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55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기획논문문(企劃論文): 한자문화권 한자교육의 실제 : 部首意符的敎育價値
황진하 ( Chen Ya Hua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7~23페이지(총17페이지)
부수는 전통적으로 한자의 검색도구였다. 한자의 자의를 드러내는 의부 중 상당수가 부수 내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적지 않은 사람들이 부수를 통한 한자 교육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정확한 분석 사실을 외면하고 있다. 우리는 약 3만개의 한자를 분석하여 그림으로 부수를 이해하는 것이 한자 학습을 교육하는데 적절한가를 살펴보았다. 만일 전부가 그렇지 않다면 어떤 부수들은 단지검색과 분류의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부수의 의부 혹은 성부 기능이 비교적 믿을만한가는 교육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분석을 통해 부수의 가장 첫 번째 기능은 검색이라는 것이 증명되었고, 일부 부수는 실제 표의의 기능이 아주 약하거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동일한 부수 내의 글자 내에서도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 것도 있었으며, 일련의 ...
TAG 한자교육, 부수, 의부, 중문자모, 표음 능력, Han Character education, Bushou, a radical or a component of Chinese character, semantic radical, Hanzi alphabet, phonetic effects Competence of Chinese Character, Mental Lexicon
기획논문문(企劃論文): 한자문화권 한자교육의 실제 : 小學語文敎材一二年級識字敎學理念及成效硏究
정국민 ( Guo Min Zheng ) , 황지군 ( Zhi Jun Hua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25~40페이지(총16페이지)
중국 고대 한자교육인 “識寫分流, 先認後寫”의 전통에 따라 “三, 百, 千”등 중국 전통 교재의 편찬 경험을 흡수하고 중국 현대 어문교육 연구의 성과를 병합하여 소학 1, 2학년 어문 교재는 아래와 같은 이념을 가지고 있다. (1)많이 알고 적게 씀으로써 아동들이 조기에 독립적으로 독해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 인식하고, 쓰고, 말하는 분별화된 교육이 하나로 합일되게 함으로써 서로 간섭되고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통해 최대한 상호 작용을 하도록 한다. (2)한자교육 교재는 최대한 아동들의 일상 언어 생활의 실제에 부합하도록 하여 아동들의 인지 발달에 가장 가깝도록 함으로써, 아동들의 언어 발전을 돕도록 한다. (3)일정한 양의 기본 한자를 인식한 후 병음을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한자에 대한 흥미를 만족시키고 조절함으로써 한자 병음의 어려움을 ...
TAG 소학어문교재, 1, 2학년, 한자교육 이념, 중복 누적 반응 효과, Chinese textbooks for primary schools, Grade 1 and Grade 2, the ideas of Chinese literacy education, multiple and positive effects, 小學語文敎材, 一二年級, 識字敎學理念, 多重積極效應
기획논문문(企劃論文): 한자문화권 한자교육의 실제 : 第一語和第二語中文寫作遇上構字困難所運用的彌補性策略
진영석 ( Wing Sat Ch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41~78페이지(총38페이지)
本文所觀察的現象是:八個具有中、英雙語能力的大學生,在第壹語中文寫作與第二語中文寫作,當遇上建構漢字困難時,他們用那種和즘洋用彌補性策略來應付行文要求. 結果在第壹語中文寫作조到三種,第二語的조到八種;而每種都有寫下的行文表述,也有寫作的同聲紀錄作慘考. 以中文作第二語學生的謀略較多, 他們盡量用相關的語言資源,包括所認識的漢字, 漢語평音, 英文평寫等都用上, 出現了單語和雙語的「漢字」形式;後者如借詞夾雜、語碼轉換等情況. 同時看到, 不同認知水平的寫作要求也是影響策略的因素.
TAG 문언어, 보상 전략, 본문 표현, 사고구술 프로트콜, 인지요구, Chinese writing system, compensatory strategies, Textual presentation, Think-aloud protocol, Cognitive demand, 書面漢語體系, 彌補性策略, 文本表述, 同聲紀錄, 認知要求
기획논문문(企劃論文): 한자문화권 한자교육의 실제 : 新加坡學前識字情況: 壹次硏究觀察與反思
진지예 ( Cheelay T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79~117페이지(총39페이지)
語言的使用與接觸對兒童的語言學習與發展有深遠的影響. 爲了能更精確地了解新加坡學齡前兒童的優勢語言,特別是本文關註的華文識字議題,本硏究從兒童在特定情境中的語言使用、與說華文的成人的接觸頻率、處於華文環境的時間長短以及兒童所獲得的讀寫幇助等層面切入,考察新加坡學齡前兒童的華文識字能力. 問卷調査與分析結果顯示,學前兒童的識字能力有改善空間,結果也能幇助我們檢視現行學前中心與家庭敎育的現狀與實踐. 本文最後提出改善新加坡漢字敎學的反思與建議.
TAG 한자 식별, 싱가폴 중국어 교육, 가정 언어 환경, PETALS 구조, Character Recognition, Singapore Preschool Chinese, Home Language Environment, PETALS framework, 漢字識別, 新加坡學前華文, 家庭語言環境, PETALS架構
기획논문문(企劃論文): 한자문화권 한자교육의 실제 : 20世紀前於越南漢字敎學之考察
려명항 ( Minhhang La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119~135페이지(총17페이지)
베트남은 한자문화권의 한 국가로, 이미 오래 전부터 한문화의 깊은 영향을 받았다. 베트탐의 외교와 행정 교류, 과거, 시문의 창작 등 생활의 각 방면에서 베트남인들은 한자와 한문의 생활을 하였다. 특히 베트남인들은 여전히 한자와 한-쯔놈의 서적을 국내외의 여러 도서관과 장서관에 보존하고 있다. 한-쯔놈 서목의 통계와 한-쯔놈 이중 언어 사전을 편집하는 과정 속에서 베트남에서 오랜 동안 시행되었던 한자교육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TAG 쯔놈, 한-쯔놈 서적, 이중언어사전, 한자교육, Nom character, Han nom documents, Bilingual dictionary, Chinese character Teaching, 남字, 漢남書籍, 雙語詞典, 漢字敎學
기획논문문(企劃論文): 한자문화권 한자교육의 실제 : 以普通話,월語或월普雙語作爲敎學語言對香港小壹學生識字的影響
장숙명 ( Suk Ming Cheu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137~160페이지(총24페이지)
홍콩에서 시행되는 언어교육 정책에 따라 중문과에서는 보통화와 광동어 중 어떤 언어도 자유롭게 선택하여 교육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보통화만 사용하는 경우, 광동어만 사용하는 경우와 보통화와 광동어를 혼용하는 경우에 따라 15개의 언어교육형식을 설계하였다. 동일 소학교의 5개 소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언어 학습 교육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력 발전에 대한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개의 안과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삼각 논증의 방식으로 상호비교 검증하였다. 질적 연구 방면으로는 교실 수업 분석과 교사와 학생 면담자료등 다양한 개별 측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업 언어가 ...
TAG 보통화, 광동어, 보통화-광동어 이중 언어, 한자 교육, 한자 사용능력의 발전, 심리 어휘, Medium of instruction, Putonghua, Cantonese, Diglossia, Competence of Chinese Character, Mental Lexicon
기획논문문(企劃論文): 한자문화권 한자교육의 실제 : 港澳大學生辨認書寫簡化字調査與分析
양조귀 ( Siukwai Yeung ) , 오학충 ( Hokchung 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161~182페이지(총22페이지)
홍콩과 마카오 지역에서 시행되는 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에서 시행되는 모든 교육은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출판되는 신문과 잡지 또한 대부분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홍콩, 마카오 지역과 중국 대륙 사이의 교류가 점점 활발해 짐에 따라 민간에서 사용되는 간화자의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여러 곳에서 번체자와 간화자가 함께 사용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홍콩고시평가원에서는 공개적으로 공식적인 시험에서 표준화된 간화자를 사용할 수 있다고 명확히 표명하여, 홍콩의 중학생들의 학습과 한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홍콩대학생의 간화자 사용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서 우리는 설문지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보았다. 우선 2백여개의 상용 간화자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간화자 분별 능력을 조사하였고, 다...
TAG 홍콩 마카오 대학생, 간화자, 번체자, 표준, 분별, 한자 쓰기,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and Macau,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standard, recognize, writing, 港澳大學生, 簡化字, 繁體字, 規範, 辨認, 書寫
기획논문문(企劃論文): 한자문화권 한자교육의 실제 : 論縮略作爲漢字語素義的演變途徑之壹 - 從大陸2012年度新詞新語談起-
린손 ( Caesarlun Sue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183~201페이지(총19페이지)
한자는 형음의의 결합이며, 중국어 서사의 기초단위이다. 한자의 형음의는 서사와 발음의 형식이며, 이는 형식을 말하고 있다. 더 중요한 것은 한자는 표의문자라는 사실이다. 한자의 의미는 어소와 어소의 의미이다. 언어 사용의 실제면에서 어휘는 실질적인 활용 요소이나, 보통 사람들은 언어의 문장 의미에만 관심을 지니거나, 구의 의미에만 관심을 가지거나, 혹은 대부분 어휘의 의미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 어소의 층위를 분석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한자 개별의 어소의 의미 혹은 한자와 한자를 이용한 단어의 조합 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하거나 그 이치에 대해 알지 못하 못하고 있어, 언어의 변화나 자의의 역사 속에서의 변화를 파악하지 못하여 동일하지 않은 언어 환경 속에서 사람들은 계속하여 어휘를 사용하면서 새로운 어휘를 생성하여 결국 어소의 의미에...
TAG 어소, 어소의, 조어법, 어원지식, 사전편찬, 한자학습, morpheme, morphemic sense, morphology, etymological knowledge, lexicography, Chinese character learning, 語素, 語素義, 構詞法, 語源知識, 詞典編纂, 漢字學習
漢文科 교원양성교육과정의 基本履修科目 구성과 운영 방안
이동재 ( Dongjae Lee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203~241페이지(총39페이지)
본고는 우리나라의 한문교사를 양성하는 10개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각 대학의 교육과정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한문교사 양성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을 중심으로 그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중등 한문교사의 자격 기준은 대범주로 한문문화의식, 교과지식, 학습자의 이해, 수업능력, 학습평가 능력 등이 있고, 그 세부기준이 20가지가 있으며, 이에 필요한 기본이수과목인 한문교육론, 경서강독, 한문문법, 문자학개론, 한문학개론, 한문학사, 한문국역연습, 한시선독, 한문소설선독, 역대산문선독 등 10개 과목이 있다. 먼저, 우리나라의 10개 사범대학 한문교육과의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기본이수과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과교육학과 관련된 한문교육론이나 교재연구 및 지도법은 거의 모든 대학이 강좌를 개설하고 있으나 평가와 관련된 강좌의 개설이 거의 없었다. 교...
TAG 漢文敎育, 한문교사, 교과교육학, 道具敎科, 도구교과, 漢字文化圈, 한자문화권, 傳統文化, 전통문화, Chinese classics education, Chinese classics teacher, subject pedagogics, tool subject, cultural region of Chinese character, traditional culture
漢文科(한문과) 敎材(교재) 硏究(연구) 과목의 내용 구성
김병건 ( Byounggeon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5] 제37권 243~274페이지(총32페이지)
한문과 교과교육학은 대체로 교육방법이나 교육공학적 측면의 기법에 관심을 쏟는 경우가 적지 않은 듯하다. 그 교육내용은 한문학적인 전공지식에서 습득하도록 한다는 취지이겠다. 그러나 실제 대학의 학부 3, 4학년 학생들의 상황은 한문지식에 있어 최소한의 소양을 갖추거나 최소한의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상태인 경우도 있었다. 반면 일선 중등학교의 한문 교과서는 갈수록 그 내용이 다양해지고 있어 비록교과서에 인용되는 원문의 수준은 높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 교재의 성격이나 최소한 교과서에 인용된 내용이 포함된 부분의 원전을 확인해 보는 것 만 으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고는 대학의 한문교과교육의 한 과목인 ‘한문교재연구’의 한 사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좀 더 미시적 관점에서 한문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한문교재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충실한 지식...
TAG 한문교재연구, 한문교재, 글자대로 해석, 산문, 한시, 역사산문, Chinese classics textbook research, Literally interpretation, Prose, Chinese poems, Historical prose, 漢文敎材硏究, 漢文敎材, 逐字解釋, 散文, 漢詩, 歷史散文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