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11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사 행위주체성: Butler와 Bhabha의 수행성 관점을 중심으로
엄수정 ( Su Jung U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3호, 57~77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Judith Butler와 Homi Bhabha가 제안한 행위주체성의 수행성 측면을 토대로 교사의 교육과정(재)구성에 있어 수행적 행위주체성이 지니는 중요성과 의미를 탐색하였다. 먼저, 행위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담론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수행적 행위주체성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수행성에 대한 Butler와 Bhabha 이론을 토대로 수행적 행위주체성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후에 수행적 행위주체성 개념을 교육 영역으로 확장시켜 논의하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하여 상충된 기대와 요구, 욕구에 어떻게 대응하며, 수행적 행위주체성 개념이 그러한 교사의 교수적 실천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가능성을 제고하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가 수행적 행위주체성 개념을 사용할 때, 교...
TAG teacher agency, performative agency, performativity, curriculum reconstruction, post theories, 교사 행위주체성, 수행적 행위주체성, 수행성, 교육과정 재구성, 포스트 사상
교사들의 공동교육과정 운영과정으로 본 교사의 자율권 분석: 미국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신경희 ( Kyunghee Shin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3호, 79~101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공동교육과정 운영 경험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미국 중서부 M 지역에 위치한 N 초등학교 2학년 교사 3명을 면담하였다. N 초등학교에서는 동학년 교사들이 서로 협력하여 학년공동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N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년공동교육과정의 기본 방향부터 구체적인 학습 자료까지 함께 논의하여 결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공동교육 과정 설계 및 운영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개인적 자율권과 집합적 자율권을 신장시켜 나가고 있었다. 또한 이들의 공동교육과정 운영은 지속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 교사들과의 면담 결과 지속 가능한 공동교육과정 교육과정 운영의 이면에는 교사들의 자율권과 독립성 보장, 같은 학년에 장기간 근무 한다는 점, 학교의 물리적 가상적 제도의 ...
TAG common curriculum, American teacher education, teacher professionalism, teacher, autonomy, 공동교육과정, 미국 교사, 교사 전문성, 교사 자율권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에 관한 국외 사례 고찰
김영은 ( Youngeun Kim ) , 노은희 ( Eunhee Noh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3호, 103~129페이지(총27페이지)
교육부는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과정 실행을 위하여 2022학년부터 고교학점제 도입과 이와 관련한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초반에 학생의 선택권 확대 및 다양한 과목 개설을 중심으로 논의되다가 점차 학점 취득 및 교과 이수 기준의 설정, 졸업 제도 관련 논의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고교학점제는 교육과정 선택, 이수 및 평가 기준 설정, 졸업 제도 마련을 주요 실행 요건으로 삼고있다. 이 가운데 해당 과목에서 어느 정도 또는 어느 수준의 학습 성취를 보였을 때 그 과목을 이수한 결과로 학생에게 학점을 부여할 것인지에 대한 교과 이수 조건 설정은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선결 조건에 해당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의 고교학점제 시행에 앞서 오랜 기간 고등학교에서 학점제를 운영해 오고 있는 국외 사례를 살펴 교과 이수...
TAG high school credit system, course completion criteria, non-completion, credit recovery,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 미이수, 재이수
P. H. Hirst의 전기와 후기 논의에 대한 재고찰을 통한 교과 지식과 역량의 관계 탐색
한혜정 ( Hyechong Han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3호, 131~15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Hirst가 전기 논의에서 옹호했던 ‘지식의 형식’과 후기 논의에서 지식의 형식의 대안으로 제시했던 ‘사회적 실제’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교과 지식과 역량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것으로부터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그 결과, 사회적 실제는 지식의 형식을 정당화해주는 근거로서 지식의 형식과 층위가 다른, 교육목적이나 목표 층위의 개념이라는 점, 이러한 지식의 형식과 사회적 실제의 관계는 교과 지식과 역량의 관계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바, 교과 지식이 교육내용 층위의 개념이라면, 역량은 교과 지식을 정당화하는 근거로서 교육목적이나 목표 층위의 개념이라는 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론에 의거하여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핵심역량이든 교과 역량이든 역량은 교육내용이 ...
TAG liberal education, forms of knowledge, social practice, subject knowledge, compet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knowledge and competence, 자유교육, 지식의 형식, 사회적 실제, 교과 지식, 역량, 교과 지식과 역량의 관계
교과와 수업: 불교 인식론적 관점
이치형 ( Chihyung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3호, 157~179페이지(총23페이지)
이 글의 목적은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교과의 내면화 과정을 인식론, 특히 불교 인식론의 관점에서 탐색하는 데에 있다. 불교 인식론은 표층수준과 심층수준으로 구분하여 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우리의 인식과정은 표층과 심층의 상호작용을 통한 역동적인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는 체계가 밑바탕이 되어, 교과의 내면화 과정을 우리의 인식의 심층부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아려야식을 근간으로 하여 설명되는 불교 인식론에 의하여, 교과를 세계와 마음과의 관련으로 설명하는 것이보다 용이하게 되며, 이는 그동안 메논의 파라독스로 불리며 학습―교과의 내면화―에 대한 설명의 난점으로 작용한 ‘최초의 지식’에 대한 논란을 해소하는 데에 있어서도 상당 부분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교과를 매개로 하여 ...
TAG subjects, classes, Meno, s Paradox, internalization of subjects, Buddhist epistemology
‘교육과정 연구: 글로벌, 국가, 로컬 수준에서의 균형적 탐구를 향한 노력’
성열관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2호, 1~4페이지(총4페이지)
이 글의 목적은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교과의 내면화 과정을 인식론, 특히 불교 인식론의 관점에서 탐색하는 데에 있다. 불교 인식론은 표층수준과 심층수준으로 구분하여 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우리의 인식과정은 표층과 심층의 상호작용을 통한 역동적인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는 체계가 밑바탕이 되어, 교과의 내면화 과정을 우리의 인식의 심층부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아려야식을 근간으로 하여 설명되는 불교 인식론에 의하여, 교과를 세계와 마음과의 관련으로 설명하는 것이보다 용이하게 되며, 이는 그동안 메논의 파라독스로 불리며 학습―교과의 내면화―에 대한 설명의 난점으로 작용한 ‘최초의 지식’에 대한 논란을 해소하는 데에 있어서도 상당 부분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교과를 매개로 하여 ...
OECD PISA의 의도와 실제 간 차이 탐색: 교육과정 개혁에 대한 권력 효과를 중심으로
김종훈 ( Jongh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2호, 5~26페이지(총22페이지)
이 글은 글로벌 교육개혁에 대한 OECD의 의도와 그것이 국가 교육 차원에서 실제로 구현된 양상 간의 차이를 탐색하고, 이러한 차이가 무엇으로부터 기인했는가를 살피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OECD는 핵심 역량과 PISA가 다양한 주체 간 합의의 산물임을 강조하고, PISA를 통해 각 참여국에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이로써 각국의 교육개혁을 위해 도움을 주는 것이 그들의 본래 의도임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도와 달리, PISA가 시행됨에 따라 역량을 중심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교육과정이 수렴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OECD는 국가 교육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가 교육에 대한 OECD의 간섭과 개입은 역설적으로 교육개혁에 대한 권한과 책무를 각국의 정부에 집중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TAG OECD, PISA, intention and reality in education policy, curriculum reform, power effect, 경제협력개발기구, 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 교육정책의 의도와 실제, 교육과정 개혁, 권력 효과
사회문제의 교육문제화 현상 비교연구: 1990년대 한국과 프랑스의 시민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영일 ( Youngsil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2호, 27~53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의 동력으로서 사회의 문제를 교육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의 교육문제화 현상에 주목하고, 이와 관련해 사회가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대를 전후한 한국과 프랑스의 시민교육 관련 담론들을 Bernstein의 교육적 담론의 문법 방법론에 입각해 살펴보았다. 두 나라 모두에서 중요한 사회적 이벤트들과 관련해 생성된 담론이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데에는 현 상황을 국가적 위기라고 진단하거나 과거 사회의 모습을 미화하는 등의 담론적 전략이 활용되었는데, 이는 제안된 담론의 사회적 중요성 전파에 기여하였다. 사회의 문제를 교육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는 한국과 프랑스 모두에서 교육과정 개정으로 귀결되었다. 하지만 프랑스의 경우, 사회의 요구가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과정에서 교육의 장이 대안적인 ...
TAG Sociology of curriculum, citizenship education, comparative study, Bernstein`s grammar of pedagogic discourse, relative autonomy, 교육과정 사회학, 시민교육, 비교연구, 번스타인의 교육적 담론의 문법, 상대적 지율성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박수련 ( Sooryun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2호, 55~79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교육과정의 내용이 질 높게 구현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교과서 개발자의 경험을 분석하고, 향후 교과서 개발의 개선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음악 교과의 중등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경험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총론)의 개정사항에 따라 역량교육을 위한 내용 및 활동을 구성하고, 교과 교육과정(각론)의 학습 내용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과 교육과정의 구체화 수준에 따라 내용체계표는 ‘형식적이고 모호하게 구현’되었으며, 성취기준은 ‘절대적 지침이자 하나의 기준’으로 반영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교과...
TAG curriculum, textbook, developing textbook, 교육과정, 교과서, 교과서 개발
과목선택권 확대를 통해 본 학습자 주도성의 의미 재고: S고 학생들의 공동교육과정 경험을 중심으로
박진희 ( Jinhee Park ) , 김빛나 ( Bitna Kim ) , 박운재 ( Unjae Park ) , 조현영 ( Hyeonyeong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2호, 81~104페이지(총24페이지)
역량기반의 학습자중심맞춤형 교육으로 교육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2025년 고교학점제가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가 표방하는 과목선택권의 확대가 어떻게 역량기반교육과정의 학습자 주도성 확대방안으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공동교육과정 사례분석을 통해서 학습자 주도성이 학습자들에게 경험되는 조건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공동교육과정 참여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결과 학생들의 공동교육과정에서의 경험은 정규수업과 달리 개별화되고 서사화된 삶의 경험이었으며, 상대평가에서 자유로워지면서 과제에 몰입하고 이를 통해 자기인식을 가능하게 한 경험이었다. 또한 시행 초기 덜 구조화된 수업의 불확실성 속에서 오히려 도전적인 활동이 가능했고, 이 안에서 학생들은 삶에 대한 주체적 태도가 증진되었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연...
TAG Student agency, subject selection right, interschool common curriculum, process-oriented assessment, high school credit system, 학습자 주도성, 학습자 행위주체성, 공동교육과정, 과목선택권, 과정중심평가, 고교학점제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