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수학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A-수학교육141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 초등학생들의 성차: TIMSS 2011 2015 수학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분석
황성환 ( Hwang Sunghwan ) , 여승현 ( Yeo Sheunghyun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3호, 217~235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TIMSS 2011와 2015 수학 성취도 평가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학년 남녀 간의 성차가 드러나는 문항들을 내용과 인지영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차가 유의미하게 차이나는 20% 문항들에서 내용 영역별 성차를 보면 남학생은 수와 측정영역에서 여학생은 도형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 영역별성차를 보면, 남학생이 지식, 적용, 추론 영역에서 여학생보다 상대적인 우위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AG 성차, 수학 성취도, TIMSS, 수학 평가, gender differences, mathematics performance, mathematics assessments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과 수업의 수학적 질 사이의 관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연 ( Kim Yeon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3호, 237~254페이지(총18페이지)
본 논문은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과 수업의 질에 대한 상관관계를 보고하는 연구이다. 선다형 평가 문항 유형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사들의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을 수집하였고, 촬영된 그 교사들의 수업을 수학 수업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수업의 질을 평가하였다. 두 점수들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한다. 또한, 수집된 수업 영상과 교사들의 인터뷰 자료의 분석을 통해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이 중재하지 못하는 수업의 질과 관련된 요소를 찾아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수학 교사 교육에 대해 논의한다.
TAG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 수업의 수학적 질, 고등학교, 한국, 수학교사,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al quality in instruction, high schools, South Korea, mathematics teachers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에 대한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의 논의
도주원 ( Do Joowon ) , 백석윤 ( Paik Suckyoon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3호, 255~269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의도-작성-실행된 교육과정이라는 일련의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초등 수학의 연산 중 기본이 되는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실행된 교육과정에서 출발하여 작성-의도된 교육과정의 상향식 피드백 방식으로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에 대한 교수ㆍ학습 방법 면에서의 쟁점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AG 어림셈, 어림, 어림하기, 덧셈, 뺄셈, 수 감각, 다차원 교육과정, 의도된 교육과정, 작성된 교육과정, 실행된 교육과정, computational estimation, estimation, estimating, addition, subtraction, number sense, multi-dimensional curriculum, intended curriculum, written curriculum, implemented curriculum
나눗셈 알고리즘에 대한 학생 사고를 예비교사가 도출하기 :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르치는 것에 근접하기
권민성 ( Kwon Minsung ) , 방정숙 ( Pang Jeongsuk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3호, 271~294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학생 사고를 도출하는 핵심 교수 관행에 근접하도록 돕는 디지털 시뮬레이션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초등 수학교육 방법론을 수강하는 13명의 예비교사들이 참여한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일반적인 질문에서 내용-특화된 질문을 제기하였으며, 학생들의 해결전략을 비교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이유로 시뮬레이션의 ‘일시 정지’ 기능을 활용하였다. 예비교사들은 학생-아바타와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데 부담을 느꼈지만,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진정한 교수 경험으로 파악했으며, 그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TAG 가르치는 것에 근접하기, 학생 사고를 도출하기, 디지털 시뮬레이션, 관행-기반 교사 교육, 나눗셈, approximation of teaching, eliciting student thinking, digital simulation, practice-based teacher education, long division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이해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최상호 ( Choi Sang-ho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2호, 101~11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장제 이해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에 따른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법을 다년간 실행해 온 경력교사의 한 학기 수업 중에서 문제 해결 과정을 대표할 수 있는 수업 4차시를 추출하였다. 4차시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에 대한 일치 여부에 따라 교사 담론의 구조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에 따라 문장제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협의하고 수학적인 의미를 만들어 가는 교사 담론의 구조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함으로써 문장제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에 따라 학생들의 문제 이해를 위한 교사 담론의 구조를 바탕으로 향후 교사들이 문제 이...
TAG 수학 문장제, 문제 이해, 문제 해결, 교사 담론의 구조, mathematical word problem, problem understanding, problem solving, the structure of teachers’ discourse
원기둥을 이용한 중학생의 공간기하 이해 능력 분석
장현석 ( Chang Hyun Suk ) , 홍정애 ( Hong Jeong Ae ) , 이봉주 ( Lee Bongju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2호, 113~130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원기둥으로 중학생의 공간기하에 대한 이해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중학교 43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그 응답 사례를 토대로 면담하였다. 학년과 성별에 따른 문항 정답률의 차이를 검증하고, 공간추론 능력 평가 문항에 대한 학생의 응답을 바탕으로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TAG 공간기하 이해, 원기둥, 중학생, spacial geometrical thinking, cylinder, middle school students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에서 문자 표기 순서에 대한 연구
이민정 ( Lee Min J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2호, 131~146페이지(총16페이지)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을 보면, 일반적으로 원주율이 반지름의 길이의 제곱의 앞에 쓰여 지지만 독일과 프랑스에서 원주율이 뒤에 쓰여 진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를 연구 한다: 첫째, 원주율을 뒤에 쓰는 학생이 얼마나 있는가? 둘째, 학생들이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에서 문자 표기 순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국내의 만 14세에서 만 21세까지의 사람들 중 임의 추출한 201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둘 다 가능하다 또는 뒤에만 가능하다는 인식이 86% 이상 있었다. 본 연구에는 원의 넓이에 대한 일반적인 문자 표기 순서와 학교 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학생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이 보여 진다. 덧붙여 만 14세에서 만 16세까지의 학생들은 원주율을 뒤에만 써야한다는 인식이 더 강했으나 그 연령대 이후로 둘 다 가능하다는 ...
TAG 중심이 같은 두 원 사이 넓이, 문자 표기 순서에 대한 인식, 원주율과 원의 넓이, 역사 속 원에 대한 공식들, the area of an annulus, mathematics, recognition on the written order of characters, the Archimedes’ constant and the area of a circle, formulas for a circle in history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교과 역량 분석
김정원 ( Kim Jeong-won ) , 방정숙 ( Pang Jeong-suk ) , 황지남 ( Hwang Ji-nam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2호, 147~166페이지(총20페이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역량이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 수학 교과서에 수학 교과 역량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는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활동 및 문항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추론, 문제 해결, 창의ㆍ융합, 태도 및 실천, 정보 처리의 순으로 드러났다. 또한 역량별 하위 요소를 분석한 결과 특정 하위 요소가 강조되어 각 역량이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교과 역량 및 교과 역량의 하위 요소의 구현이 서로 관련되어 이루어진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과서를 통하여 교과 역량의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AG 수학 교과 역량, 수학 교과서 분석, 문제 해결, 추론, 창의ㆍ융합, 의사소통,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 Mathematics competencies, analyzing mathematics textbooks, problem solving, reasoning, creativity and integr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ttitude and practice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수와 연산 영역의 재구조화 연구
서보억 ( Suh Boeuk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2호, 167~183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와 연산 영역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와 연산 영역에서 수학 학습내용의 재구조화 방향 제시를 위한 문헌 연구이다. 이를 위해 1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2015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제시된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와 연산 영역의 수학 학습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비교 분석의 기준을 3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설정하였고, 분석을 위한 수학 학습내용으로 내용요소와 학습요소로 세분화하여 기본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기본 분석틀을 기초로 수와 연산 영역의 핵심 이슈가 되는 수학 학습내용을 추출하여, 추출된 수학 학습내용에 대해 세계 여러 나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TAG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수와 연산 영역, 교육과정 변천 과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재구조화,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number and operation area, curriculum change process, restructuring of mathematics curriculum
수학교육에서 인문학적 상상력에 대한 소고
박만구 ( Park Mangoo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2호, 185~199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에 인문학적 상상력을 접목하는 것이 수학교육에 주는 의미를 논의하고, 수학교육에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수학은 추상적 사고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우리의 삶의 문제와는 거리가 있다고 인식되었다. TIMSS나 PISA와 같은 국제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학업성취도는 다른 선진 국가들의 학생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으나, 수학에 대한 태도는 매우 부정적이고 삶에 대한 만족도도 낮은 편이다. 수학과 인문학적 상상력을 연계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인간의 삶의 문제에 대하여 인문학적인 관점으로 보도록 한다. 이 연구에서는 수학교육을 위한 수학과 인문학적 상상력을 접목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 학교의 수학교육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사례를 소개한다. 연구자는 수학을 배우는 궁극적인 이유는 학습...
TAG 인문학, 상상력, 수학교육, humanity, imagination, mathematics edu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