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11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협동 역량 증진을 위한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의 개선 방안 탐색
박지혜 ( Jee-hae Park ) ,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3호, 1~27페이지(총27페이지)
사람을 사람답게, 사회를 사회답게 만들기 위해 공교육을 하는 학교에서는 학생의 협동 역량을 신장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을 통해 협동 역량을 기르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협동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교육과정기준은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주요한 주제나 개념의 교육적 실천 가능성과 효과를 가늠하여 총론 문서에 안착시키기 위해 미리 개발해보는 ‘가교교육과정기준’ 개발 모형에 따라 가안-초안-수정안-최종안-적용안의 다섯 단계에 걸쳐 개발하였다. 시안적으로 개발한 가안을 바탕으로 초안을 작성하여 자문진의 검토 및 전문가 의견 조사를 거쳐 수정안으로 개발하고, 심의진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수정안을 축조·심의하여 최종안으로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안의 내용을 2015...
TAG cooperation, competencies,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bridging curriculum standards, 협동, 역량,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기준 개발, 가교 교육과정기준
교사들이 형성한 ‘공동체’의 의미: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연계와 협력에 대한 사례 연구
김종훈 ( Jong-h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3호, 29~47페이지(총19페이지)
이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연계와 협력의 과정을 토대로 교사들이 형성한 공동체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자발적으로 조직·운영 중인 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사례를 바탕으로, 공동체에 대하여 교사들이 형성한 의미가 무엇인지, 그 의미에 드러난 주요 특징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에게 있어 공동체는 ‘핵심적인 질문이 이끌어가는 모임’,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의사소통의 장’, ‘일상적 삶에 개입된 결정적 사건’, ‘가치 발견과 의미 획득의 공간’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더불어 공동체에 대한 교사들의 의미형성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발견되었다. 첫째, 공동체에 대한 의미는 교사의 연구와 실천의 반복과 순환,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양자를 통합해 가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둘째, 공동체에 대한 교사의 의미형...
TAG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mmunity, meaning-making, teachers,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교사학습공동체, 공동체, 의미형성, 교사, 연계와 협력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Personalized Learning)의 개념과 성격: 미국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선영 ( Seon-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3호, 49~70페이지(총22페이지)
미래 교육과 관련한 국내 교육 기관 연구보고서들을 살펴보면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학습을 미래 교육의 키워드로 제안하고 있다. 이 결론에 이르기까지 연구보고서들이 참고한 내용이나 예로 든 해외 사례들을 보면 대부분 영어로 Personalized Learning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개념 및 성격 규명은 아직 우리나라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을 통해 Personalized Learning의 개념을 규명하고, 연구자가 직접 탐방한 미국의 7개 학교 사례를 통해 그 성격을 밝혔다. 논의를 종합하여 연구자는 Personalized Learning을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하여 교사의 지원 속에서 학생이 주체적인 의사결정자가 되어 본인의 흥미와 필요에 맞게 교육과정을...
TAG Personalized Learning, Student-centered, Online Learning Platform, Active Learner,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 학습자 중심, 온라인 학습 플랫폼, 적극적인 평생학습자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 과제 탐색
황규호 ( Gyu-ho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3호, 71~91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과 관련하여 고등학교 교육과 대학 교육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들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교육과 대학교육의 연계성과 관련된 주요 논의 과제들을 미국의 8년 연구와 KEDI 8년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한 후,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를 위한 과제를 대학입학전형 제도와 관련된 과제와 고교 및 대학의 교육과정 개선과 관련된 과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대학입학전형제도 측면에서는, ‘고교 교육 정상화’를 이유로 대학별 전형방법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온 기존의 접근에서 벗어나, 고교 교육과정이 길러주고자 하는 고등사고능력의 함양 여부를 중심으로 고교 교육 정상화의 의미를 재규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대입제도의 방향을 종합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개선 측면에서는...
TAG articulation between high-school and college education, eight year study, college admission policy reform, normaliza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고교-대학 교육 연계, 8년 연구, 대입제도 개선, 고교교육 정상화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PBL)에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관찰 분석: 상황주의 교수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김민정 ( Min-jung Kim ) , 조현영 ( Hyun-young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3호, 93~118페이지(총26페이지)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PBL)은 지식중심의 탈맥락적 학습에서 벗어나 실제 임상 문제를 중심으로 문제해결력 및 의사소통 기술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자 중심의 참여형 수업이다. 최근 교육과정에서 현장역량기반의 수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됨에 따라 교수학습설계에서 실제 맥락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PBL)에서의 학습자 경험을 상황주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중심학습(PBL)을 학습자 중심의 맥락적 설계로 더욱 정교화하기 위한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현상학적 사회학의 질적 연구 방법인 민속방법론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문제해결과정을 미시적으로 관찰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문제해결과정은 실제 임상 문제를 다루는 맥락적 경험이 아닌, 일...
TAG problem-based learning, situationalism, contextual instruction-learning design, ethnomethodology, medical education, 문제중심학습, 상황주의, 맥락적 교수설계, 민속방법론, 의학교육
국내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장봉석 ( Bong Seok J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2호, 1~24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하브루타 학습 모형을 적용한 뒤 그 효과를 보고한 국내 선행연구 중 17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 학습이 학생 발달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범주형 변인(학술지 게재 여부, 종속변인 유형, 인지적 영역 유형, 정의적 영역 유형, 학교급, 교과, 성별, 학생 성취 수준, 하브루타 학습 모형, 하브루타 학습 오리엔테이션, 교수자의 사전 연수 참여 경험)에 따른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셋째, 연속형 변인(학년, 운영기간, 운영횟수)에 따른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 크기는 얼마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 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513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
TAG 하브루타 학습, 교수학습, 학생 참여형 수업, 교육과정 개발, 메타분석, havruta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student-participatory class, curriculum development, meta-analysis
국제공인 유·초등학교 교육과정(IB PYP)의 특징과 시사점 탐색
임유나 ( Yoona Lim ) , 김선은 ( Suneun Kim ) , 안서헌 ( Seoheon Ahn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2호, 25~54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국제공인 유·초등 교육과정인 IB PYP(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의 특징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IB 교육과정 전반과 PYP 교육과정, PYP를 도입한 학교 교육과정 문서들을 총론적, 각론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IB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되는 ‘IB 학습자상’은 중요 지식과 기능 습득, 개념적 이해 개발,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 능력이 균형 있게 개발된 인간상을 담고 있었으며, 이에 PYP는 총론적 차원에서 '지식, 개념, 기능, 태도, 행동'을 학습 구성의 필수 요소로 설정하고 구체화하였다. 학교교육은 크게 교과를 통한 학습과 초학문적 주제중심 ...
TAG IB, PYP, 국제공인 교육과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초학문적 접근,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Primary Years Program (PYP), internationally approved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ransdisciplinary approach
교육과정 통합의 의미: 니체의 관점을 중심으로
엄인주 ( In-ju Eom ) , 유재봉 ( Jae-bong Yoo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71~90페이지(총20페이지)
교육과정 통합의 의미는 지식과 삶의 통합이라는 이론적 문제와 인간 내면에서의 통합이라는 두가지 통합의 원리에 대한 탐구에 의존한다. 니체는 지식이 삶과 분리되어 절대적 진리나 형이상학적 실재에 봉사하는 것을 우려한 학자로서, 그의 철학은 흔히 '삶-철학'으로 명명된다. 니체의 삶-철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 가능하다. 하나는 니체의 삶-철학이 지식과 삶을 서로 분리된 것으로 취급하여 지식이 삶에 봉사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지식과 삶을 횡적으로 관련짓는다. 이러한 관점은 듀이의 생활교육과 관련되며 지식은 삶을 위해 활용되는 것이나 유용한 도구가 된다. 니체의 삶-철학에 대한 다른 해석은 니체가 삶의 기준이 삶과 분리된 초월적인 것에 머무는 것에 문제의식을 가졌다고 해서 기준이란 없는 것이라는 말을 하려고 한 것은 아니라 오히려 기준이 사라진 허무주의를 극복...
TAG 통합 교육과정, 니체, 삶-철학, 아폴론과 디오니소스, 내면의 통합, Integration of curriculum, Nietzsche, Life-philosophy, Apollo and Dionysus, Integration in mind
국가교육과정 총론의 교육목표의 위계적 타당성 검토
백혜조 ( Hei-jo Baik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1~23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국가교육과정에서 추상적인 교육이념으로부터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제시한 것이 위계적으로 타당한가를 역대 국가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 그 개선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위계적 타당성을 분석해본 결과 네 가지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첫째, 법률과 기준 문서, 기준 문서 내 교육목표 구체화 과정에 나타난 상하위 항목간 위계성이 부족하고 항목간 단절이 있다. 둘째, 교육목표 구체화 과정상의 각 항목들은 그 개념 정의나 기능이 불분명하며, 각 과정이 다음 단계를 이끌어낼 수 있을 정도의 확장성과 파생력이 약하다. 셋째, 교육목표 구체화 과정에서 내용상 그 논리에 있어 차례나 단계를 따르지 못하는 누락과 비약(飛躍)이 나타나고 있다. 넷째, 결과적으로 교육과정 문서의 교육 방향과 목적 제시 부분은 위계적 타당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항...
TAG 국가교육과정, 교육의 방향과 목표, 교육목표의 위계성, 교육비전, 지향하는 사회상, 총괄목표, 학년군별 목표, 영역별 목표, 위계적 타당성, national curriculum, the part presenting directions and objectives, forming process for deriving the objectives of education, philosophy of education, educational visions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조현영 ( Hyun-young Cho ) , 손민호 ( Min-ho Shon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8] 제36권 제1호, 197~218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남호주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고교 학점제 운영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점제 운영과 관련해서 주목할만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학점제 운영의 취지에 맞도록 선택과목뿐만 아니라 필수과목은 교과군으로 제시하여 학생의 여건이나 수준별로 선택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수 과목 수는 필수교과군은 최소화하여 학기당 5-6과목 이하로 하여 진로맞춤형 소교과 심층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학점제 운영은 이수기준의 설정과 적용 그리고 선택과목간 평가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전제로 하는 만큼 성취기준에 따른 절대평가로 운영하며, 이를 위해 평가 조정을 위한 노력과 이를 뒷바침하는 시스템이 발달되어 있다. 진로에 따른 선택과목의 운영인 만큼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진로의 설계와 성찰 그리고 진로 심화과정...
TAG 고교 학점제,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진로형 교육과정, 필수 및 선택교과, High School Credit System, General High School Curriculum, Career Education Curriculum, Essential and Optional Curriculum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