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11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속되는 현상유지성(Status Quo)과 한국의 다문화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김용한 ( Youngha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57~81페이지(총25페이지)
단일민족을 자랑해왔던 한국 사회는 인종적, 민족적으로 다양한 다문화 사회로 전환해가고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020년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이 마지막으로 포함됨에 따라 초·중·고 전 학년에 걸쳐 적용되게 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 결과, 다문화 교육자들이 주장하는 가치 및 원칙은 소수의 몇몇 교과의 교육과정에만 적용되어있으며 다문화 콘텐츠가 포함된 교과도 주로 조화 및 관용만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수자의 관점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는데 이는 논쟁적인 문제를 피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태도는 다문화 사회를 조성하기보다는 기존의 상태를 지속하려는 입장이다. 국가 교육과정에 다문화 관련 ...
TAG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ism, 2015 curriculum revision, immigration, critical theory, 다문화교육, 다문화주의, 2015개정 교육과정, 이주민, 비판이론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교육과정의 과제
황규호 ( Gyuho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83~106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사태 이후의 교육의 변화에 부합하는 국가교육과정의 대응 과제들을 점검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로 인한 교육 분야의 변화 양상과 포스트 코로나 교육에 대한 여러 전망들을 개관해 보고, 이를 기초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대응 과제들을 기존 교육활동을 회복하고 유지하기 위한 위기관리 과제와 기존 교육 실천에 대한 성찰과 점검의 과제로 나누어 점검해 보았다. 교육과정 대응 과제들은 수동적 입장에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과제와 미래 변화를 능동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과제를 포함해야 하며, 변화해야 할 것과 변화하지 말아야 할 것을 구분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의미를 재난 대응으로서 포스트 코로나 교육, 에듀테크 일상화로서의 포스트 코로나 교육, 미래 사회변화 대응으로서의 포스트 코로나 교육으...
TAG post-COVID curriculum, curriculum revision for future education, AI literacy education, 포스트 코로나 교육과정, 미래 교육과 차기 교육과정 개정, AI 기초소양 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관한 실체 및 대안의 탐색: Wilson의 통섭 및 창의성을 중심으로
최욱 ( Wook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07~129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대한 유용한 안내와 지침이 실체적으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총론, 각론,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등에 반영되었는가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제시된 연구문제와 직결된 문헌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 교육과정의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에 실현가능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대안을 WIlson의 통섭, 창의성이론 및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1) 총론과 각론에서 창의융합에 관한 통론, 2) 총론에서 창의융합의 지향점, 3) 총론에서 융합의 개념화, 4) 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에서의 융합의 실체 등의 논제를 바탕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 교육과정에서 천명된 창의융합형 인재 개발에 관한 서술과 제시가 각 교과별교육과정에 ...
TAG Talents with creativity and convergence, consilience, congruence, creativit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창의융합형 인재, 통섭, 융합, 창의성,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개혁 실천에 있어서 교사들의 ‘의미-만들기(sense-making)’ 과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
소경희 ( Kyunghee So ) , 박지애 ( Jiae Park ) , 최유리 ( Yuri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31~155페이지(총25페이지)
국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일련의 교육개혁의 흐름 속에서, 교육개혁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교육개혁에 대한 이해 및 해석의 과정은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국가 주도의 교육개혁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에는 필연적으로 그 개혁 메시지에 대한 해석, 즉 ‘의미-만들기(sense-making)’ 과정이 동반된다고 보고, 이러한 교사들의 의미-만들기의 과정 및 그 구성 요인들을 개념적으로 이해해 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여러 학문 분야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교육개혁 맥락에서 점차 주목해 온 의미-만들기 개념에 대한 국외의 여러 논의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이 연구는 교육개혁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은 개혁 메시지의 단순한 전달이라기보다는 교사 편에서의 적극적인 해석과 번역 과정이 연루된다는 점에서 해석적 실천, 즉 의...
TAG sense-making, teachers, sense-making, educational reform, educational reform policy documents, 의미-만들기, 교사의 의미-만들기, 교육개혁, 교육개혁 정책 문서
교사와 교육과정: 교육과정학의 지평 확대를 위한 담론 모색
노진아 ( Jina Ro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57~179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교사와 교육과정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담론을 제시하고, 이러한 담론이 국내 교육과정학의 지평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 담론은 교사전문성 분야의 최근 주요논의들을 종합하여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교사와 교육과정의 관계를 설명한다. 첫째, 교사를 공식 교육과정의 충실한 실행자로 간주하는 관점이다. 둘째, 교실 맥락에 맞게 공식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강조하는 조정자로서의 교사 관점이다. 셋째, 공식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연구와 재해석을 통해 정의로운 교육을 추구할 것을 강조하는 혁신가로서의 교사 관점이다. 연구자는 이 담론을 활용하여 향후 교육과정의 실사용자인 교사를 고려한 국가교육과정 개선, 국내맥락에서 사회정의지향교육의 의미와 방법론 탐색, 교육과정의 주체적 활용자이자 사회정의를 지향하는 교사양성을 위한...
TAG curriculum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eacher professionalism, teaching for social justice, 교육과정학, 국가교육과정, 교사전문성, 사회정의지향교육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관한 초등교사의 비판 양상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81~20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읽는 비판적 양상과 그들이 생성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비판‘을 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문해력으로 보고, 텍스트학으로부터 교육과정 비판 범주를 추출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비판 행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교육과정 비판 범주인 미시구조적 차원, 거시구조적 차원, 초구조적 차원, 즉 모든 차원에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적으로 읽고 있었다. 교사들은 자신이 처한 교육과정 외적 세계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비판적 읽기의 결과물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로써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 문서에 대항하여 자신만의 문서를 형성하는 것까지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G curriculum literacy, curriculum criticism,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교육과정 문해력, 교육과정 비판, 국가 교육과정 문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 및 유형 탐색: 교육과정 자료 사용 및 동료와의 소통을 중심으로
이윤미 ( Yunmi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207~236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자료 사용 및 동료와의 소통 양상 측면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교육과정 실행 양상과 유형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사용 측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혁신학교 교사, 1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교과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른 교사의 수업 사용 측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3학급 이하에서 근무하는 중, 고등학교 교사, 1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사의 수업 모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기준 사용 측면에서는 10년에서 2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사의 성취기준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료와의 소통 측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혁신학교 교사, 19학급 이상의 규모에서 근무하는 ...
TAG curriculum implement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type, curriculum reorganization, innovative school, standards autonomy, 교육과정 실행, 교육과정 실행 유형, 교육과정 재구성, 혁신학교, 성취기준 자율권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 넘치는 수사와 빈약한 제도 사이에서
성열관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3호, 1~5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자료 사용 및 동료와의 소통 양상 측면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교육과정 실행 양상과 유형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사용 측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혁신학교 교사, 1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교과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른 교사의 수업 사용 측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3학급 이하에서 근무하는 중, 고등학교 교사, 1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사의 수업 모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기준 사용 측면에서는 10년에서 2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사의 성취기준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료와의 소통 측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혁신학교 교사, 19학급 이상의 규모에서 근무하는 ...
학교교과목 개발 절차에 관한 사례 연구
김세영 ( Seyoung Kim ) , 이윤미 ( Yunmi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3호, 7~3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의 학교교과목 개발 사례를 통해 교사의 학교교과목 개발 과정이 어떠한지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학교교과목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D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사의 학교교과목 개발 절차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D초등학교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여섯 단계로 학교교과목을 개발하였다: 1) 토대 구축, 2) 요구 분석, 3) 고안, 4) 배치, 5) 공식화, 6) 세부자료 개발. 교사의 학교교과목 개발 과정은 교사가 개발과 실행의 주체인 만큼 현 교과의 적용보다 역동적·순환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사가 개발한 학교교과목은 국가교육과정과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었으며, 교사는 성취기준을 개발할 때 구체적인 수업 내용과 활동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국가교육과정 성취기준 개발 절차와 차이를 보였다.
TAG school subjects, subject matter, curriculum research, 학교교과목, 교과, 교육과정 연구
대학-학교 간 협력적 관계에서 개발된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분석연구 :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이론을 바탕으로
박영진 ( Youngjin Park ) , 장인실 ( Insil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3호, 33~56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교육국제화특구 내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PDS의 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다문화 밀집 지역 및 학교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osner(1994)의 분석이론을 바탕으로 2017년∼2019년까지의 3개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학생 비율 증가로 교육과정의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 교육국제화특구 및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지정을 시작으로 학교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둘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는 대학과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며, 다문화 밀집 지역 및 학교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구조적 변화를 시도하며, 학교 상황에 적합한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설계·실행하였다. 셋째, 학교별교육과정을 다문...
TAG PDS, multicultural innovation school, cooperative curriculum, 다문화국제혁신학교, 교육과정 개발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