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수학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A-수학교육141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부등식의 영역 교육과정 분석: 고교-대학수학의 연계 및 수학적 연결성을 중심으로
이송희 ( Lee Song Hee ) , 임웅 ( Lim Woong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1호, 1~1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경제수학'으로 이동한 ‘부등식의 영역(inequalities as regions)’ 단원과 미적분학 사이의 연계성 및 수학적 연결성을 분석하여 ‘부등식의 영역’이 미적분학의 중요한 선수학습개념이라는 논지를 제시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 측면에서 직업 교과에 포함된 '경제수학'을 학습하지 않고 이공계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부등식의 영역’의 절차적 개념적 지식의 부재로 인하여 미적분학에서 학습 위계의 ‘격차’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수학적 연결성의 관점에서는 ‘부등식의 영역’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미적분학의 다변수함수 이론의 학습에 어려움을 느낄수 있다고 판단된다.
TAG 2015개정교육과정, 부등식의 영역, 교육과정 연계성, 연계성 준거모형, 수학적 연결성, 미적분학, 기초수학,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gions of inequalities, curriculum articulation, analysis taxonomy for curricular articulation, mathematical connections, calculus, remedial mathematics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최상호 ( Choi Sang-ho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1호, 17~29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른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법을 20년 이상 실행한 경력 교사의 한 학기 수업 44차시 중에서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서로 다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경우 각각 1차시 수업을 비교분석하였다(근거 이론). 분석 결과, 학생들의 참여 양상을 고려한 교사의 담론 구조는 수학화 과정 경험에 도움을 준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수학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구체화함으로써 수학화를 위한 교실 담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AG 수학화,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 교사의 담론 구조, mathematization,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students, the structure of teachers’ discourse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메타연구
김홍겸 ( Kim Hong-kyeom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1호, 31~45페이지(총15페이지)
시대적 흐름과 정부의 정책 시행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수학교육에서 수학학습부진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수학학습부진아의 원인을 밝혀내거나 교수학적 처치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49편을 메타분석하여 수학학습부진에 대한 교수학적 처치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얼마나 큰 효과크기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수학학습부진아에게 교수학적 처치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여러 중재요인을 분석하여 어떠한 환경에서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점도 얻을 수 있었다.
TAG 수학학습부진아, 교수학적 처치, 메타분석, 효과크기(ES), underachiever of learning mathematics, teaching treatment, meta-analysis, effect size
이산확률분포에 대한 예비수학교사의 이해 분석
이봉주 ( Lee Bongju ) , 윤용식 ( Yun Yong Sik ) , 임해미 ( Rim Haemee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1호, 47~62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이산확률분포 파악에 필요한 지식을 표본공간의 각 원소에 정의된 확률, 이산확률변수의 정의, 이산확률변수에 정의되는 확률, 그리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지식으로 정의하고, 예비수학교사가 해당 지식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사범대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TAG 이산확률분포, 예비수학교사, 교사 지식, discrete probability distribution,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 teacher knowledge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연구
신동조 ( Shin Dongjo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1호, 63~80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7종의 KCI 등재지에 게재된 3,114편의 수학교육 논문와 5종의 SSCI 등재지에 게재된 1,636편의 수학교육 논문의 연구 동향을 텍스트 마이닝 기술의 하나인 토픽모델링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는 16개의 유사한 주제와 7개의 상이한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관련된 주제는 국내와 해외 수학교육 연구에서 모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연구주제였다. 현직교사 재교육에 관한 연구주제는 국내 연구에서는 하나의 독립된 주제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해외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는 주제로 나타났다. 해외 수학교육 연구에 비해 국내에서는 수학적 역량에 관한 연구의 관심이 높았지만, 이는 문제해결역량과 창의·융합역량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었...
TAG 연구 동향, 비교 연구, 수학교육 연구, 토픽모델링, 텍스트 마이닝, research trends, comparative stud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topic modeling, text mining
수학 문제 만들기 유형에 따른 가추 유형과 가추에 동원된 사고 전략 분석
이명화 ( Lee Myoung Hwa ) , 김선희 ( Kim Sun Hee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0] 제59권 제1호, 81~99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학생이 만든 수학 문제에 따른 가추 유형과 가추에 동원된 사고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학교 2학년 4명의 학생이 네 개의 과제에 대해 문제 만들기 활동을 하여, 동치문제, 동형문제, 유사문제를 만들었다. 동치문제의 경우 조작적 가추가 주로 발현되었다. 동형문제와 유사문제는 조작적 가추, 이론적 가추, 창의적 가추가 모두 발현되다. 가추에 동원된 사고 전략으로, 조작적 가추는 대상으로 인식하기, 패턴 찾기, 숫자나 그림으로 변환하기, 유추하기, 반대로 생각하기, 결합하기, 제거하기의 사고전략이 나타났다. 이론적 가추에서는 수학적, 경험적, 확산적 지식을 활용하는 사고전략이 나타났다. 창의적 가추에서는 상승화 전략, 형식화 전략, 창조적 전략이 나타났다. 결합하기, 제거하기, 수학적, 경험적, 타교과 지식의 활용, 문제와 직접적 관련이 없...
TAG 문제 만들기, 가추 유형, 사고 전략, problem posing, abduction type, thinking strategy
수학교육에서 계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의 의미 및 연구 동향 탐색
신동조 ( Shin Dongjo ) , 고상숙 ( Choi-koh Sang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19] 제58권 제4호, 483~505페이지(총23페이지)
세계적으로 계산적 사고를 학교 교육과정에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고, 수학교과는 이러한 움직임의 핵심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Jeannette Wing의 주장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계산적 사고와 수학적 사고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계산적 사고를 수학교과에 통합한 국내외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TAG 계산적 사고(컴퓨팅 사고), 수학적 사고, SW교육, 프로그래밍(코딩), 연구 동향, computational thinking, mathematical thinking, software education, Programming(coding), research trend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내용 맵핑 본검사 참여 연구 : 수학과를 중심으로
조성민 ( Cho Seongmin ) , 이미경 ( Lee Mee-kyeong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19] 제58권 제4호, 507~518페이지(총12페이지)
OECD는 학습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제 비교 연구의 일환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 국어, 수학, 사회/역사, 과학, 체육, 예술(미술/음악), 기술·가정/정보 교과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 맵핑 연구(Curriculum Content Mapping, 이하 CCM)의 본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CCM 본검사에 참여한 결과 중 수학과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CCM 프레임워크의 역량이 어느 정도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AG 역량, Education 2030, 교육과정 맵핑 연구, 국제 비교 연구, competency, CCM,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메타정의적 관점에서의 특성 분석
도주원 ( Do Joowon ) , 백석윤 ( Paik Suckyoon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19] 제58권 제4호, 519~530페이지(총12페이지)
선행연구에 의하면 수학 학습활동에서 인지적, 정의적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반하는 메타정의는 메타인지와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자의 수학적 능력과 긴밀한 역학적 관련성을 유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아의 소집단 문제해결 사례를 메타정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 영재아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메타정의적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 활동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문제해결자의 정의적 역량은 정서나 태도 형태의 메타정의로 문제해결 활동에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TAG 메타정의, 메타적 기능, 수학 영재아, 문제해결, meta-affect, meta-function,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problem-solving
연속확률분포의 정의와 도입 방법에 대한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연구
허남구 ( Heo Nam Gu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19] 제58권 제4호, 531~543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에서 연속확률분포를 정의하고 도입하는 방법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확률과 통계 교과서는 연속확률변수를 가부번집합인 확률변수로 정의하기보다는 특정 범위의 모든 실숫값을 가지는 확률변수로 정의하였다. 또한 연속확률분포를 도입함에 있어 균등분포를 이용한 방법과 상대도수밀도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TAG 연속확률변수, 연속확률분포, 교과서 분석, 2015개정 교육과정, continuous probability variable,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textbook analysis, 2015-revised curriculum
 1  2  3  4  5  6  7  8  9  10