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논리학회 AND 간행물명 : 논리연구28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양진주의와 더미 역설
이진희 ( Jinhee Lee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9] 제22권 제1호, 87~125페이지(총39페이지)
더미 역설에 대한 양진주의적 해결전략이란 경계사례를 참인 모순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모순을 인정하지 않는 대안의 가능성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대안이 있다면 굳이 모순을 인정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벨은 모순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양진주의가 갖는 장점을 모두 갖는 대안을 제시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이러한 벨의 주장이 성립하지 않음을 보일 것이다. 필자의 논의는 주로 울타리 도식(inclosure schema)에 기초한다. 필자는 더미 역설이 울타리 도식을 만족함을 보인 후, 이 도식에 기초해서 절단점의 존재를 거부하는 대안들이 모두 모순을 함축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물론, 이러한 대안에는 벨의 대안 역시 포함된다. 그리고 이것은 모호성에 대한 직관 즉, ‘관용’을 수용하는 한, 양진주의를 받아들...
TAG 더미 역설, 모호성, 양진주의, 울타리 도식, Sorites paradox, Vagueness, Dialetheism, Inclosure schema
상호주관적 정당화와 객관적 정당화
이병덕 ( Byeongdeok Lee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9] 제22권 제1호, 125~151페이지(총27페이지)
정합성 이론이 정당화 이론으로서 적절하기 위해서는 그 이론에 의해 이해된 정당화가 진리개연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정합적 정당화가 어떻게 진리개연적인지 분명치 않다. 이것이 정합성 이론이 직면하는 이른바 진리개연성 문제이다. 필자는 2017년 논문에서 셀라시언 정합성 이론과 진리의 축소주의를 결합함으로써 진리개연성 문제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석기용 교수는 그의 최근 논문에서 상호주관적 정당화와 객관적 정당화를 나눌 실질적인 방법이 없기 때문에 필자의 제안이 진리개연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패함을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석 교수의 비판이 왜 옳지 않은지를 밝힘으로써 필자의 견해를 좀 더 명료하게 설명한다. 특히 그의 비판이 어떤 믿음이 객관적으로 정당화되기 위해서 단지 상호주관적 정당화의 단계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객...
TAG 셀라시언 정합성 이론, 진리개연성 문제, 상호주관성, 객관성, 석기용, A Sellarsian coherence theory, the Truth-Conduciveness Problem, Intersubjectivity, Objectivity, Kiyong Suk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인가?
홍지호 ( Jiho Hong ) , 여영서 ( Yeongseo Yeo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9] 제22권 제1호, 151~183페이지(총33페이지)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을 구분하는 실현 기준에 따르면, 전제와 결론 사이에 실현된 뒷받침 관계가 필연성일 경우에만 연역 논증이다. 이 경우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을 저지르는 표현이 된다. 이와 달리 전제와 결론 사이에 의도된 뒷받침 관계를 구분 기준으로 삼는 것은 의도 기준인데, 이에 따르면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이 아니다. 우리는 의도 기준을 옹호하는데, 실현 기준은 생략 논증을 연역 논증이나 귀납 논증 중 한 쪽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의도를 참조해야 한다는 난점, 또 나쁜 논증과 논증이 아닌 명제들의 집합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난점을 지니기 때문이다. 의도 기준 역시 논증 제시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지만, 그것은 자비의 원리에 호소하면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결론에 대한 신념이나 논증 제시자의 성향을 나타내는 표현을 논증...
TAG 부당한 연역 논증,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의 구분 기준, 의도 기준, 실현 기준, 이영철, Invalid deductive argument, The distinction between deductive argument and inductive argument, The intention criterion, The realization criterion, Prof. Youngchul Lee
인과 도구 변수와 조종자 그리고 인과 이행성의 관계
김준성 ( Joonsung Kim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9] 제22권 제1호, 183~210페이지(총28페이지)
이 글에서 필자는 회귀 분석(regression)에 이용되는 도구 변수(instrumental variables)에 대하여 인과 구조 모형의 관점에서 제시된 새로운 이론을 검토하고 평가한다. 도구 변수는 회귀분석에서 결과로 가정하는 종속 변수에 대해 원인으로 가정하는 독립 변수가 갖는 원인 효과를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도구 변수는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도구 변수는 독립 변수와 상관관계를 가져야 한다. 둘째, 도구 변수는 오차항과 상관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라이스(Reiss 2005)는 기존의 두 조건만으로는 도구 변수로 독립 변수의 원인 효과를 온전히 드러낼 수 없다고 본다. 라이스는 도구 변수가 이들 두 조건을 충족하여도 독립 변수가 종속 변수에 원인 효과를 갖지 않는 경우가 가능함을 보여...
TAG 간섭, 개입, 도구 변수, 이행성, 인과, 조종, 회귀 분석, Causal, Instrumental variables, Intervention, Regression, Transitivity
주요 원리와 조건화의 상호보완성
박일호 ( Ilho Park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8] 제21권 제3호, 321~353페이지(총33페이지)
본 논문의 목표는 공시적 인식 규범인 주요 원리와 통시적 인식 규범인 조건화 사이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2절에서 주요 원리와 조건화의 여러 형태들을 정식화할 것이다. 그리고 3절에서 주요 원리와 조건화는 상호 보완적이라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이 상호보완적 관계는 두 가지 방향에서 제시된다. 첫 번째는 조건화에 의한 주요 원리의 보완이며, 두 번째는 주요 원리에 의한 조건화의 보완이다. 첫 번째 보완관계는 조건화를 이용해 신념도를 갱신하는 경우, 특정한 형태의 주요 원리만을 만족시킨다면 모든 형태의 주요 원리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두 번째 보완 관계는 언제나 주요 원리를 만족하는 경우, 모든 신념도를 조건화를 통해 갱신하기 위해서는 일부 신념도만을 조건화를 통해서 갱신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TAG 신념도, 공산, 주요 원리, 조건화, 상호보완성, Credences, Chances, the Principal Principle, Conditionalization, Complementarity
퍼지 논리 MTL을 위한 대수적 루트리-마이어형 의미론
양은석 ( Eunsuk Yang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8] 제21권 제3호, 353~372페이지(총20페이지)
이 글에서 우리는 대수적 루트리-마이어형 의미론이라고 불릴 의미론을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퍼지 논리 체계 MTL과 대수적 의미론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이 체계를 위한 대수적 루트리-마이어형 의미론을 제공한 후, 이를 대수적 의미론과 연관 짓는다.
TAG (대수적) 루트리-마이어형 의미론, 크립키형 의미론, 대수적 의미론, 퍼지 논리, 준구조 논리, (Algebraic) Routley-Meyer-style semantics, Kripke-style semantics, Algebraic semantics, Fuzzy logic, Substructural logic
자유의지에 대한 조작논증과 근원-양립가능주의의 대응
김성수 ( Sungsu Kim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8] 제21권 제3호, 373~394페이지(총22페이지)
조작논증은 근원-자유와 결정론이 양립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이 논증에 따르면, (1) 일정한 방식으로 조작된 행위는 직관적으로 자유행위가 아니며 (2) 일정한 방식으로 조작된 행위와 결정론적으로 발생한 일상적 행위 사이에 중요한 차이가 없다. 이로부터 결정론적으로 발생한 일상적 행위는, 그것이 양립가능주의자들이 제시한 자유의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자유행위가 아니라는 것이 도출된다. 양립가능주의자들의 대표적인 대응인 ‘강경한 대응’은 (1)을 부정한다. 그런데 ‘중립적 입장’에서 볼 때 이 대응은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진다. 그리고 (1)은 일종의 심리적 오류를 저지른다는 최근의 제안도 이를 극복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온건한 대응’은 (2)를 부정한다. 이 대응을 지지하기 위해 먼저 조작적 개입과 단순한 결정 사이의 차이를 밝힌다...
TAG 자유의지, 결정론, 양립가능주의, 조작논증, 강경한 대응, 온건한 대응, Free will, Determinism, Compatibilism, Manipulation arguments, Hard-line reply, Soft-line reply
약한 결합 원리를 갖는 퍼지 논리를 위한 대수적 크립키형 의미론
양은석 ( Eunsuk Yang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8] 제21권 제2호, 155~174페이지(총20페이지)
이 글에서 우리는 (곱 연언 &의) 약한 형식의 결합 원리를 갖는 퍼지 논리를 위한 대수적 크립키형 의미론을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약한 결합 원리를 갖는 퍼지 논리의 대수적 의미론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이 체계들을 위한 대수적 크립키형 의미론을 제공한 후, 이를 대수적 의미론과 연관 짓는다.
TAG (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weakening-free fuzzy logic, weak associativity, algebraic semantics, substructural logic, (대수적) 크립키형 의미론, 약화 없는 퍼지 논리, 약한 결합 원리, 대수적 의미론, 준구조 논리
불가능한 가능성은 양상주의를 구원할 수 있는가?
이재호 ( Jaeho Lee ) , 김민석 ( Minseok Kim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8] 제21권 제2호, 175~207페이지(총33페이지)
키트 파인의 영향력 있는 논문, Essence and Modality(1994) 이후 많은 철학자들은 양상주의, 즉 본질적 속성을 양상성, 특히 데 레(de re)필연성 개념을 통해서 분석하려는 시도의 전망에 대해서 의심해왔다. 그러나 몇몇 철학자들은 여전히 양상주의의 옹호 가능성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들은 어떤 종류의 불가능한 가능성 개념을 통해서 양상주의를 키트 파인의 반례들로부터 옹호하려는 두 개의 시도를 검토한다. 필자들은 이런 시도들이 결국 키트 파인의 이론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이론이 되거나, 아니면 고전적인 양상주의가 포착하려고 했던 본질 개념과는 상당히 다른 본질 개념으로 이끌어지는 문제를 갖는다는 것을 논증한다. 필자들은 따라서, 파인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런 시도들은 별로 두려워할 필요가 없...
TAG 본질, 양상성, 양상주의, 키트 파인, 불가능한 가능성, Essence, Modality, Modalism, Kit Fine, Impossible possibility
진리담지자와 사실 사이의 동일성에 대하여
김동현 ( Donghyun Kim )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 [2018] 제21권 제2호, 207~231페이지(총25페이지)
진리 동일론자들은 진리담지자와 사실 사이의 동일성을 주장한다. 우선, 본고는 그들의 주장을 어떻게 이해해야 적절할지를 검토한다. 필자는 진리 동일론자들이 주장하는 동일성 관계를 사소한 관계와 사소하지 않은 관계로 분류한 다음, 사소한 동일성 관계로 이해한 동일론 논제가 왜 진리 동일론자들의 주장이 될 수 없는지를 논변할 것이다. 이어서, 사소하지 않은 동일성에 따른 견해를 줄리언 도드의 분류를 따라 다시 강경한 동일론과 온건한 동일론으로 구분한 후, 전자의 동일론이 그 자체로 비일관적인 견해가 됨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동일론자들에게 남겨진 대안인 온건한 동일론을 진리 축소주의와 비교해야 하는 이유를 해명하고, 그 비교로부터 온건한 동일론자들 앞에 놓인 두 가지 선택지를 귀결로서 이끌어 낼 것이다. 동일론자들이 그 중 한 쪽을 택하면 축소주의보다 온건한 동...
TAG 진리 동일론, 도드, 혼스비, 사상, 축소적 진리, The identity theory of truth, Dodd, Hornsby, Thought, Deflationary truth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