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55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香港幼兒書寫漢字的“過渡字”硏究
( Shek Kam Tse ) , ( Man Ying Wong ) , ( Toi Na Lee ) , ( Sing Pui To Ch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4권 213~238페이지(총26페이지)
중국 대륙이나 홍콩 등의 지역적 구분에 관계없이 “유치원에서 학생들에게 한 자 쓰기를 가르쳐야 하는가?”는 오랜 동안 쟁론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에 대해 홍콩교육국에서는 “한자와 어휘 쓰기”를 명확하게 교육목표로 설정 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정확히 한자를 씀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문자 쓰기를 통해 표현하도록 하였다. 때문에 홍콩에서의 유치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자 쓰기 교육은 한자 자형의 균형성과 비율, 정확한 필획과 그 형태를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전통적인 한자 모사를 통해 한자의 자형을 학습하는 방법이외에 다른 어떤 방법이 유아들의 한자 쓰기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지가는 매우 중요하고도 의미 있는 연구 과제이다. 이 문제에 대해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고 쓰는 방법을 채 용하였다. 우선 유아들이 “자유로운...
TAG 중간 단계 쓰기 한자 자형, 한자, 유아, 쓰기 교육, 유치원, 과도자, Emergent writing, Chinese Characters, Preschoolers, Handwriting, Kindergarten, 過渡字, 漢字, 幼兒, 書寫, 幼稚園
非華語學童認讀漢字硏究
( Che Ying Kwan ) , ( Siu Kwai Yeu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4권 239~263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홍콩에 있는 12곳의 유치원에서 한자 인지 독해 정도를 실험한 것이 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생들과 비중국인 학생들이 한자를 인지하고 독해 하는데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고, 비중국인 학생들에게 중국어 교육을 시행하는데 있어 교육용 한자가 지니고 있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중국인 학생 들이 12곳의 유치원에서 접하게 되는 언어(광동어)의 시간은 매주 가장 많게는 840분이었으며 가장 적게는 150분이었다. 실험을 통해 우리는 같은 반에 있는 학 생들 사이에서도 한자에 대한 인지와 독해 능력에 매우 큰 개별적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통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비중국인 학생들과 중국인 학생들의 한자 인지와 독해 능력에 대한 실험 결과는 확실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광동어를 비교 적 많이 사용하는 세 곳과 영어를 기본적으로 ...
TAG 한자 인지 독해, 비중국인학생, 중국인 학생, 유치원, 언어 교육, recognition of Chinese characters, non-Chinese speaking students, Chinese speaking students, kindergarten, teaching medium, 漢字認讀, 非華語學生, 華語學生, 幼兒園, 敎學語言
香港浸會大學內地生學寫繁體字的心態及學習 能力硏究
( Hok Chung 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4권 265~283페이지(총19페이지)
최근 몇 년 사이에 점점 더 많은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으로 진 학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학 습에서의 어려움, 특히 번체자의 인식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문은 홍콩 뱁피스트 대학(香港浸會大學)의 다른 소속 단과대학의 1학년 중 국 본토 출신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또 3년제와 4년제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들은 보통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으나 수업의 강의는 번체자로 구성되었고 시 험 또한 가능한 많은 번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은 그들의 답안지를 검토하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 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본토 학생들의 번체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그 학 습 능력,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의 일련의...
TAG 홍콩거주 중국 본토 학생, 향항침회대학, 번체자, 학습심리, 학습 능력, mainland undergraduate students,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香港內地大學生, 香港浸會大學, 繁體字, 學習心態, 學習能力
“獨體”,“合體” 源流及其應用
( Lin H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4권 285~303페이지(총19페이지)
“독체자”와 “합체자”는 한자 교육에서 항상 만나게 되는 상대적 개념이다. 그런 데 여기서 “체”란 무엇인가? 이전에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본문은 이 논의를 아래의 세 방향에서 진행하였다. 우선 “독체자”와 “합체자”의 원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체”의 의미를 밝히려 하였다. 허신의 “문”과 “자”는 문자의 역사적 발전 단계에서 나온 것으로, ‘문’은 상형 단계의 전체 모양을 설명하는 형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문자를 지칭하며, ‘자’는 글자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글자를 만들어 내는 부호 문자 단계의 문자를 말한다. 그와 관련된 “독체”와 “합체”는 글자를 만들어 내는 것과 글자를 구성하는 두 가지 방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는 학계에서는 이에 대해 각기 다른 분석의 각도로부터 시작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는데 이에 대해 논증하였다....
TAG 독체, 합체, , , 부건, DuTi, HeTi, Wen, Zi, BuJian, 獨體, 合體, , , 部件
中國漢字結構現代硏究述略(一)
( Deng Gang Li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4권 305~324페이지(총20페이지)
본문에서 사용하는“한자 구조”는 한자 자형의 전체 혹은 부분의 사이에 있는 조합의 관계와 방식을 지칭한다. 이는 두 가지를 동시에 포함하는데, 첫 번째는 한자의 구조이고, 두 번째는 자형의 구조이다. 중국의 현대 학자들은 한자의 구조 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여 몇 가지 이론으로 나뉘고 있는데, ‘字根構字 學說’과 한자 결구와 관련된 ‘현재 한자학’ 연구, ‘자소 결구학’ 연구, ‘기초 한자이론 ’연구, ‘한자 구형학’ 연구, ‘자원학’ 연구 등이다. 본문은 이 중 네 가지 학문 적 연구의 성과를 소개한다.
TAG 한자의 구조, 현대 연구, 개관, 교육, Chinese Character`s structure, modern research, overview, teaching, 漢字學說, 現代硏究, 槪람, 敎學
中山國文字□,□,□舊釋釐正 -兼論秦文字之"使",楚文字之"事"
( Ying Jieb Che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4권 325~335페이지(총11페이지)
한본의 史·吏·事·使 네 글자의 관계와 이해를 기초 삼아, 중산국의 문자 중 에 은□"事"로,□·□은 각기□와□로 풀이해야한다. "使"는 초간(楚簡) 에서□"事"으로 풀이하여야하는데, 이 글자는 진(秦) 문자 "使"와는 다른 것이 기 때문이다.
TAG 중산국, 진간, 초간, Zhongshan state, Qin bamboo, Chu bamboo, shi, , shi, 使, 中山國, 秦簡, 楚簡
해외(海外) 대학(大學)의 한국어(韓國語) 학습자(學習者)를 위한 한자교재(漢字敎材)의 내용(內容)과 구성(構成) -이탈리아대학(大學)의 한국어(韓國語) 학습자(學習者)를 대상(對象)으로-
김훈태 ( Hun Tae Kim ) , ( Andrea De Benedittis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4권 337~369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는 韓國語를 專攻으로 운영하는 海外의 大學 중 이탈리아대학에서 이루어 지는 漢字授業을 위한 漢字敎材의 內容과 構成에 대해 具體的으로 논의한 것이 다. 본고의 논의는 세 가지 部分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序文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한국어와 관련된 한자의 내용이 다루어졌 다. 구체적으로, 韓半島에서의 漢字表記의 歷史, 漢字가 韓國語에 미친 影響 및 韓國語 內에서의 漢字의 位置 및 使用樣相 등을 論議하였다. 이 부분은 특히 非 漢字文化圈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필요한 교육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교육 대상이 될 한자와 한자어의 선정과 관련된 부분이다. 이를 위해 현재 해외의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몇 韓國語敎材에 제시되어 있는 語彙 중 한자 및 한자어들을 대상으로 하여 네 가지 選定基準(造語力·頻度數·難易度· 基礎字)에 따라 한자교재에서 다룰 ...
TAG 한국어학습자, 한자교육, 한자교재, 한자, 한자어, 이탈리아대학,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Sino-Korean Words, University in Italy, 韓國語學習者, 漢字敎育, 漢字敎材, 漢字, 漢字詞, 意大利大學
금안국(金安國)의 “권소학시(勸小學詩)”에 나타난 교육관(敎育觀) 연구(硏究)
( Young Rin Cho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4권 371~400페이지(총30페이지)
본 논문은 .安國의 문집에 실려 있는 ‘勸小學詩’를 통해서 그의 교육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권소학시’ 著作의 背景및 ‘권소학시’가 지니는 시대적 의의를 파악하였다. 『小學』은 유교적 도덕성을 통하여 조선사회를 교화시키는데 활용한 중요한 修身書이다. 조선조 전기에 김안국은 유학교육의 입문서격인 『소학』에 담긴 내용을 실천하기를 권하는 ‘권소학시’를 지어서 鄕校학생들에게 유교사회의 도덕규범을 장려하고 鄕村사람들을 敎化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김안국의 ‘권소학시’의 창작 배경은 燕山朝의 弊政을 극복하고 강력한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中宗의 적극적인 『소학』교육 장려책에서 비롯된 것이다. 1517년.安國은 慶.道觀察使로 파견되자 각 鄕校의 유생들에게 적극적으로 『소학』을 권하였는데, 경상도 관내의 방문하는 각 향교마다 현판에 ‘권소학시’ 한 편씩을 써 붙여서 강당에 걸게 ...
TAG 권소학시, 김안국, 도덕성을 강조한 교육관, 실천성을 강조한 교 육관, 일상에서 풍속교화를 강조한 교육관, 『A Poem recommending Sohak』, educational view that emphasizes morality, educational view that emphasizes practicability, educational view that emphasizes custom enlightenment in daily life, educa
한국(韓國) 한문(漢文)문법(文法)의 형태론(形態論) 교육론(敎育論) 연구(硏究)
( Jae Chul Ah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3권 189~225페이지(총37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형태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법 형태론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敎授者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형태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보려한 것은 형태론 교육의 목표, 형태론 교육의 내용(품사론, 어휘 분류와 방법), 형태론 교육론의 교수법, 형태론 교육론의 평가법 등이다. 1. 형태론 교육의 목표1.1 형태소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1.2 형태소의 기능과 의미구조에 대하여 안다. 1.3 형태소와 형태소의 결합관계를 안다. 1.4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을 안다. 1.5 단어의 분류와 그 방법을 안다. 1.6 허사의 기능을 안다. 2. 형태론 ...
TAG 형태논교육논, 사성논, 품사논, 어휘적분류급기방법, 평가법, 성취기준급성취수준, Theory of morphology education, Theory of a part of spcech, Classification of words, Instructing method, Evaluation method, Achievement levels and Standards, 形態論敎育論, 詞性論, 品詞論, 語彙的分類及其方法, 評價法, 成就基準及成就水準
漢字的腦和敎育
( Chen Ya Hua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2014] 제33권 7~24페이지(총18페이지)
한자의 결구(結構)와 형성(形聲) 관계가 일반적인 표음문자와는 다르다는 것을, 대뇌에서 한자를 처리할 때의 반응에서 알 수 있다. 표음문자의 처리는 통상 대뇌의 우성(優性) 반구에 치우치며, 한자는 표음 문자에 비해 대뇌의 좌우 양측의 자원을 비교적 많이 이용한다. 한자를 읽을 때 시각구에서 대뇌전부로 정보가 이동할 때 직접적인 한자와 어휘의 결합관계를 찾는데 집중하는데, 이는 형성관계의 투명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이라고 샐각된다. 전통적인 교육은 형성 관계에 대해 관심이 비교적 적었기 때문에 자형을 자음으로 전환시키는 가용의 정도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뇌의 전두엽 영역에서는 한자의 처리는 표음문자에서도 사용하는 하전두엽 이랑 이외에도 표음문자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중전두엽 이랑 전운동구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한자학습에서 한자쓰기의 중...
TAG 한자, , 교육, 교육방법, Hanzi, brain, education, pedagogy, 漢字, , 敎育, 敎學法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