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55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新撰字鏡(신찬자경)』 주요 聲符(성부)의 異體(이체) 現像(현상) 考察(고찰)
김령경 ( Lyoungkyoung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275~310페이지(총36페이지)
필자는 지금까지 일본 헤이안 시대의 자서인 『新撰字鏡』에 수록된 이체자의 이체 유형과 부건을 분석하고, 각종 중요한 이체자, 특히 중국의 대형 자전에서도 다루지 않은 難字들을 가려내어 그 계통을 밝히는 작업을 해 왔다. 이 과정에서 新撰字鏡』의 이체자들이 중국의 이체자와 자형 변천 과정에서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양상을 보이지만, 일반적인 이체 규율로 규정지을 수 없는 독특한 이체자들도 즐비하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게 되었다. 이처럼 독특한 이체자형은 한편으로는 이 책의 가치를 높여주는 장점이 되지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이 책이 널리읽히고 연구되는 데 저해요소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필자는 『新撰字鏡』 연구의 첫 단계는 반드시 자형에 대한 연구, 특히 이체자에 대한 식자율을 높이고 정확한자형을 판별해내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본 논...
TAG 신찬자경, 이체자, 속자, 성부, 이체자류형, XinZhuanZiJing, variants, folk character, sound character, variant forms, 新撰字鏡, 異體字, 俗字, 聲符, 異體字類型
동아시아에서의 "千字文" 類 및 "蒙求" 類 流行과 漢字漢文 基礎敎育
심경호 ( Kyung Ho S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6권 7~45페이지(총39페이지)
본고는 한자한문 기초교육의 교재로 중시되었던 『千字文』과 『蒙求』가 한중일삼국에서 유행한 양상을 개괄하고, 각 지역의 교양 형성 방식의 차이에 따라 각각 상이한 속찬본이 편찬된 사실을 논하였다. 『千字文』은 형식면에서는 4언 고시 형식을 취하면서, 對仗, 押韻, 連綿字를 활용하여 한자한문 공부에 유용하였을 뿐만아니라, 서체의 교본으로도 이용되었다. 당나라 李澣의 『蒙求』도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교양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고려와 조선초에 智永『千字文』과 조맹부의 『千字文』이 많이 보급된 이후 『천자문』은 평측 공부의 자료로서도 활용하기 위해 판각 때 성조를 표시하되, 한국한자음의 특성에 근거하여 평성과 입성을 제외한 상성과 거성만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千字文』은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어 『千字文』의 1천글자를 序數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TAG 『千字文, 천자문』, 『蒙求, 몽구』, 『續蒙求, 속몽구』, 『本朝蒙求, 본조몽구』, 柳希春, 류희춘, Cheonjamun, Monggu, Sok-Monggu, Honcho-mogyu, Ryu Heechun
한자교육의 현안과 과제 -성격,목표,이론의 검토를 겸해-
김우정 ( Woo Jeong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5권 7~48페이지(총42페이지)
이 글은 학교교육 내부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한자교육의 성격 및 목표와 관련한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한자교육을 위한 방안을 이론적 배경과 아울러 살펴본 것이다. 전근대 시기 의심 없는 지위를 누리던 한자는 해방 이후 심각한 변화를 겪게 되었다. 팽배한 민족주의에 의해 일제의 잔재로 낙인찍히고 제한적인 수준의 언어교육을 통해 충직한 ‘국민’을 육성하고자 했던 국가주의에 의해 또다시 낡은 유물로 취급되었다. 이는 어문정책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한자교육의 필요와 효용에 대한 논란을 낳았으며, 사교육을 통한 한자능력의 습득을 부채질하였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있어서 언어교육의 일환으로 보는 입장과 한문교육의 기초단계로 보는 입장이 병존하고 있는 것도 따지고 보면 이러한 교과 외적 상황에 대한 대응방식의 차이...
TAG 한자, 한문, 한자교육, 어문정책, 교육과정, chinese characte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language policy, curriculum
「동원자이론(同源字理論)과 한자교육(漢字敎育)」
이경숙 ( Keoung Suk Lee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5권 49~77페이지(총29페이지)
본고에서는 同源字의 역사적 근원과 그 변천 양상, 그리고 同源字理論의 발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同源字理論을 근거로 同源字를 漢字敎育에 응용할 때,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 그 기초적인 작업을 하였다. 同源字의 근원은 訓古의 원리로부터 그 理論적 근거를 찾았다. 특히 訓古의 방법 중 聲訓의 방법은 同源字理論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聲訓의 특수한 기능 중의 하나는 사물의 이름으로 부터 연원을 탐구하는 것이다. 말의 근원을 탐구하여 그 말의 특징을 좀 더 쉽게 잘 이해할 수 있다. 이 聲訓의 理論은 다시 形聲字의 聲符에 대하여 연구한 右文說로 발전되었고 이는 聲符에 대한 치밀한 연구 결과와 결합되어 同源字理論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비록 同源字에 대한 그 연원 탐구는 고대에서부터 있어 왔고 이와 더불어 동원자 이론이 탄생되었으나 아직까지 同源字理論의 체계와 글자의 유기적인...
TAG 동원자, 同源字, 훈고학, 성훈, 우문설, 성부, 聲符, The Chinese character of having same origin,Exegetics, Interpretation of sounds, The Chinese character`s right characters, the sound characters of the Chinese character
한자문화학(漢字文化學)과 한자교육(漢字敎育)
양원석 ( Won Seok Ya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5권 79~109페이지(총31페이지)
漢字學與漢字敎育的目標與性質雖互不相同, 漢字敎育在漢字學的學術體系與理論中占有不小的基礎性比重. 因此, 在硏究漢字學理論的過程中, 調到和發現有用的漢字敎育的方法對漢字敎育領域來說也不失爲一種有效的硏究途徑. 在漢字敎育應該積極吸收漢字學各個領域的理論的認識下, 本稿擬以1990年代以後成爲漢字學一大硏究領域的漢字文化學爲焦點, 探討其硏究方法論在漢字敎育方面有那些應用. 在本論部分, 筆者先搜集整理了現行漢文敎科書中關于古代文化與漢字的關系的說明部分, 說明其對漢字敎育有所방助, 同時也指出了相關的一些問題. 然後, 探討了漢字類書籍將古代文化和漢字聯系起來講解的案例, 漢字的組成部分‘部件’的原義及其在漢字中的活用, 以及其與古代文化的關系. 以往對于漢字與古代文化的相關關系的硏究大都以一個完整的漢字爲主, 而如本稿所述, 探討‘部件’所帶有的字源和文化元素, 活用‘部件’ 以講解漢字及漢字文化, 進行漢字敎育的方法也是一種可行的有效手段.
TAG 한자문화학, 漢字文化學, 한자학, 한자 교육, 한문교과서, 부건, 部件, Chinese Characters Culturology, Chinese characters scienc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lassical Chinese textbook, bu-geon
초등학교한자교과서(初等學校漢字敎科書)의 실태(實態)를 통해 본 한자(漢字) 교육(敎育)의 문제점(問題點)
한은수 ( Eun Su H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5권 111~157페이지(총47페이지)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초등학교 학습자의 한자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날로 증대되었으나 초등학교 학습자를 위한 한자교육의 여건은 이전 교육과정과 비슷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실정에서 현재 전국 시·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고 있는 한자 교과서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을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문제점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2010년 이후 각 시·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은 12종의 한자 교과서 가운데 7종의 교과서를 검토하여 한자 교재의 일반적 현황과 특징적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자 교재의 일반적 현황으로서 각 교과서의 학습량과 단원 구성 방식, 문장 표기 방법, 단원 전개 유형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특징적 양상으로 창의·인성 교육과 한자문화권의 조화 두 가지 측면을 검토하였다. 이 특징적 양상은 모든 교과...
TAG 한자교육, 한자 어휘 교육, 국가수준 교육과정, 창의, 인성교육, 한자 문화권의 조화,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education, curriculum at nation-level, creativity and humanity education, harmony of zon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중(中),고한문교과서(高漢文敎科書)"한자(漢字)" 영역분석(領域分析) 및 구성방향모색(構成方向摸索)
김경익 ( Kyong Ick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5권 159~184페이지(총26페이지)
‘漢字’에 대한 지식은 한문 능력의 핵심 資質이다. 한자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하면 漢文讀解나 語彙학습의 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자가 지닌 본질적 가치와 더불어 학습자가 인식하는 한문 학습에서 한자 학습의 비중 또한 가볍지 않다. 학습자가 ‘한자’에 대해 지니고 있는 막연한 두려움과 학습 부담을 덜어내지 않으면, 성공적인 한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준수하여 집필된다. 하지만 각 교과서마다 전개 방식은 다르다. 개별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실행의 大綱을 짐작할 수 있다. 교과서 구성방식이 교수·학습 실행에 끼치는 영향은 至大하다. 한문 학습에서 차지하는 ‘한자’영역의 중요성과 교과서의 기능 및 역할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현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
TAG 한자, 한문 교과서, 교과서 단원 구성,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상관성, 교과서 구성 방향, chinese character, classical Chinese textbook,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direction of composition in the textbook
대학교양한자교육(大學敎養漢字敎育)의 현황(現況)과 교재분석(敎材分析)
이돈석 ( Don Suk Lee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5권 185~212페이지(총28페이지)
교양교육은 영어의 ‘liberal education’을 우리말로 번역한 용어로 자유 교육이 라고도 한다. 이는 사회적 유용성과는 거리가 먼 인간의 정신을 자유롭게 하는 교육이다. 현재 대학의 교양교육도 중세 대학 교양교육과 유사한 개념으로 전공 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기초 능력 배양과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수 있는 기본적인 교양을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 종래의 대학 교양 한문 강좌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문·사·철을 막론하고 한국·중국의 고전을 망라했던 ‘한문’ 강좌는 줄어드는 반면 ‘한자’ 강좌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교양’ 또는 ‘기초’라고 명명되었던 강좌명도 ‘실용’이나 ‘생활’로 바뀌고 있다. 이른바 지성의 전당이라는 대학에서도 한자가 어엿한 과목의 하나로 개설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
TAG 대학,교양,공공선수과,한자교육,과본, 大學,敎養,公共選修課,漢字敎育,課本, University, Cultu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extbook
교과서관련정책(敎科書關聯政策)의 변화(變化)와 한문교과서개발방향(漢文敎科書開發方向)
윤지훈 ( Ji Hun Yoo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5권 213~239페이지(총27페이지)
본고는 교과서 관련 정책의 변화와 그에 따른 한문 교과서 개발 방향에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교과서는 오랜 기간 학교 교육의 중심적인 교육 자료로 활용되어 오면서, 내용 체제와 외형 체제에 있어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였다. 교과서 관련 정책도 교수요목기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기인 현재까지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다. 현재 정부는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으로 전환’이라는 목표 하에 ‘참고서가 필요없는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란 교과서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정책은 ‘현행 교육과정을 토대로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등을 유도하기 위해 교과서 개선 및 지원 강화’와 ‘서책형 교과서와 연계한 디지털교과서의 개발로 언제, 어디서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 중심 학습환경 구축’이 주요 내용이다. 따라서 2015년에 개정...
TAG 한문교재,교재정책,교육과정,핵심력량,자기주도학습, 漢文敎材,敎材政策,敎育課程,核心力量,自己主導學習, Hanmun Textbook, The Textbook-linked policy, The Process of Education, Core Abilities, Self Directed Learning
漢字語彙意味把握經路
금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5권 241~265페이지(총25페이지)
이 글의 焦點은 학습자의 ‘漢字語彙’ 意味把握의 經路에 있다. 현행 교육과정에 따르면, ‘漢字語’, ‘한자 어휘’는 국어과의 어휘 교육, 한문과의 전 영역과 관련되는 학습 내용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漢文』, 『국어』 교과서에 기술된 한자 어휘 의미 提示방식을 비평적으로 분석한다. 주지하듯이, 교과서의 주요 機能가운데 하나는 교수의 節次와 학습의 過程제시라고 할 수 있다. 곧, 교사에게는 교수 절차를 案內하는 자료의 하나로, 학습자에게는 학습 과정을 紹介하는 자료의 하나로 교과서는 활용된다. 그런데, 한자 어휘의 경우, 교과서에 제시된 어휘의 의미[뜻] 제시 방식이 바로 학습자의 한자 어휘 의미 파악의 一次경로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 어휘의미 제시 방식을 통해 학습자는 한자 어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端緖와 ...
TAG 한자어휘, 한자어, 한자자의, 어의, 단어구조,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Sino-Korean word,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the meaning of a word, syntactical frame, 漢字語彙, 漢字語, 漢字字義, 語義, 單語構造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