(AERA)’ 연차학술대회의 교육과정 분과에서 최근 10년간(2010~2019년) 발표된 436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이론적 관점,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교육과정 관련 현상을 정치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주류 헤게모니에 대한 비판과 저항’ 및 ‘세계화 및 탈식민화’가, 이론적 관점에 ...
TAG curriculum studies, research trend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AERA), Meta-analysis, 교육과정 연구, 연구동향, 미국교육학회(AERA), 메타분석
수업 첫 시간 교육과정: 체화되고 복잡한 교육과정 대화 시작하기
황순예 ( Soon Ye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4호, 143~169페이지(총27페이지)
대학 수업에서 학기의 첫 시간은 흔히 본 수업에 앞서 수업에 대한 안내 및 소개가 이루어지는 부수적인 시간이자 이후 수업의 성공적 진행을 도울 효과적인 수단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저자는 이러한 기술공학적 시각에서 벗어나 첫 시간을 한 학기동안 이어질 복잡한 교육과정 대화를 시작하는 시간으로 이해하며 (교사와) 학생들을 행위의 주체이자 몸-존재로 전제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해에 기반 한 교육활동을 구상하고 실행해보고자 했던 저자 본인의 교사로서의 실천 경험의 의미에 대한 자서전적-철학적 탐구의 결과이다. 저자의 사범대 수업에서 학생들은 수업 첫 날 원형으로 앉아 서로의 이야기에 응답하며 교실 전체를 가로지르는 관계망을 만드는 가운데 자신을 소개한다. 또 그 경험에 대한 예술적 표현을 통해 각자의 배움의 의미를 고찰하고 공유한다. 이러한 교육과...
TAG first day of the semester, introduction activity, embodiment, curriculum as complicated conversation, doing currere-philosophy, 학기 첫 수업, 소개 활동, 체화, 복잡한 대화로서의 교육과정, 쿠레레-철학하기
한 교육과정 교육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탐구
양영자 ( Young-ja Y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4호, 171~200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 교원양성교육과정 참여자, 교육과정 교과목 교수자, 교사교육자로 살았던 연구자의 삶과 교육경험을 연구한 자서전적인 탐구이다. ‘나의 교육과정 교육경험의 본질은 무엇이었으며,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쿠레레 방법을 통해 자료를 생성하고 수업 관련 질적 자료를 분석해서, 다음의 일곱 가지 주제로 자기 이해를 개념화했다. 교육과정으로 들어온 길의 초입, 교원양성교육과정 참여자로 겪은 저항과 순응의 이야기, 교육과정 수업 기획 변화의 계기와 의미, 교육과정 교육자로서의 내적 분투와 예비교사라는 거울, 수업이 예비교사에게 미친 영향과 교사교육자로의 성장, (예비)교사에게 다음세대를 부탁할 교사동역자로서의 사명 각인의 계기, 사회경제적 지위의 불안정성에 대한 해석 등이다. 이 연구는 쿠레레를 통해 변화의 유익도 경험하고 자기 ...
TAG teacher training institute, curriculum subjects, teacher educator, autobiographical Inquiry, the method of currere, 교원양성교육기관, 교육과정 교과목, 교사교육자, 자서전적 탐구, 쿠레레 방법
자유발행 적용 인정교과서의 질 관리 방안 시론
박창언 ( Changun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4호, 201~218페이지(총18페이지)
2017년 이후 자유발행 교과서 제도에 대한 법률과 시행령 일부 개정 입법 예고가 이루어지면, 정책적으로도 자유발행 교과서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초·중등교육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인 상황에서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을 일부 개정하여 인정도서의 일부를 자유발행 교과서로 활용하려는 정책이 입안되고 있다. 자유발행 교과서는 창의성과 사회변화에 대응성은 높지만, 교과서의 질이 저하되는 것에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이 연구는 자유발행 적용 인정 교과서 제도 도입 취지를 살펴보고, 질 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교과서 질 관리와 자유발행 교과서 제도, 자유 발행 적용 인정교과서 정책의 주요 내용, 그리고 자유발행 적용 인정 교과서에 대한 질 관리 방안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TAG free-issue approved textbook, quality management, approved books, common standards, user evaluation, 자유발행 적용 인정교과서, 질 관리, 인정도서, 공통기준, 사용자 평가
J. S. Bruner의 교육론에 기반한 도덕과 교육과정 설계: 지식구조의 ‘발견과 구성’ 관계를 중심으로
이병기 ( Byoung-gi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4호, 219~242페이지(총24페이지)
도덕과 교육과정은 ‘자신이 현재까지 발견하고 구성한 도덕적 관점의 정당성’을 객관적 가치의 관점에서 계속 의심할 수 있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때 브루너의 전·후기 지식구조론(structure of knowledge)은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설계 방안을 모색할 때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브루너가 전·후기 이론에서 제시한 지식의 구조는 각각 발견(discovery)과 구성(constructive)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식구조의 발견과 구성은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하며 인간이 보다 진리를 향해 나아가는 정신 활동의 두 가지 양상을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지식구조의 발견과 구성 간 상호보완 관계에서는 ‘객관적 실재 지향의 구성주의 지식관’, ‘계열성을 확보한 반성적 회귀(reflective recursion)’, ‘탐...
TAG moral education curriculum design, J. S. Bruner, discovery of knowledge structure, construction of knowledge structure, 도덕과 교육과정 설계, 제롬 브루너(J. S. Bruner), 지식구조의 발견, 지식구조의 구성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의 실제적 구현: IBDP 사례
조현영 ( Hyun-young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4호, 243~269페이지(총27페이지)
최근 한국의 일부 시도교육청에서는 IB의 공교육 도입을 교육의 풍토를 바꾸기 위한 마중물로 활용하고자 하고 있다. IB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고 있는 교육의 방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도입 여부에 관해서 갑론을박이 뜨겁다. 이는 다양한 이유가 존재하지만 일면 IB가 추구하는 방향성과 방법적인 측면이 2015 개정교육과정과 상당 부분 유사하다는 점에서 기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와 이를 경험하는 학습자 경험은 왜 다른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IBDP의 평가 설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IBDP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최근 새롭게 규정된 OECD의 역량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IBDP의 교육과정이 어떻게 이러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지 검토해...
TAG IBDP, competency assessment,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lf-directed learning design, Qualitative evaluation, 역량평가, 역량기반교육과정, 자기주도적 학습설계, 질적평가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개념 탐색
김란주 ( Lan-ju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9] 제37권 제3호, 1~28페이지(총28페이지)
‘심미적 감성 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가지 핵심역량 가운데 하나이다. 국가 교육과정에 도입된 심미적 감성 역량을 교과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에서 제대로 구현하고 실제로 함양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탐색과 논의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심미적 감성 역량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설정되어 있는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개념과 맥신 그린(Maxine Greene)의 심미적 교육과정이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함으로써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개념을 보다 명료하게 정립하고 공동의 이해를 확장해나가기 위한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심미적 감성 역량은 문화 역량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예술 역량으로 해석되면서 교육과정에서 소극적이고 주변적...
TAG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y, 2015 Revised Curriculum, Maxine Greene, imagination, 심미적 감성 역량, 2015 개정 교육과정, 맥신 그린, 상상력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